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6><:>{{{+2 '''성주역'''}}} || ||<-6>[include(틀:지도,장소=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적송리 812,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른 문자 표기'''|| ||<-2><:>[[로마자]]||<-4><:>Seongju || ||<-2><:>[[한자]]||<-4><:>星州|| ||<-2><:>[[간체자]]||<-4><:>星州|| ||<-2><:>[[가나(문자)|가나]]||<-4><:>[ruby(星州, ruby=ソンジュ)]|| ||<-6><:><#c0c0c0>'''주소'''|| ||<-6><:>[[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적송리 812번지 일대(예정) || ||<-6> '''관리역 등급''' || ||<-6> 미정[br](~~[[한국철도공사]]~~)[* [[경상북도|역 위치상]] 대구경북본부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 ||<:><-6><#c0c0c0>'''운영기관'''|| ||<:><-2>[[남부내륙선|남부내륙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6> '''개업일''' || ||<:><-2> [[남부내륙선]] ||<-2> 2030년 예정 || ||<-6><:>'''철도거리표'''|| ||<-2> --[[김천역|{{{#!html
김천 방면}}}]][[김천역|김 천]][br] ← ? km-- || '''[[남부내륙선]]'''[br]~~성 주~~[br]{{{#red (미개통)}}} || --[[거제역(남부내륙선)|{{{#!html
거제 방면}}}]][[해인사역|해인사]][br]?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부내륙선]]의 착공예정역. [[경상북도]] [[성주군]]에 위치할 예정이다. == 상세 == 2017년 남부내륙선의 예비타당성조사 당시 김천역과 합천역 사이의 긴 거리를 단선으로 통과하기에 신호장역으로 계획되었고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서 남부내륙선이 예타면제 됨으로 착공이 확정되었다. 위치는 원래 성주군 가천면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노선이 일부 변경되어 수륜면 적송리 [[가야산]] 출입구 근처에 만들어질 예정이다. 이 역이 개통하면 [[성주군]]은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 벗어나게 된다. === 유치 노력 === 역 건설 자체는 남부내륙선 계획 초창기부터 계획되어 있었으나, 당초에는 [[신호장]]으로 계획되었었다. 그러나 [[경상북도]]와 [[성주군]]이 이 역에 여객열차를 정차시키자고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설득한 끝에 2020년 여객역으로 승격되어 2030년 완공될 예정이다. [youtube(qpJ7MIbbwaE)] 이 와중에 성주군청에 [[KTX-산천]] 모형을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65514|설치하거나]], 성주읍의 읍 승격 40주년 행사에서 또다른 KTX-산천 모형을 이용해 [[http://m.bbsi.co.kr/M/sub/popNewsView.html?idxno=933270|행사를 개최하고]] 각종 행사에서도 성주역 유치 운동을 벌이는 등 나름대로 최대한의 노력을 펼쳤다. == 역할 == [[경부선]]이 건설될 당시 성주는 철도가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철도 교통이 없었으나 이번 사업으로 성주가 철도 교통의 수혜지가 된다. 또한 위치가 인근 지역들과도 가까운 편이라서 성주 외에 다른 지역의 수요도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주역이라는 이름에 맞지 않게 역 위치가 [[성주군]] 외곽 시경계 인근에 위치해있어 읍내와는 많이 떨어져 있다. 애초에 [[남부내륙선]]이 [[경상남도]] 위주의 노선이라 [[경상북도]] 지역을 고려하지 않고 그대로 노선을 선정한 것과 성주역이 처음에는 신호장역으로 계획되어 여객수요를 생각하지 않고 만든 것이 문제이긴 하다. 하지만 남부내륙선 초기계획보다 역사가 남쪽으로 이동했는데 이는 [[공주역]]의 사례처럼 [[고령군]]의 수요를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고령군에서도 남부내륙선 역 유치를 희망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성주군청과 고령군청의 중간 위치에 역이 들어서있다. 즉 성주군, 고령군 두 지자체의 수요를 모두 고려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역 주변에는 KTX역세권 개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2024년에서 착공해서 2027년 이후에 준공할 예정이며, 분양은 미정이다. 성주군청 기준으로 성주역 부지인 적송리 까지 16km 떨어져 있다. 그나마 연결도로인 [[33번 국도]]가 왕복 4차선으로 잘 돼있어서 15분 만이면 갈 수 있다. 고령군청 기준으로는 24km에 23분 만이면 갈 수 있다. 그리고 양쪽 군에서 성주역 인근까지 [[경일교통]]의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노선이 운행한다. == 연혁 == * 2019년 1월 29일 [[남부내륙선]]이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자, 해당 노선의 신호장(교행시설)로 계획됨 * 2020년 12월 29일 국토교통부 환경영향평가에서 일반역으로 승격[[https://www.sedaily.com/NewsView/1ZBVEDNLMF|#]] * 남부내륙철도의 사업타당성 재조사로 인해 2030년 개업 예정[[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83113&ref=A|#]] == 기타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성주까지 연장되거나 [[성주 경전철]]이 개통된다면 종착역이 될 전망이다. [[파일:성주경전철연장.bmp]] [[분류:성주군의 교통]][[분류:남부내륙선]][[분류:2030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K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