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종합병원)] [include(틀: 권역응급의료센터)] [include(틀:권역해바라기센터)] ||<-2> {{{+1 {{{#ffffff '''성가롤로병원'''}}}}}}[br]{{{#ffffff '''Saint Carollo Hospital'''}}} || ||<-2> [[파일:성가롤로병원로고.jpg|width=100%]] || || {{{#ffffff '''슬로건'''}}} ||{{{#062944 물음표 없는 고객진료[br]마침표 없는 고객사랑}}}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ffffff '''개원'''}}} ||[[1969년]] || || {{{#ffffff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순광로]] 221([[조례동]]) || || {{{#ffffff '''종류'''}}} ||[[종합병원]] || || {{{#ffffff '''병상 수'''}}} ||568병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 || || {{{#ffffff '''웹사이트'''}}} ||[[http://www.stcarollo.or.kr|'''{{{#062944 성가롤로병원 홈페이지}}}''']] || ||<-2> [include(틀:지도, 장소=상가롤로병원, 너비=500,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순천시]] 순광로 221(조례동)에 위치한 종합병원으로 600병상 규모에 100여명의 의료진을 갖추고 있다. 전라남도 동부[* 여수,순천,광양,벌교,구례] 지역에서 가장 큰 의료기관이다. 1969년 순천시 장천동에 독일 '가롤로 보로메오 수녀회'의 지원으로 설립된 성가롤로 의원이 병원의 시작이다. 1974년 한국의 '예수의 까리따스수녀회'가 경영권을 인수했다. 1998년 3월 9일 현 부지로 확장 이전했다.[* 3월 9일부터 5월 6일까지 신설된 8개과는 조례동, 기존 진료과는 장천동에서 하다가 순차적으로 장천동의 의료자재를 조례동으로 옮기고 5월 7일에 정식 개원했다.] 병원장은 대대로 두 명만 빼고 수녀회의 수녀가 재임하고 있다. 옛 부지 주소는 장천동 44-5번지로 순천시청 지척에 있었는데 철거 후 주차장이 되었다. 현재는 순천시청 이전부지로 선정되었다. 순천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광주광역시까지 포함해도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다음으로 크다. 그렇기에 전남동부의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국가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전남 동부에서 사실상의 대학병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이나 광역시의 상급종합병원처럼 모든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검사를 한 후 수술에 따라 대학병원에 가서 이 수술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에게 받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해준다. 수녀회에서 운영하는 병원이라 그런지 바쁘디 바쁜 종합병원치고 대부분 의사가 친철하게 대해준다. 병원의 이름인 가롤로는 처음 병원을 세운 수녀회의 이름이기도 한 [[카를로 보로메오|카를로 보로메오(Charles Borromeo)]]의 이름에서 따왔다. 카를로 보로메오는 16세기의 천주교 추기경이자 성인이다. [[http://maria.catholic.or.kr/sa_ho/list/view.asp?menugubun=saint&ctxtSaintId=6|가톨릭 성인 목록]] 병원 로비에 카를로 보로메오의 초상화와 이를 설명하는 조형물들이 있다. == 교통 == 순천과 광양을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순광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무평로과 교차지역 인근에 자리잡아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성가롤로병원 앞 도로는 순천-광양지역에서 가장 많은 교통량을 자랑하기에 교통체증이 있는 편이다. * 성가롤로병원 정류장 * [[순천 버스 77]], [[순천 버스 777]] * [[광양 버스 990]](순천방향), [[광양 버스 991]](광양방향) == 진료과목 및 센터 == * 심장혈관센터 * 암센터 * 신장내과 * 소화기내과 * 호흡기알레르기내과 * 순환기내과 * 비뇨기과 * 안과 * 치과 * 이비인후과 * 영상의학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가정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핵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재활의학과 * 피부과 * 소아청소년과 * 혈액종양내과 * [[흉부외과]](심장, 폐-식도)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척추, 관절, 수부) * 외과(대장항문, 위장관, 유방, 간담췌) * 통증클리닉 * 권역응급의료센터 * 고압산소치료센터 *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 여담 == * 여수·순천·광양·고흥·구례 등 전남 동부권은 1시간 이내에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도달하지 못하는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역으로 꼽혔었다. 이전에는 가장 가까운 권역응급센터로 가려면 광주광역시나 화순군(화순전남대병원)까지 가야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016년경 성가롤로병원은 42억원을 투자해 응급의료센터를 새로 갖추었고 이로써 전남동부권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었다.[[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8212|#기사]] * 순천-광양지역에는 대학병원이 아예 없기에[* 광양에는 있었다. 87년에 개원한 조선대학교부속 광양병원이다 IMF로 인한 경영난으로 포스코에 인수당해 포스코 휴먼센터가 되었다 실내 모습은 그대로다.] 지역에서 순천의료원과 더불어 환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종합병원이기도 하다. 물론, 대학병원 만큼의 규모는 아니기에 정말 큰 병에 걸리면 광주나 수도권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 위와 같은 상황이기에 한때 신대지구에 조선대학교병원의 분원 설치를 한때 계획했고 [[순천대학교]] [[의과대학]] 설치를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전자는 여러가지 문제로 실패했고 후자는 정부가 의대 정원 자체를 한명도 증원시키지 않고 있기에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정현 의원이 순천에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을 설치하면서 의대 설치를 꾀한적도 있지만 이것도 실패했고 저 계획은 남았지만 남원에 설치될 공산이 커졌다. 이 때문에 당분간은 성가롤로 병원이 지역내 최대병원의 자리를 놓칠 일은 없을듯 하다. == 사건사고 == 2020년 7월 15일, 성가롤로병원 의사 5명이 무려 '''간호사'''에게 [[의료행위]]를 맡기는 터무니없는 행동으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http://m.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859|기사]] 병원 이미지와 운영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 기타 == * 호남 지방 최초로 단독 [[간이식]] 수술을 성공한 병원이다. * [[외과]] 간이식 수술팀은 최근 9차 간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호남권에서 유일하게 [[일산화탄소 중독]] 치료가 가능한 [[감압 챔버]]가 있다. [[분류:전라남도의 병원]][[분류:1969년 설립]][[분류:종합병원]][[분류:권역응급의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