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면역계/세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면역계/세포)] [include(틀:면역계의 세포)] [목차] == 개요 == {{{+1 [[先]][[天]][[性]] -[[球]] [[細]][[胞]] / Innate lymphoid cell[* 약자로는 ILC(s)가 사용된다.]}}}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선천성 면역 세포의 일종이다. 이는 림프계 전구세포(Lymphoid progenitor cell)로 부터 분화한 세포로, 2010년에 발견되어 상대적으로 최근에 발견, 개념이 정립된 세포이다. 형태학, 발생학적으로는 [[B세포]]나 [[T세포]]와 유사하나, B세포 및 T세포 수용체가 결여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선천면역]]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세포인 [[NK 세포]]도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 분화 과정 ==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기능, 특히 분비하는 [[사이토카인]]과 발생 과정에 따라서 다섯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파일:ILC의 분화.jpg|width=400]] 위 그림은 림프계 전구세포(common lymphoid progenitor, CLP)로부터 5개 종류의 선천성 림프구 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분화 과정에서 관여하는 [[전사인자]][* 그림의 T-bet, GATA3 등] 와 주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 그림의 인터루킨(IL), 인터페론(IFN) 등]들을 보여주고 있다. ILC1, ILC2, ILC3는 각각 전사인자 T-bet, GATA3, RORγT에 의해 유도되는데, 조절 T세포 중 T,,h,,1, T,,h,,2,T,,h,,17도 각각 T-bet, GATA3, RORγT에 의해 유도된다. 또한, ILC1, ILC2, ILC3은 각각 기능적으로 T,,h,,1, T,,h,,2,T,,h,,17과 유사하다. == 기능 == * [[NK세포]]와 ILC1은 각각 [[T세포#세포독성 T세포(킬러 T세포)|세포독성 T세포]], [[조력 T 세포|T,,h,,1]][* [[항원제시세포]] 활성화, 세포독성 T 세포, 자가면역, 지연형 과민반응 등의 기능을 하는 조력 T 세포의 아집단.]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이들은 암세포나 [[바이러스]]와 같이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병원체에 대항한다. 이들은 [[인터페론|인터페론 감마]](IFN-γ)를 분비하며, 특히 NK세포는 [[퍼포린]](perforin)과 [[그랜자임]](granzyme)을 통해 직접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 * ILC2는 [[조력 T 세포|T,,h,,2]][* [[면역글로불린 E]]와 관련된 [[기생충]] 면역과 [[알레르기]]에 관여하는 조력 T 세포의 아집단.]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 ILC3는 [[조력 T 세포|T,,h,,17]][* [[진균]], [[기생충]] 방어나 [[염증]] 반응 등에 관여하는 조력 T 세포 아집단.]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 LTi는 [[림프절]](lymph node)이나 파이어판(Peyer's patch)와 같은 구조들의 발달에 관여한다. ILC들은 T세포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나, T세포 수용체(TCR)을 발현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