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성장환}}}[br]成章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장환.jpg|width=100%]]}}} || ||<|2> '''출생''' ||[[1916년]] [[10월 20일]] ||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내서면 능암리[* [[창녕 성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성해식]]도 이 마을 출신이다.][br](現 경상북도 상주시) || ||<|2> '''사망''' ||[[2004년]] [[3월 19일]] ||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본관''' ||[[창녕 성씨]] || || '''학력''' ||[[경북고등학교|경북공립중학교]] {{{-2 (졸업)}}}[br][[니혼대학]] {{{-2 (법과)}}}[* 졸업 여부는 불명.]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916년 10월 20일 경상북도 상주군 내서면 능암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38년 [[경북고등학교|경북공립중학]]을 졸업한 뒤 일본 동경으로 유학하여 [[니혼대학]] 법과에 재학했다. 그러던 중 경북중학 동창인 동경유학생 최홍준(崔弘俊)과 만나 "참혹한 민족차별의 현 제도가 존속되는 한 일제의 학대를 받아야 하므로, [[민족자결주의]]를 표방하여 일본으로부터 한국을 독립하게 하는 민족의식을 앙양하여 궐기할 것"을 맹세하고 활동했다. 1943년 2월 초순경에는 서울에서 최홍준·[[여대현]] 등과 다시 만나 "우리는 동지로서 이후 더욱 협력하여 난관을 돌파하고 조선 독립의 실현을 위하여 매진해야 한다"고 약속하고 이의 실현을 위하여 민족의식 앙양을 도모했다. 그러나 이 일이 경찰에 탐지되는 바람에 체포되었고, 1944년 1월 3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및 육군형법과 해군형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 [[8.15 광복]] 직후 석방되었다. 이후 대전에서 조용히 지내다 2004년 3월 19일 충남대학교병원에서 병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성장환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2004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창녕 성씨]][[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1916년 출생]][[[분류:니혼대학 출신]][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