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남시의 버스)] [[파일:9607_6946.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960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9607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출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성우스타우스)[br]'''[도착]'''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낙생농협)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청담초등학교앞)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0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30~35분 ||<-2> 휴일배차 || 50~60분 || ||<-2> 운수사명 || [[성남시내버스]] ||<-2> 인가대수 || 8대 || ||<-2> 노선 ||<-4> 성우스타우스 - 신한아파트 - 삼성아파트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이마트 - 정든마을.우성아파트 - 동국대한방병원.수내고교 - 푸른마을.신성아파트 - 그린타운정문 - 임광아파트후문 - 서현중학교 - [[이매역]] - 성남아트센터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aaa 탄천IC -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 - 동부간선도로 - 수서IC}}} - 삼성서울병원 - 대치아파트 - 쌍용아파트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봉은사역]] - [[청담역]] - 프리마호텔 → 일지아트홀 → 청담초등학교 → 프리마호텔 → 이후 역순 || == 개요 == [[성남시내버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60km다. [[http://map.naver.com/?busId=507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1년 6월 8일에 개통되었다.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의 영향으로 [[성남 버스 9407|9407번]] 운행분 5대가 전부 넘어오면서 2014년 7월 16일에 12대로 증차되었다. * 2016년 3월 26일에 [[청담역]] 대신 청담초등학교를 경유하여 회차하도록 변경되면서 [[성남 버스 9407|9407번]]과 동일해졌다. * 2018년 4월 22일에 1일 6회로 감회되었고 첫차가 5시 20분에서 6시 40분으로 늦춰졌다. * 2019년 7월 29일에 1일 5회로 감회되었고 첫차가 6시 40분에서 7시 10분으로, 막차가 22시 10분에서 22시로 조정되었다. * 2019년 9월 23일에 첫차가 7시로 변경되었다. * 2021년 1월 11일부터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전환 초기에는 5대만 운행했지만, 2021년 2월 8일부터 인가댓수 8대를 모두 채워 운행하게 되었다. * 2022년 3월 28일부터 영동대교 남단 교차로와 정류장 사이 거리가 너무 좁아 사고위험이 높은 영동교입구,청담자이아파트 정류장을 정차하지 않는다. * 2022년 12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63421|관련 게시물]] == 특징 == === 공공버스 전환 이전 === * 분당신도시에서 기존에 직행좌석버스가 다니지 않던 구간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수요를 노리고 신설되었다. 하지만 해당 구간에 직행좌석버스가 다니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수요가 없어서였기 때문에 승객이 늘기는커녕 적자가 쌓여갔고, 이제는 적자 최소화를 위해 딱 1대만 운영하여 [[성남 버스 9507|9507번]]과 함께 정말 '''아는 사람만 타는''' 노선이 되었다. * 야탑역 이북으로는 전반적으로 [[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이 강세여서 수요가 많지 않은 편이다. 더군다나 구시가지에는 비슷한 선형을 가진 [[서울 버스 361|4419번]] 노선이 있으므로 굳이 광역버스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심지어 [[성남 버스 9507|9507번]]과 다르게 이 노선은 퇴근시간조차 딱 맞추어서 운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첫차를 뺀 나머지는 9407이 뜸하게 다니는 시간대에 '''주워먹기'''로 간신히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 [[성남 버스 9407|9407번]]의 운행을 포기하고 9607번으로 증차하여 12대로 운행 중이었는데, 수요가 너무 없어서 얼마 못 가 2~3대로 줄더니 1대로 5회만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었다. 그래서 하루에 100명도 채 안 타는 수준이라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 오후처럼 차량 정체가 없으면 강남에서 분당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장점을 갖추고 있었다. === 공공버스 전환 이후 === * 배차간격이 대폭 단축되었지만, [[성남 버스 9507|9507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개선점이 없는 상황이어서 미래가 어둡다. 그렇기에 일각에서는 이 노선을 살릴바에 그냥 [[성남 버스 9414|9414번]]이나 맡아서 재운행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의견도 있을 정도이다. * 과거 9407번을 운행하던 시절부터 구미동차고지에 성남시내버스가 입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구미동차고지에서는 발도 들이지 않아 승하차도 불가능한건 물론 차량 주박 및 가스충전, 기사교대도 [[사송공영차고지]]로 가서 한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오리역]]에는 3대가 정차하고 있는 모습을 볼수있다. * 서울 구간은 [[성남 버스 9407|9407번]], [[성남 버스 9507|9507번]]과 완전히 동일하다. 차량 외벽에는 [[압구정로데오역]]을 간다고 써져 있으나, 가장 가까운 일지아트홀 정류장에서 내려도 역 출구와는 250m 정도 떨어져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된 후 다시 배차간격이 [[크고 아름답다|크고 아름답게]] 벌어지고 있다.----수요가 없어서 그런가---- === 시간표 === [[https://m.blog.naver.com/xxxu000/222759354126|2022년 06월 04일 기준]]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3>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787|| || ||2013년|| 1,135|| {{{#red △ 348}}}|| ||2014년|| 1,166|| {{{#red △ 31}}}|| ||2015년|| 1,036|| {{{#blue ▽ 130}}}|| ||2016년|| 805|| {{{#blue ▽ 231}}}|| ||2017년|| 352|| {{{#blue ▽ 453}}}|| ||2018년|| 176|| {{{#blue ▽ 176}}}|| ||2019년|| 80|| {{{#blue ▽ 96}}}|| ||<-3>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460|| || ||2013년|| 329|| {{{#blue ▽ 131}}}|| ||2014년|| 570|| {{{#red △ 241}}}|| ||2015년|| 562|| {{{#blue ▽ 8}}}|| ||2016년|| 449|| {{{#blue ▽ 113}}}|| ||2017년|| 196|| {{{#blue ▽ 253}}}|| ||2018년|| 138|| {{{#blue ▽ 58}}}|| ||2019년[* 3월 자료 누락으로 4월 자료로 대체]|| 46|| {{{#blue ▽ 92}}}||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학여울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대모산입구역]], [[압구정로데오역]]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성남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