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성주군 농어촌버스]][[분류:대구광역시 경유 관외노선]] [include(틀:성주군 농어촌버스)] || [[파일:경일9133.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용암-문양역}}} || ||<-2>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문양역) || ||<|2> 종점행 || 첫차 || 13:30 ||<|2> 기점행 || 첫차 || 08:40 || || 막차 || 18:00 || 막차 || 18:10 ||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문양역 방향: 1일 3회/성주 방향: 1일 5회 || ||<-2> 경유지 ||<-4> 성주버스정류장 - 성산1리, 차동골 - 중티마을(중거리) - 마월리 - 덕평리, 원덕평 - 본리2리, 두루실 - 본리1리 - 용암 - 상언1리, 구룡골 - 기산1리, 관산 - 문명1리, 문산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bbb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국도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용암-문양역(계상)}}} || ||<-2>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문양역) || ||<|2> 종점행 || 첫차 || 10:10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1회(문양역 방향) || ||<-2> 경유지 ||<-4> 성주버스정류장 → 성산1리, 차동골 → 중티마을(중거리) → 마월리 → 계상리 → 덕평리, 원덕평 → 본리2리, 두루실 → 본리1리 → 용암 → 상언1리, 구룡골 → 기산1리, 관산 → 문명1리, 문산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bbb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국도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용암-문양역(대가, 화목이, 상신)}}} || ||<-2>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문양역) || ||<|2> 종점행 || 첫차 || 14:30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1회(문양역 방향) || ||<-2> 경유지 ||<-4>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하목 → 죽전리 → 상신리 → 덕평리, 원덕평 → 본리2리, 두루실 → 본리1리 → 용암 → 상언1리, 구룡골 → 기산1리, 관산 → 문명1리, 문산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bbb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국도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용암-문양역(덕평)}}} || ||<-2>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문양역) || ||<|2> 종점행 || 첫차 || 07:40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1회(문양역 방향) || ||<-2> 경유지 ||<-4> 성주버스정류장 → 성산1리, 차동골 → 중티마을(중거리) → 마월리 → 계상리 → 덕평리, 원덕평 → 본리2리, 두루실 → 사부골(덕평리) → 본리1리 → 용암 → 상언1리, 구룡골 → 기산1리, 관산 → 문명1리, 문산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bbb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국도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6> [[파일:성주군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용암-문양역(화목이, 용암, 선남, 한개)}}}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문양역) ||<-2> 종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2> 종점행 || 첫차 || 07:10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막차 || || ||<-2> 운수사명 || [[경일교통]] ||<-2> 운행횟수 || 1일 1회(성주 방향) || ||<-2> 경유지 ||<-4> 문양역 → 동곡초등학교 → 하산리[*국도변 국도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 [[성주대교|{{{#bbb 성주대교}}}]] → 광영검문소 → 문명1리, 문산 → 기산1리, 관산 → 상언1리, 구룡골 → 용암 → 본리1리 → 본리2리, 두루실 → 덕평리, 원덕평 → 상신리 → 죽전리 → 하목 → 죽전리 → 상신리 → 덕평리, 원덕평 → 본리2리, 두루실 → 본리1리 → 용암 → 상언1리, 구룡골 → 기산1리, 관산 → 문명1리, 문산 → 명인정보고등학교 → 선남 → 한개마을 → 명산(대산2리) → 한개마을입구 → 학산리 → 삼산2리 → 가야요양병원 → 성일웨딩 → 한국전력 → 성주버스정류장 || == 개요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성주버스정류장]]에서 용암면을 거쳐 문양역을 잇는 노선. == 역사 == * 2013년 이전에는 다사, 성서, 반고개, 서문시장, 팔달시장을 거쳐 북부정류장까지 운행하였다. * 2013년부터는 1일 1회(성주 출발 07:40/북부정류장 출발 17:55)를 제외하고 전부 문양역으로 단축되었으며, 1일 1회(성주 출발 07:40/북부정류장 출발 17:55)는 2013년 이전대로 다사, 성서, 반고개, 서문시장, 팔달시장을 거쳐 북부정류장까지 운행하였다. * 그러다가 2021년 1월부터 다사, 성서, 반고개, 서문시장, 팔달시장을 거쳐 북부정류장까지 1일 1회(성주 출발 07:40/북부정류장 출발 17:55) 운행하는 노선이 폐지되어 전 노선 문양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 특징 == * 성주군 노선이라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환승 적용되지 않으나, 2024년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에 맞춰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 포함되어 대구 시내버스,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용암에서 고령행 및 다산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성주→고령 방면: 07:30 중거/덕평/용암/광영/문양역행 07:55 용암 도착 → 08:40 [[고령터미널|고령]]행 버스, 12:20 선남/용암/동락행 버스 → 용암 12:45 도착 → 13:20 고령행 버스, 18:00 중거/용암/문양역행 버스 → 18:25 용암 → 18:35 고령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 [[문양역]]으로 갈 경우 250번이랑 시간이 맞으면 기사가 승차거부를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 위 경우와 반대로 [[문양역]]에서 [[성주읍]] 방면으로 갈 때도 이 버스는 오래 걸리니 250번을 타라고 승차거부를 할 때가 많다. * 동계기간 폭설이 내릴 때는 중거를 거칠 경우 중거리 쪽의 고개를 오를 수 없으므로, 폭설 상태에 따라 마월 혹은 중거로 단축운행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성주-타 시·군 간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