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성공회 런던교구]] [include(틀:잉글랜드의 성공회 교구장 주교)] [Include(틀:영국 귀족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잉글랜드의 성공회 교구)] ||<-3> '''{{{+2 성공회 런던교구}}}[br]Dioecesis Londiniensis | Diocese of London''' || ||<-3> [[파일:런던교구문장.png|height=250]] || ||<-2> '''형태''' || [[성공회]] 교구 || ||<-2> '''소속관구''' || [[캔터베리 대주교|캔터베리관구]] || ||<-2> '''주보성인''' || [[바울로|성 바울로]] || ||<-2> '''교구설립''' || [[604년]] || ||<-2> '''주교좌''' || [[세인트 폴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1550년 ~ 1556년, 공동주교좌.]~~ || ||<-2> '''교구장[* 성직귀족, 잉글랜드 성공회 내 연공서열 3위]''' || 사라 멀랠리 주교[* 영국 기사. 대영제국 훈장 2등급(DBE) 수훈자, 전직 간호사 겸 보건행정가[br][[https://www.kcl.ac.uk/people/dame-sarah-mullally|KCL People - Sarah Mullally]], [[http://www.ilyo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167|관련 기사 1]],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07593|관련 기사 2]]]{{{-2 (133대)}}} || ||<-2> '''보좌주교''' || 루사 은셍가응고이 주교[* 웰리스덴대리구장] 조너선 베이커 주교[* 풀럼의 주교. 런던교구, [[성공회 로체스터교구|로체스터교구]], [[성공회 서더크교구|서더크교구]] 등 3개 교구의 여성 성직 거부 신자 전문 사목] 롭 위컴 주교[* 에드먼튼대리구장] 릭 소프 주교[* 아이슬링턴의 주교, 신설 본당 전담 사목.] 조앤 그렌펠 주교[* 스테프니대리구장] 엠마 이네슨 주교[* 켄싱턴대리구장] || ||<-2> '''관할구역''' || 런던, 스테인즈, 엔필드 || ||<-2> '''본당 수''' || 403개 || ||<-2> '''교구청 소재''' || [[그레이터 런던|그레이터런던]] [[시티 오브 런던]] 커스톤 스트릿 36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6 Causton Street, London, 높이=224px, 너비=100%)]}}} || ||<-3> [[https://www.london.anglican.org/|[[파일:런던교구문장.png|width=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turmir.com/29.jpg|width=100%]] }}}|| || {{{#000000 {{{-1 측면에서 본 모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0.geograph.org.uk/614047_829b4c42.jpg|width=100%]]}}}|| || {{{#000000 {{{-1 서쪽 현관}}}}}} || ▲ [[런던교구]]의 주교좌성당인 [[세인트 폴 대성당]] [목차] [clearfix] == 개요 == 성공회 런던교구(Diocese Of London)은 [[그레이터 런던]]의 상당부분(특히 [[템스 강]] 북부)을 관할하는 교구로, 403개 전도구와 475개 교회, 163개 학교를 두고 있다. 런던교구는 1979년부터 5개의 대리구를 운영하고 있는데, 런던 중심부의 런던 대리구(Two cities Episcopal Area)는 교구장이 직접 관할하며, 외곽지역의 4개 대리구(웰리스덴, 켄싱턴, 에드먼튼, 스테프니)는 4명의 보좌주교가 나눠서 관리한다. 교구장에게는 2명의 대부제[* 大副祭, Archdeacon. 주교의 전례와 행정을 보좌하는 교구 수석사제. [[대한성공회|한국관구]]에서는 '총사제'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쓰인다.]가 배속되며, 각 대리구장 주교에게도 1명씩의 대부제가 배속된다. 이들 외에, 아이슬링턴의 주교는 교구 내의 신설된 성당을 지도하는 역할을 맡는 보좌주교이며, 풀럼 명의주교는 런던, [[성공회 로체스터교구|로체스터]], [[성공회 서더크교구|서더크]], 이들 3개 교구의 여성 성직 거부 신자들에 대한 전문사목을 맡는다. == 여담 == * [[세인트 폴 대성당]]이 주교좌성당으로, 대성당의 구 사제관을 주교 공관으로 개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 런던 지역의 가톨릭 교구는 1850년에야 재건되었고, 런던교구라는 옛 이름을 버리고 대신 웨스트민스터 대교구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이게 또 재밌는게, 임시 교계제도인 런던 감목구에서 정식 교계제도인 교구로 넘어 올적에 반로마가톨릭주의자들에 의해 천주교 교구는 성공회 교구와 같은 교구명을 사용 못하게 하는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어 런던대교구가 아닌, 웨스트민스터대교구로 개편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편, 천주교 웨스트민스터대교구의 주교좌성당은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인데, 이름 비슷하고 역사가 더 오래된 [[웨스트민스터 사원]]과 비교불가인 [[세인트 폴 대성당]]에 묻혀 인지도가 낮다.] * 1540년대에 웨스트민스터 일대가 웨스트민스터 교구로 잠시 분할되기도 했었다. 그때의 주교좌성당은 그 유명한 [[웨스트민스터 사원]]. 이후 런던교구로 재편입되었다.[* 이 영향인지는 모르겠으나 [[웨스트민스터 사원]]은 이후 6년간 런던교구의 공동주교좌로도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