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영어판 명칭''' || '''Worldspine Wurm''' ||<|6>[[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88125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세계척추 웜''' || || '''마나비용''' || {8}{G}{G}{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생물 - 웜 || ||||돌진 세계척추 웜이 죽을 때, 돌진 능력을 가진 5/5 녹색 웜 생물 토큰 세 개를 전장에 놓는다. 세계척추 웜이 어디로부터든 무덤에 들어갈 때, 그 카드를 소유자의 서고에 섞어 넣는다.|| || '''공격력/방어력''' || 15/15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Return to Ravnica || 미식레어 || [[매직 더 개더링]]에서 둘밖에 없는 공/방 15짜리 생물 중 하나.[* 또다른 하나는 당연히 [[엠라쿨]].] 바로 전 환경에는 발비 12짜리인 [[Blightsteel Colossus]]도 있었다곤 해도 발동비용도 자그마치 11이나 먹는다. 나와서 달리면 그냥 게임이 끝난다고 보면 된다. 죽이더라도 동일한 능력을 가진 꼬마(?) 셋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뒷끝이 쩐다. 즉 일단 나온 다음엔 상대가 디나이얼 한번, 판쓸이 한번을 쳐야 된다. 물론 이런 상황이 온다면 그건 상대에게 승리의 신이 붙은 상태인게 분명하니까 그냥 포기하자. 무덤에서 꺼낼 수 없다는 페널티가 있기 때문에 T2에서는 보는게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일단은 무덤에 간 뒤에 발동하는 격발능력이라 거기에 스택을 올려서 순간마법 속도의 리애니메이트를 하면 되지만 [[이니스트라드]] - [[라브니카로의 귀환]] 스탠다드에서 순간마법 속도의 리애니메이트는 자체로는 해당하는 카드가 없고 [[연금술사의 도피처]]나 [[극초음속 용]] 등 다른 카드의 보조를 받아야 해서 더더욱 힘들다. 애당초 이 정도의 마나 플레이가 가능하면 그냥 손에서 꺼내는 게 낫다. 이걸 하드캐스팅하지 않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긴 한데, 그 중에서도 가장 쉬운 것은 [[야수를 부르는 개럭]]에 의한 콜이다. 4턴에, 운만 좋으면 '''3턴만에도''' 아무렇지도 않게 소환해낼 수 있다. 하위타입에서는 마나 없이도 꺼낼 수 있는 방법이 무궁무진 하지만 하위타입에서는 다른 카드 때문에 [[커맨더]] 같은 포맷이 아닌 한 볼 일이 없는 카드라 여겨졌으나, 모던에서 4장을 채용한 인스턴트 리애니 덱이 2015년 샤를로트 그랑프리 8강에 올라가 순식간에 가격이 올라가기 시작했다. 이 카드를 만든 사람은 Erik Lauer. 너무 커서 길드에 안 맞는다고 생각해서 길드 문양 없이 나왔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라브니카로의 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