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성주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성주군)] [목차] [clearfix] == 개관 == [[성주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철도]]는 없고 대구, 칠곡, 김천에서 타야 한다. [[남부내륙선]] 철도 건설이 확정되고 2021년 1월에는 [[성주역]] 건설이 확정되었으며, 2022년에는 완전히 건설이 확정되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이 계획 중이므로 [[철도가 지나지 않는 시와 군]]에서는 --2027년[* 조기개통시 연도다.]~2028년[* 원래 일정대로 개통시 연도다.]--2030년[* 항목에 나오듯 재검토 때문에 밀렀다.] 쯤에 벗어날 예정이다. 성주터미널에서 초전면을 거쳐 [[김천시|김천]]으로 가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있는데, [[KTX]] [[김천(구미)역]]에 들어갔다가 나온다. [[문양역]]에서 [[성주읍]], [[성주역]]까지의 [[성주 경전철]] 공사가 확정되었다.[* 1단계와 2단계로 나뉜다. 1단계역 성주읍내까지 공사하며, 2단계는 [[성주역]]까지 갈 예정이다. 노선 종류는 트램. 원래 경전철로 하려고 했으나 트램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항목에 나오듯 최근 사드 보상책에서 경전철이 빠져 앞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남성주IC]], [[성주IC]])가 지나간다. 그리고 [[성주대구고속도로]]가 추진 중이다. === [[국도]] === [[30번 국도]], [[33번 국도]], [[59번 국도]]가 있다. * [[30번 국도]]: [[김천시]] 증산면에서 협곡을 타고 넘어온다. 금수면, 벽진면, 성주읍, 선남면을 관통하는 국도이며, 성주읍내와 대구를 이어주기 때문에 교통량이 가장 많고 성주읍~대구 구간은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성주대교]]를 통해 [[낙동강]] 건너 [[대구광역시]]로 이어진다. 반면 금수면 구간은 계곡 옆을 지나는데, 포장도 불량하고 길도 매우 꼬불꼬불하고 곳곳에 급커브가 굉장히 많다. 증산에 진입해서는 헤어핀도 상당하다. * [[33번 국도]]: [[고령군]]에서 넘어와 수륜면, 대가면, 성주읍, 월항면을 거쳐 [[칠곡군]]으로 넘어간다. 군을 서남-동북으로 이어주는 국도. 전구간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성주 ~ 왜관 구간은 아예 도로 자체를 통째로 새롭게 만들었기 때문에 전 구간이 입체교차로이나, 성주 ~ 고령 구간은 기존 도로에 노반만 확장한 구간이 꽤 보이기 때문에 평면교차로도 종종 보인다. * [[59번 국도]]: [[합천군]] 가야면에서 [[가야산]] 중턱을 굽이굽이 타고 수륜면으로 넘어온다. [[33번 국도]]와 잠시 중첩되었다가 다시 분리되어 가천, 금수면을 관통하여 [[김천시]]로 넘어간다. 과거 국도에 '''[[비포장도로]]'''가 2020년대까지 잔존하는 등 불량한 국도였지만, 성주군 구간은 이미 오래 전에 전부 왕복 2차로로 포장되었다.[* 사실 2010년대까지 [[59번 국도]]도 비포장도로는 [[부연동길]], 친환경로23번길 밖에 없었다.] [[초전면]], [[용암면]]은 국도가 없어 지방도로만 오가야 한다. 또한 금수면은 국도는 있지만 말만 국도지 사실상 지방도 수준의 선형이다. === [[지방도]] === * [[국가지원지방도]]: [[67번 지방도]] * [[지방도]]: [[903번 지방도]], [[905번 지방도]], [[913번 지방도]] == 버스 == 주된 교통수단은 [[버스]].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농어촌버스가 1일 40회 운행하며 농어촌버스 치고는 빗자루질 배차로 [[대구광역시]]를 연결하고, 그 외에도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성주-대구서부 버스]]나 [[김천 버스 14, 14-0|김천행 시내, 농어촌버스]], [[칠곡 버스 400|400번]]이 왜관으로 연결하는 등 인근 시군과 읍면으로 나가는 [[성주군 농어촌버스]] 노선들이 있다. 고령군, 평창군과 더불어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이 존재한다.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단일요금제]]가 당초 2022년 상반기에 시행 예정이었다가 동년 하반기로 미뤄졌고 2023년 이후로 계속 미뤄지고 있다. 김천행 버스는 6회, 고령행 버스는 9회, 왜관행 버스는 16회 다닌다. [[서울남부터미널|서울(서초동)]]로 가는 버스는 1일 5회 배차된다. 다만 같은 경상도로 가는 시외버스는 없는데, 대구, 김천, 왜관행 등은 모두 시내버스나 농어촌버스다. 마지막으로 남아있었던 [[시외버스 대구북부-성주|성주의 경상도행 시외버스]]는 2014년에 폐지되었다. 지하철을 타고 싶으면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등을 타고 [[성주대교]]를 넘어서 [[다사읍]] 문양리의 [[문양역]] 혹은 죽곡리의 [[대실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1일 4회에만[* 08:00, 10:25, 18:20, 19:10] [[문양역]]으로 들어가고, [[다사역]]은 이천리 쪽 도로에 있기 때문에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이 서는 정류장과 거리가 꽤 있다. 무료[[환승]]은 안 되고 [[시계외요금]]이 붙는다.[* 원래 대구권 광역철도의 개통 및 동시시행 예정으로 2023년에 예정이었다.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은 2024년으로 밀렸으나 환승할인은 정상적으로 2023년에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성주는 아직 관내에서도 구간요금을 물고 있기 때문에 10km 이상을 이동하면 추가요금이 붙어서 왜관~대구 전 구간을 타도 2000원이 조금 넘는 요금만 받는 칠곡과 다르게 여기는 [[대구북부정류장]]까지 가면 '''4200원'''이나 물어야 한다. 2023년 중에 군계내 단일요금이 시행될 예정으로 이로 인해 기존 농어촌버스 및 [[김천시 시내버스]]의 요금이 상당히 싸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본래 [[성주버스정류장|버스 정류장]]이 성주읍 중심부에 자리잡았는데, 낡은 데다가 사고 위험이 컸다. 오래된 시설 덕에 [[택시운전사]] 영화 촬영지로도 쓰였을 정도. 영화에선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터미널]]로 나왔다.[* 실제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규모가 굉장히 크며, [[금호고속]]에서 운영한다. 또한 전남 동부의 집결지인 만큼 노선도 굉장히 많다.] 현재는 주변 건물까지 아울러서 철거하고 창의문화교류센터를 건립 중에 있다. 이후 기존 정류장을 외곽으로 이전해 임시 정류장을 운영하고 있다가 2022년 8월 5일 창의문화센터 개장과 함께 버스 정류장을 다시 읍내로 옮겼다. [[https://sj.go.kr/download/S0001/popup/bus_210119.pdf|#]] == 택시 == 택시는 복합할증률이 무려 '''63%'''나 되며, 그것도 김천, 칠곡, 대구 등 군경계 밖으로 나가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 지역만을 오갈 때도 복합할증을 매긴다.[* 택시 바가지로 악명 높은 [[경주시|경주]]의 복합할증률이 '''55%'''다.] 그 외 별고을택시도 운행 중이나, 주민등록상 별고을 택시 운행지역에 사는 것이 아니라면 이용할 수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주군, version=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