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19년생 전직 국회의원, rd1=성기선(1919))] [include(틀:역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2> {{{#ffffff '''대한민국 제10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br]'''{{{+1 성기선}}}[br]成基善 | Sung Ki-s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기선1.jpg|width=100%]]}}} || ||<|2> '''출생''' ||[[1964년]] [[4월 4일]] ([age(1964-04-04)]세)|| ||[[경상남도]] [[창녕군]] || || '''거주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 {{{#fff '''현직'''}}} ||[[가톨릭대학교]] 교직과 교수 || ||<|2> '''재임기간''' ||제10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역대 원장|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2017년]] [[10월 30일]] ~ [[2021년]] [[2월 19일]] || || '''사이트''' ||[[https://www.youtube.com/c/%EA%B8%B0%EC%84%A0%EC%A0%84%EA%B2%B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kisun.su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kisun.su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pf.kakao.com/_lgxcxeb|[[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greenmount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성향''' ||[include(틀:진보교육감)] || || {{{#fff '''학력'''}}} ||[[계성고등학교(대구)|대구 계성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 {{{-2 ([[국어교육과|국어교육학]][* [[부전공]]을 [[교육학]]으로 했다.]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교육학]][* [[교육사회학]]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80812|高等學校(고등학교) 系列化(계열화)의 社會配置(사회배치) 機能(기능)에 관한 縱斷的(종단적) 硏究(연구) : 계열배치 결정과 졸업 후 진로결정을 중심으로]](1988).]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649325|人文系(인문계) 高等學校(고등학교) 學校效果(학교효과) 硏究(연구)]](1997).])}}} || || {{{#fff '''경력'''}}} ||석관고등학교 국어교사[br]가톨릭대학교 교직과 교수[br] 경기도율곡연수원 원장[br]제10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역대 원장|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단일 임기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중 역대 최장 기간인 3년 3개월이다.][br]경기교육대전환포럼 상임대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교수. == 주요 이력 == 1964년 4월 4일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났다. [[계성고등학교(대구)|대구 계성고등학교]] 졸업 후 1982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2계열에 입학했다. 이후 [[국어교육과]]를 선택해 주 전공으로 했고, [[교육학]]을 [[부전공]]으로 수학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야학 교사로 활동하면서 교육학 및 [[사회학]] 분야에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교육문제를 공부하기 위해 학부 졸업 후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과정에 진학했고, 1988년 2월 「[[http://www.riss.kr/link?id=T180812|高等學校(고등학교) 系列化(계열화)의 社會配置(사회배치) 機能(기능)에 관한 縱斷的(종단적) 硏究(연구) : 계열배치 결정과 졸업 후 진로결정을 중심으로]]」(1988)라는 [[학위 논문]]으로 교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89년 3월 [[석관고등학교]]에 [[교사]]로 발령받아 1년 간 교육현장을 경험하고, 이듬해인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박사과정 중 관심사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학교교육을 통해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등 주로 [[교육사회학]]과 관련한 것이었다. 1997년 「[[http://www.riss.kr/link?id=T649325|人文系(인문계) 高等學校(고등학교) 學校效果(학교효과) 硏究(연구)]]」(1997)라는 학위 논문으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1997년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한국문화정책개발원]](現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문화교육·[[평생교육]]을 연구했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는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연구본부에서 부연구위원으로 근무했으며,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유네스코]] 컨설턴트로서 [[캄보디아]]의 [[문해율]]을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2000년 가톨릭대학교 교직과 교수로 부임했고, 200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약칭 [[UCLA]])에 [[연구교수]]로 파견되었다. 2011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사단법인]]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정책연구소장을 맡았다. 2002년에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지역, 2012년도에 [[광명시]], [[안산시]], [[의정부시]] 지역, 2015년 [[용인시]] 지역의 '''고등학교 평준화를 위한 타당성 연구의 책임자를 맡아서 모든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에는 경기도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진보진영 [[이재정]] 후보의 정책위원장을 맡았다. 이 과정에서 혁신학교 지속과 꿈의학교, 마을교육공동체 등 새로운 정책 방향을 함께 만들었다고 한다. 이 선거에서 이재정 후보가 당선되자 경기도교육감직 인수위원으로서 민생분과위원장을 맡아 활동했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경기도교육청 산하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장, 경기도중앙연수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연수 체제의 개편을 시도했다. 2017년 11월에는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이 됐다. 취임 보름 만에 [[2017년 포항 지진|포항 지진]]이 일어나면서 예정돼 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주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자, 이를 총괄하면서 수능을 완료할 수 있도록 관리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터졌을 때도 또 다시 수능이 연기됐지만 무사히 치른 뒤, 2021년 2월 퇴임했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511_0001867315|#]] 평가원장 재임기 평가원의 행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역대 원장#s-10|해당 문서]] 참조. [* 평가원장인데도 이전에 '수능 자격고사화' 를 주장한 경력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다만 정확히 말하면 교과 중심으로 풀 수 있는 수능을 넘어섰다는 것을 비판한 것이다. [[https://m.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112132105015#c2b|“교과 중심만으론 못 푸는 수능, 수명 다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출마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진영의 교육감 후보로 출마하였으며, 김거성, 이한복, 송주명, 박효진, 이종태 후보와 경선을 거쳐 민주적혁신 단일후보로 선출되었다. 당초 이 선거의 진보 단일화를 두고 갖은 파열음이 있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단일화에 성공하며 보수진영 [[임태희]] 후보와 맞붙게 되었다. 하지만 본선에서 45.2%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MB 정부 실세로서 언론에 많이 오르내리던 임태희에 비해 인지도 싸움에서 밀리는데다가 단일화가 너무 늦었던 탓에 홍보할 시간이 빠듯했기때문에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감 선거는 투표용지에 정당명이 미표기되어 있고 후보 순서도 랜덤이기 때문에 인지도 싸움이 정말 중요하다. 경기도 3선 국회의원에 노동부장관에 대통령비서실장까지 지냈던 실세 정치인과 교수 출신 평가원장 중에는 당연히 전자가 경기도민들에게는 훨씬 익숙하다. 비슷한 이유로 보수세가 강한 울산, 경남 등에서는 진보진영 현직 교육감이 인지도 덕을 보며 당선에 성공했다. 부산도 비록 낙선하긴 했지만 강한 보수세에 비하면 1~2% 안팎으로 상당히 선전했던 것을 보면 인지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그래도 짧은 기간동안 안좋은 분위기 속에서 45%를 득표한 것으로 보면 후일을 기약해도 될일. 낙선 이후에는 선거기간 동안 유튜브가 재밌었다면서 유튜버로 활동한다고 한다. ===# 선거 공약 #=== [[파일:성기선단일화.jpg|Width=200]] >🔥'''코로나19 후유증 극복을 위한 특별 공약'''🔥 > >👉코로나19 후유증 종합검사(몸과 마음/스마트기기 중독/기초학력/사회성) 실시 및 맞춤형 종합 지원 >👉코로나19 후유증 회복 지원금 지급 >👉코로나19 후유증 회복 집중 기간 운영(학생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공문 ZERO, 교육감이 직접 찾아가는 긴급 지원을 운영) > > >🔥'''내 아이처럼 책임교육'''🔥 > >👉초등학교 1, 2학년 학급당 학생 수 20명 상한제 >👉기초학력 전담교사 배치 >👉초1, 중1, 고1 전환기 교육 책임 운영 >👉AI튜터로 사교육 걱정 없는 예습·복습 지원 >👉돌봄 원스톱 지원 서비스 및 교육지원청 긴급돌봄 119 운영 >👉학생 기본교육 지원금 지급 >👉특수교육지도사 확대 배치 및 행동 중재 지원 기관 확대 > > >🔥'''힘을 키우는 기본교육'''🔥 > >👉체·덕·지 교육 강화 및 발달단계에 맞는 기본 교육 실시 >👉읽기, 쓰기, 셈하기 그리고 사회성 기초역량 강화 >👉진로교육원 설립으로 질적 수준 향상, 지역교육과정 확대를 통한 진로교육 강화 >👉가고 싶은 학교, 즐거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학생들이 제안해준 공약 반영 > > >🔥'''미래를 담는 혁신교육'''🔥 > >👉학생들이 직접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특성에 맞게 구성·운영하는 미래학교 설립 >👉혁신 교육의 질적 성장을 통한 심화·발전 >👉경기도형 미네르바 스쿨 도입하여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꿈의 학교 확대 및 학점 인정 >👉학교시설관리공사 설립으로 학교시설 체계적 관리·공유 및 배움과 성장에 최적화된 교육환경 구축 > > >🔥'''사교육비 부담을 더는 교육'''🔥 > >👉AI-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종합 플랫폼 구축(학생 개인별 온라인 공부방 제공 및 학습코칭, 예습·복습 지원) >👉지역과 함께하는 안심 돌봄 및 교육지원청 긴급돌봄 119 운영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성향}}}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교육감 || [include(틀:진보교육감)] || 2,541,863 (45.20%) || 낙선 (2위) || [* 범진보 단일 후보.] || == 여담 == * 전직 평가원장으로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직접 풀어본 영상을 찍었다. [youtube(Z1KAcTX76sE)] * 평가원장 재직 중 임플란트를 11개나 할 정도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고 밝혔다.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8174|성기선 전 교육과정평가원장, “수능으로 고통받는 교육 이젠 끝났으면”]] [각주] [[분류:1964년 출생]][[분류:창녕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계성고등학교(대구)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분류:교육 유튜버]][[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유튜버]][[분류:교수 출신 유튜버]][[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