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2세대 D50.png|width=450]]||[[파일:BJEV EV5.png|width=450]]|| || 세노바 D50(2세대 차량) || BJEV EU5(2세대 차량의 전기차 버전) || '''Senova D50/BJEV EU260/BJEV EU400/BJEV EU5[* 2세대 전기차 버전]''' [목차] == 개요 == [[중국]] [[베이징자동차]](BAIC) 산하의 [[세노바]]에서 생산하고 있는 C-세그먼트 형태의 소형 세단이다. == 상세 == === 1세대(2014~2017) === [[파일:1세대 D50.png|width=700]] 초기에는 베이징 오토 C150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던 차량이었다가,[[2014년]] 베이징 오토쇼에서 최초로 세노바 브랜드의 차량으로 공개되었다.초기 [[세노바]] 측에서는 차량의 이름을 D150이라는 이름으로 구상하고 있었으나,실제로는 D5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는 중이다.가격은 74,800위안[* 원화가치 약 1,221만원]~119,800위안[* 원화가치 약 1,955만원] 사이의 가격대에서 판매되고 있다.가로형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을 채택해 [[FF 레이아웃]]이 적용되었으며,[[사브 9-3]] 차량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M-Trix 형태의 플랫폼이 적용되었다.파워트레인은 1.5L A151형 가솔린 I4 엔진과 미쓰비시 4A9 엔진 계통의 1.5L 4A91형 가솔린 터보 I4 엔진이 적용되었다.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와 [[무단변속기]](CVT) 형태의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 BJEV EU260/EU400 ==== ||[[파일:EU260.png|width=450]]||[[파일:EU400.png|width=450]]|| || BJEV EU260 || BJEV EU400 || D50 차량을 기반으로 한 전기차로,초기에는 세노바 EV30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지만,BJEV[* 베이징자동차의 전기차 제조 전문 브랜드] 브랜드가 출범하면서 EU 시리즈로 이관되었다.136마력과 240Nm의 토크를 내는 전기 모터가 장착되었고,1회 충전 시 200km를 주행할 수 있다.중국 정부의 그린카 제도에 의한 보조금 감면을 통해 20만 위안[* 원화가치 약 3,263만원]부터 시작된다고 한다.EV260 차량은 [[2015년]] 광저우 오토쇼에서 공개되었으며 전기차의 주행거리에 따라 260형과 400형의 차량으로 판매되었다.이후 2세대 D50 차량과 전기차 버전의 EU5를 공개하면서 단종되었다고 한다. === 2세대(2017~현재) === [[파일:세노바 D50.png|width=700]] [[2017년]] 4월 상하이 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6월에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11월 8일자로 출시되었다.차량의 가격은 67,900위안[* 원화가치 약 1,108만원]~96,900위안[* 원화가치 약 1,581만원] 사이에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다.이전 세대의 차량들과 같이 가로형 배치 형태의 엔진과 [[전륜구동]]을 적용해 [[FF 레이아웃]]이 적용되었으나,플랫폼은 [[닛산]]의 V 플랫폼이 적용되었으며,1세대 차량과 같은 5단 수동변속기와 [[무단변속기]](CVT) 형태의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파워트레인은 1.5L A151형 가솔린 I4 엔진만 적용되었다. ==== BJEV EU5 ==== [[파일:EU5.png|width=700]] 2세대 역시 1세대 차량처럼 전기차 버전의 EU5 차량으로 판매되며,BJEV에서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이 차량의 출시로 인해 1세대 차량의 전기차 버전인 EU260 차량과 EU400 차량은 단종되었다. 여담으로 [[메르세데스-벤츠]]와 협력하여 만든 차라고 한다. [[2019년]] EV 트렌드 코리아를 통해 국내 시장에도 공개되었다. [[분류:BAIC/생산차량]][[분류:세노바/생산차량]][[분류:BJEV/생산차량]][[분류:2014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