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연수구의 법정동)] ||<-2> '''[[연수구|{{{#000000,#dddddd 연수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선학동}}}'''[br]仙鶴洞 | Seonha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연수구 선학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연수구 || || '''행정표준코드''' || 3520021 || || '''관할 법정동''' || 선학동 || || '''하위 행정구역''' || 36통 176반 || || '''면적''' || 2.41㎢ || || '''인구''' || 16,751명[* 2022년 1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950.62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연수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찬대]]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용희 ,,(초선),, || ||<-2> '''연수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최숙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성민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선학로 54 (선학동 341-1) || || [[https://www.yeonsu.go.kr/dong/?dong_idx=19/|선학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선학동 == 연수구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미추홀구를 동쪽으로는 남동구를 접하고 있으며, 마음만 먹으면 걸어서도 세 자치구[* 행정구는 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인 자치구와 다르다.]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선학역 부근은 연수구에서 출발하는 각종 버스(광역 및 시내)의 주요 기점 역할을 한다. 현재 이 지역의 모습은 연수지구 개발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아파트 단지와 주택,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있는데, 최근들어 신축 아파트 및 신규 공원의 형성 등을 통하여 변화를 꾀하고 있다. 현재 주민센터가 위치한 곳은 승기천변의 정광아파트 옆이지만, 복합청사(선학동 211-4)로 이전 계획 중이다. 선학동의 구조와 분위기에서 특이한 점은 경원대로를 중심으로 동네가 좌우로 나뉜다는 것이다. 같은 선학동임에도 불구하고 좌측과 우측의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우선, [[천주교 인천교구]]의 선학동성당이 있는 좌측은 상업 지역과 다세대주택이 주로 위치하여 먹자골목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남동공단의 근로자 및 [[가천대학교]], [[인천대학교]] 학생들이 많이 거주한다. 물론, 이 동네에도 문학산 등반로 주변으로는 아파트 단지와 주택들이 있는데, 조용한 분위기와 자연 환경을 끼고 있어 중장년층 사업가나 법조인들이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북쪽 [[인천문학경기장]] 쪽으로 이동하다 보면 제2경인고속도로의 굴다리가 나오는데, 굴다리를 지나기 전 동네는 미개발 지역이었기에 전원 풍경에 가깝다. 다만, 해당 부지에 무주골 근린공원 및 한화 [[포레나 인천연수]]가 건설 중이므로 향후 동네의 외관이 많이 변화할 예정이다. 반대편 우측 동네는 승기천변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위주이다. 이 곳도 구역이 둘로 나뉘는데 선학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고층아파트 단지와 선학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저층아파트 단지로 나뉜다. 전자는 대체로 중상위층 거주 지역에 가깝고, 후자는 상대적으로 저소득주민들이 많이 살고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전자와 후자의 아파트 가격차이 꽤 있고 생활방식이 많이다른것으로 알고있다. 선학동에는 체육 시설이 많은 편인데, [[2014 인천 아시안게임]]을 대비하여 체육관 두 곳, 2면짜리 [[필드하키]]장과 [[핸드볼]] 경기장이 구비된 인천아시안게임 선학경기장을 지었다. 아시안게임이 끝난 후에는 핸드볼 경기장을 [[선학국제빙상경기장]](지상과 지하 1면씩+지하의 컬링 전용면)으로 완공, 2015 동계체전 컬링과 전국남녀 피겨스케이팅 종별선수권대회 개최를 시작으로 일반인에게도 개방하여, 연수구민들에게는 기존의 동남 스포피아 시대를 벗어나게 해 주었다. [[2022년]]에는 선학경기장 부지에 [[K리그1]] 참가 프로축구팀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클럽하우스]]가 들어설 예정이며, [[2020년]] 12월에 착공에 들어갔다. === 교통 === ==== 버스 ==== * [[인천 버스 4]] * [[인천 버스 6]] * [[인천 버스 6-1]] * [[인천 버스 55]] * [[인천 버스 63]] * [[인천 버스 112]] * [[인천 버스 303]] * [[인천 버스 304]] * [[인천 버스 522]] * [[인천 버스 523]] * [[인천 버스 800]] * [[인천 버스 1300]] * [[인천 버스 인천e음45]] * [[광명 버스 3002]] ==== 도시철도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선학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신연수역]][* 역 자체의 주소는 [[연수동(연수구)|연수동]]이지만 4개 중 2개의 출구가 선학동으로 나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문학경기장역]][* 경기장 자체는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지만, 역무실은 연수구 선학동 소속이다.] === 주요 시설 === ==== 주거 ==== * [[한화건설]] [[포레나 인천연수]] - 2023년 9월 입주 ==== 교육 ==== * [[인천선학초등학교]] * [[선학중학교]] ==== 기타 시설 ==== * [[선학국제빙상경기장]] * [[인천 유나이티드 FC 축구센터]] * 선학별빛도서관 [[분류:연수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