* [[한반도의 산/고개 목록]] [include(틀:대한민국의 도립공원)] ||<-4>
'''{{{#000 [[전라북도|{{{#000 전라북도의}}}]] [[도립공원|{{{#000 도립공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전라북도 휘장.svg|height=60]]||{{{#000 '''{{{+1 선운산}}}'''[br]禪雲山[br]{{{-1 Seonunsa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선운산, 너비=100%, 높이=100%)]}}} || ||<-2> {{{#fff '''위치'''}}} ||<-2> '''[[전라북도]] [[고창군]] ''' || ||<-2> {{{#fff '''높이'''}}} ||<-2> '''336m ''' || ||<-2> {{{#fff '''좌표'''}}} ||<-2> '''북위 35° 30′ 29″ ″''' '''동경 126° 34′ 16″ ''' || ||<-2> {{{#fff '''면적'''}}} ||<-2> '''43.70㎢''' || ||<-4> {{{#fff '''위성사진'''}}} || ||<-4>[[파일:선운산도립공원.png|width=100%]] || ||<-4> {{{#fff '''선운산 도립공원'''}}} || ||<-2> {{{#fff '''지정일'''}}} ||<-2> '''1979년 12월 27일 ''' || ||<-2> {{{#fff '''관리주체'''}}} ||<-2> [[전라북도|[[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40]]]] || ||<-2> {{{#fff '''홈페이지'''}}} ||<-2> [[https://www.gochang.go.kr/tour/index.gochang?menuCd=DOM_000000402005000000|[[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15]]]] || [목차] == 개요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높이 335 m인 [[산]]. 산세도 별로 크지 않고 높이도 낮지만 나름대로 유명한 산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C%B0%BD%EA%B5%B0#%EC%A4%91%EC%83%9D%EB%8C%80_%EB%B0%B1%EC%95%85%EA%B8%B0_%ED%99%94%EC%82%B0%EC%95%94|위키백과]]에 따르면 옛날에 화산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산에 있는 [[선운사]]라는 사찰이 더 유명하다. 심지어는 산 이름도 원래는 도솔산(兜率山)이었다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나온다.] [[선운사]]가 유명해지면서 선운산으로 바뀌었을 정도다. 산에 있는 [[동백나무]] 숲도 산보다 더 유명하다. 가수 [[송창식]]이 1986년에 발표한 <선운사>란 노래에도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동백꽃 피는 그곳 말이에요 라고 언급된다. == 자연환경 == [[계곡]]이 아름답고 [[숲]]이 울창하여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린다. [[내금강]]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비로봉]]은 1,638m 로 선운산의 5배 높이에 달한다. 내금강에는 1,000m가 넘는 봉만 해도 영랑봉(1,601m), 중향성(1,520m), 법기봉·혈망봉(1,372m), 향로봉(1,030m) 등 여럿 있다. 산 높이는 낮은편이지만 산에 [[https://ko.wikipedia.org/wiki/%EC%84%A0%EC%9A%B4%EC%82%B0|기암괴석]]이 많은 편이라 확실히 풍광은 상당히 좋다. 해가 질 무렵, 해가 바다로 잠기면서 펼쳐지는 멋진 낙조를 볼 수 있는 낙조대를 많이들 찾는다. 가까이 도천저수지와 멀리 칠산 앞 바다 및 곰소만 등이 한 눈에 들어오며 등반도 쉬워서 인기가 있다. 1967년에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184호로 지정된 동백숲이 유명하다. 정식 명칭은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동백나무 3,000여 그루가 선운사 뒤쪽 산비탈 5,000여 평에 너비 30m쯤 되는 가느다란 띠 모양으로 자라는 숲이다. 다른 나무가 없이 순수하게 동백나무로만 숲을 이루었다. 수령 5백 년짜리 동백나무로 이루어졌다는 말도 있는데, 나무의 평균 높이가 약 6m, 둘레가 30cm임을 보면 과장일 가능성이 높다. 선운산의 [[동백꽃]]은 4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4월 하순에 절정을 이루며 5월 초순까지 핀다. 붉디붉은 동백꽃이 피면 선운사 뒤쪽의 동백숲이 온통 붉게 물드는 경관을 이룬다. 동백꽃뿐 아니라 [[벚꽃]]과 [[진달래]]꽃도 같이 피어 아름다운 풍경에 흥을 더한다. 동백나무 숲만큼 유명하진 않지만 또다른 천연기념물들도 있다. 선운사 입구 바위 절벽에서 자라는 송악(천연기념물 제367호)[* 소나무가 아니라 두릅나무과의 덩굴식물]과, 수령 6백 년 장사송(천연기념물 제354호)이다. == 기타 명소 == [[백제]] [[위덕왕]] 24년(577)에 검단선사가 창건한 [[선운사]](禪雲寺)도 유명하다. 창건 당시에는 암자가 89곳 있고 승려 3천 명이 수도했다고 하는데, 현재는 도솔암, 참당암, 석상암, 동운암이 남았다. 그 중 도솔암이 가장 알려졌다. == 기타 == 동백이 만발하는 4월과 [[단풍]]이 드는 10월~11월 사이에 인기가 가장 많다. [[꽃무릇]][* 단풍이 들기 전 9월 중순-말에 피는 식물이다.]이 잠시 피는 9월 말 즈음에도 사람들이 많이 들러간다. 선운산의 연관 검색어로 [[복분자]]와 풍천[[장어]]가 뜬다. 비싸긴 하지만 기회가 되면 한 번씩 맛보도록 하자.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분류:전라북도의 산]][[분류:대한민국의 도립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