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심 레드포스/발로란트)] ---- ||<-3> '''{{{#fff 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 ||<-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1_indigo.jpg|width=100%]]}}} || ||<-3> '''Nongshim RedForce 코치[br]{{{+1 Indigo}}}'''[* 前 indigo_child] || ||<-3> '''{{{#de2027 설도훈 (Seol Do-hoon)}}}''' || ||<-2> '''출생''' ||[[1994년]] [[10월 28일]] ([age(1994-07-27)]세)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ID''' ||'''KRindigoJP''' [[https://dak.gg/pubg/profile/KRindigoJP/pc-2018-10/steam|#]] SEOLDOHOON [[https://dak.gg/pubg/profile/SEOLDOHOON|#]] || ||<-2> '''경력 상금''' ||'''$184,771.40 USD[br](₩222,372,379.90)'''[* [[https://www.esportsearnings.com/players/46776-indigochild-|indigo]] 경력 상금.] || ||<|2> '''소속''' || '''{{{-1 [[PUBG: BATTLEGROUNDS|[[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width=30]]]]}}}''' ||'''[[OGN ENTUS/배틀그라운드| OGN ENTUS]][* [[OGN ENTUS FORCE]] 단일팀 이전[br] (2018.03.03 ~ 2020.01.01)][br](2018.03.03 ~ 2020.11.30)''' [[DWG KIA/배틀그라운드|DWG KIA]][br](2020.11.30 ~ 2021.04.01) '''[[ENTER FORCE.36/배틀그라운드|ENTER FORCE.36]][br](2021.05.24 ~ 2022.05.31)'''|| || '''{{{-1 [[발로란트|[[파일:발로란트 심볼.svg|height=22]]]]}}}''' ||T1 Esports Academy {{{-3 코치}}}[br](2022.09.26 ~ 2023.11.09) '''[[농심 레드포스/발로란트|Nongshim RedForce]] {{{-3 코치}}}[br](2023.11.09 ~ )'''|| ||<-2> '''국가대표'''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2021]]) || ||<-3> [[https://www.twitch.tv/pubg_indigo|[[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bj.afreecatv.com/77sdh77|[[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seoldoho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UBGindigo,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이자 現 [[농심 레드포스/발로란트|Nongshim RedForce]] 코치. === 플레이 스타일 === 엔투스 시절부터 팀의 에이스로서 시야 확보와 교전에 능한 올라운더 선수로 유명했다. 특히 고점일 때의 근접전 능력이 상당한데, PCS3때 피지컬이 정점으로 올라서 국내에서도 손에 꼽는 딜량과 킬 수를 올리는 무시무시한 능력을 선보였다. 아쉽게도 담원 기아로 팀원 전원이 옮긴 뒤 참여한 PGI.S에서 폼의 저하가 크게 일어나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대회 종료 이후 계약이 종료되었다. 그리고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21년 5월 24일, E36으로 이적했음을 알렸다. 그리고 같은 팀으로 이적한 스타로드 [[이종호(프로게이머)|이종호]]와 같은 집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E36으로 참전한 PWS와 PCS4에서는 가끔 좋은 모습을 보이는 반면, 기복도 좀 있는 편이었는데, PWS2 들어서 일대다 전투에서도 활약하는 등. 기량이 상당히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 수상 경력 == * [[PUBG Club Match|나이스게임TV PUBG #1 Club Match]] '''우승''' *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2]] '''우승''' * [[PUBG Asia Invitational 2019]] '''준우승''' *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우승''' *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MVP''' * PCS 3 ASIA 한국 대표 선발전 '''우승''' * [[PCS 3 ASIA]] '''준우승''' * [[2020 인천 챌린지 컵]] '''우승''' *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PUBG 부문 '''우승''' * [[PUBG JAPAN CHALLENGE 2021 FINAL]] '''우승''' * [[PUBG JAPAN CHAMPIONSHIP 2022 Phase 1]] '''우승''' == 여담 == * 엔투스-담원 시절부터 개인방송은 잘 안하는 편이었다. E36 이적 이후에는 아프리카에서 하지만 원컴방송이라 인게임 퍼포먼스 문제도 있고, 본인이 대회에 집중하면서 방송을 보기는 힘든 편. * 엔투스 포스 시절 2018 APL PRO Tour 시즌1에서 [[정효일]]과 함께 징계를 받은 적이 있다. 사유는 [[짱깨|짱X]] 용어 사용... 그리고 이후 중국팀과 중국 관중들이 배그 대회에서 각종 패악질을 보이고 있어서 역으로 리그 팬덤에서는 '열사님'이나 '짱X 슬레이어'라고 부르고 있다. 엔투스 포스가 국제전에서 중국팀을 극상성 수준으로 잘 잡아냈기도 했고, 인디고 본인도 중국 선수들을 상대로 이상할 정도로 좋은 교전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지라 슬레이어는 이적한 이후에도 유효한 별명이다. [[분류:프로게이머/배틀그라운드]][[분류:1994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