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양계)] [목차] == 개요 == '''Interstellar object''' '''성간 천체'''란 [[태양계]] 주변에서 발견되거나 태양계에서 생성된 것이 아닌 태양계 바깥에서 온 천체들, 쉽게 말해 태양계 말고 다른 곳에서 형성되어 태양계를 스쳐 지나가는 천체들을 말한다. 2017년 10월 [[오우무아무아]]의 발견으로 새로 생긴 분류이다. 기본적으로 첫 발견시에 붙는 임시 명칭은 혜성들과 유사하며, 번호를 붙이는 방식 역시 주기 혜성들처럼 발견 순서대로 '''I''' 앞에 번호가 붙는 식이다. 외부에서 유입된 천체이기에 타원궤도가 아닌 쌍곡선궤도를 그리느라 [[이심률]]이 1을 넘기는 것이 특징이다. 이전까지 계산상 이심률이 1을 넘기는 천체는 오우무아무아 발견 이전 이심률이 가장 높았던 천체이자 1980년 12월 목성을 스쳐 지나가며 계산 결과 1.057의 이심률을 찍었던 [[혜성]] C/1980 E1가 있는데, 이 쪽은 710만년만에 다시 근일점에 다가오던 평범한(?) 초장주기 혜성이 재수없이 목성을 만나는 바람에 궤도 바깥으로 [[스윙바이|튕겨나간]] 사례라서 오우무아무아와 같은 예로 볼 수는 없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천체는 단 두 개뿐이지만, 실제로는 보다 많은 성간 천체들이 태양계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514107 [[카에파오카아벨라]], CNEOS-2014-01-08를 포함한 몇몇 [[소행성]]은 태양계 형성 당시에 포획된 성간 천체로 분석되기도 한다. == 천체 목록 == || '''번호''' || '''천체''' || '''이심률''' || '''지구 접근 거리''' || '''발견 날짜''' || || 1I || [[오우무아무아]] || 1.20113 || 0.1616 AU || 2017년 10월 19일 || || 2I || [[보리소프]] || 3.35749 || 1.937 AU || 2019년 9월 2일 || == 관련 문서 == * [[소행성체]] * [[성간물질]] [[분류:성간 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