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성남330출.png|width=100%]] || [[파일:성남330출대기.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일반시내버스 330(출)번}}} || ||<-2><:>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야탑역.고속버스터미널)||<-2><:>종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이노밸리)|| ||<|2><:>종점행||<:>첫차||<:>07:10||<|2><:>기점행||<:>첫차||<:>07:20|| ||<:>막차||<:>09:25||<:>막차||<:>09:30|| ||<-2><:>평일배차||<:>5~10분[* 07:10분부터 09:30까지 총 24회 운행하며, 07:10~08:40까지는 5분 간격, 이후 09:30까지 10분 간격으로 운행하나 도로 상황에 따라 배차 간격이 다소 들쭉날쭉하다.]||<-2><:>주말배차||<:>'''미운행'''|| ||<-2><:>운수사명||<:>[[성남시내버스]]||<-2><:>인가대수||<:>-[* 성남시내버스 차량을 차출해 운행하며 고정차량 3대로 운행했다.]|| ||<-2><:>노선||<-4><:>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고속버스터미널]] → '''(무정차)''' → 차그룹컨소시엄 → 봇들육교 → 이노밸리.포스코ICT →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 → 송현초등학교.판교주공4단지 → 야탑역.고속버스터미널 || == 개요 == [[성남시내버스]]에서 운행 했던 출근형버스 노선이다. [[http://map.naver.com/?busId=502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평일 출근시간대에 '야탑역 - 이노밸리' 구간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2015년에는 350(출)번이 있었으며, 판교테크노밸리로 가는 노선, 그리고 모란과 상대원공단을 잇는 노선이 있었다. 출근 시간대에만 모란에서 매시 10분 단위로 출발했으며, 대원터널까지 무정차로 통과했다. * 기사 부족으로 인해 2019년 8월 12일에 폐선되었다. == 특징 == * 평일 출근시간대(야탑역 기준 07:10~09:30)에만 운행했다. * 이노밸리 방향은 '야탑역 - 차그룹컨소시엄' 구간을 무정차 운행했다. 반대 방향은 모든 정류장에 정차했다. * 초창기엔 [[성남 버스 330|330번]] 차량을 가져와 운행했으나, 최근에는 330번 차량 이 외의 [[성남시내버스]] 소속 [[성남 버스 88|88번]], [[성남 버스 200|200번]], [[성남 버스 250|250번]], [[성남 버스 331|331번]] 등 다양한 노선에서 차량을 긁어온다. 이런 차들은 버스에 '''330 출근형버스''' 스티커를 붙여서 운행한다. 그리고 [[성남 버스 200|200번]]에 고정 차량이 3대 있었다. * [[야탑역]]에서 탈 때는 반드시 '''330번 출근형''' 이라는 표지판 앞에 줄을 서야만 탈 수 있었다. * 2015년 10월 한 달간 총 승차량은 2005명이었다. * [[성남 버스 330|330번]] 본선과 출근형버스 모두 사람이 많으면 일부 구간이 겹치는 [[성남 버스 15-1|15-1번]], [[성남 버스 350|350번]]을 타도 된다. 20분 간격인 [[성남 버스 73-1|73-1번]]도 있으며 현재는 이 노선의 완벽한 대체 노선이라 보면 된다.[* 이 노선이 폐선된 이후 73-1번 혼잡도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 8시 40분 이후에는 1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그러나 폐선 직전에는 기사 부족으로 3대만 운행해 배차간격이 20분 넘게 벌어졌던 적도 있었다. 15-1번, 73-1번, 330번, 350번, 357번, 380번을 타자. 최근 15-1번의 연장 및 증차, 380번의 운행 정상화, 73-1번의 이노밸리 회차로 굳이 이 노선을 고집하지 않아도 된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야탑역]] [[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