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설규성}}}'''[br]'''薛奎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설규성.png|width=100%]]}}} || ||<-2> 1919년, 경성감옥에서 촬영된 사진. || ||<|2> '''출생''' ||[[1898년]] [[12월 16일]][* [[http://db.history.go.kr/id/ia_2606_2017|1919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898년 12월 11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경기도]] [[안산시|안산군]][* [[http://db.history.go.kr/id/ia_2606_2017|1919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경기도 시흥군 구안산 부내라고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긴 하나, 글씨 상태가 좋지 않아 세부 내용은 판독이 어렵다.] || || '''사망''' ||미상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9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8년 12월 16일 경기도 안산군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기도 [[경성부]] [[봉래동|봉래정2정목]](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봉래동|봉래동2가]])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으며, 마차꾼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1919년 3월 22일 오전 [[남대문역]] 근처 [[봉래동|봉래정]] 공터에서 노동자 300~400명을 포함한 700~800명의 군중이 참여한 '노동자대회'에 참여하였고, 대회에 참여한 노동자들이 일본인 노동자와 동일한 임금과 권리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주민들에게 '조선독립만세'라 적힌 깃발을 흔들며 함께 외칠 것을 독려하자 여기에도 가담하여 [[충정로|죽첨정]](현 [[서대문구]] [[충정로]])까지 만세를 부르며 행진했다. 이 일로 인해 얼마 뒤 체포된 그는 1919년 5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989&evntId=0034977311&evntdowngbn=Y&indpnId=000000932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고]] 5월 8일 경성감옥에 입소하여 옥고를 치렀다. 1919년 11월 8일 [[http://db.history.go.kr/id/ia_2606_2017|만기 출옥한 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사망년월일 또한 알 수 없다. 201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시흥시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