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보츠와나 대통령)] ||<-2> '''{{{+1 세레체 카마}}}'''[br]Sir Seretse Kham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458_6563_3432.jpg|width=100%]]}}} || ||<|2> '''출생''' ||[[1921년]] [[7월 1일]] || ||베추아날란드(현 [[보츠와나]]) 세로웨 || ||<|2> '''사망''' ||[[1980년]] [[7월 13일]] (향년 59세) || ||[[보츠와나]] [[가보로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보츠와나)] || || '''임기 기간''' ||초대 대통령 (1966년 9월 30일~1980년 7월 13일) || || '''정당''' ||[[보츠와나 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1d25; font-size: .8em" {{{#fff '''보츠와나 민주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츠와나]]의 초대 대통령. == 생애 == 현 보츠와나 지역의 부족장 중 한명이었던 카마 3세의 손자였다. 194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포트해어 대학교에서 문학사를 받았으며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와 이너 템플로 유학을 떠났다. 그러다 도중에 영국 여성 루스 윌리엄스와 만나 사랑에 빠져 결혼했는데, 인종차별이 횡행하던 당시 사회 분위기 때문에 큰 반발을 받고[* 당장 바로 옆나라이자 남 아프리카를 자기 나와바리로 여기는 강대국이 [[아파르트헤이트]]로 악명높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었고 독립하기 전의 츠와나는 그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향력이 매우 거대했다. 거기에 더해 일부 백인들의 흑인차별로 인한 반발만 있었던게 아니라, 국내 일부 흑인들이 백인(이자 평민인) 여성을 왕비로 인정할 수 없다며 백인차별까지 해버렸다.] 추방당했지만, 반발 세력의 항의로 일반인 자격으로 고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카마는 1962년에 [[보츠와나 민주당]]을 설립했고 1965년에는 수상이 되었으며 이듬해 보츠와나가 독립하면서 보츠나와의 초대 대통령이 된다.[* 그의 아내 역시 영부인이 되었는데, 이는 아프리카 최초의 백인 영부인의 사례로 여겨진다. 물론 [[아파르트헤이트]]치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있기는 하지만 보츠와나는 남아공과 달리 백인들이 많지 않은 국가이다.] 이후 여러 위기에도 불구하고 무난하게 훌륭히 나라를 다스리면서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하에 4선 모두 연임. 하지만 1980년 [[췌장암]]으로 사망한다. 2대대통령은 그의 임기동안 부통령자리에서 지탱해줬던 [[퀘트 마시레]]가 뒤를 이었으며, 그렇게 세워진 보츠와나는 아프리카에서 최고수준으로 안정적인 나라가 된다. 자식 농사도 훌륭히 지었는지 2008년에 그의 맏 아들인 [[이안 카마]]는 군인으로서 복무하다가 [[1989년]]부터 [[1998년]]까지 보츠와나군 총사령관을 역임하기도 했고 예편후 곧바로 [[2008년]]까지 10년간 부통령을 역임한 끝에 보츠와나 4대 대통령으로 취임, 무난히 연임한 뒤 [[2018년]]에 퇴임했다. == 기타 == [[파일:7614_5957_1256.jpg]] (아내와 아들들과 함께 찍은 사진) * 2016년 제작된 영화 'A United Kingdom(국내 개봉명은 오직 사랑뿐)'의 실존 모델이다. * [[보츠와나 풀라|보츠와나 50풀라]] 지폐의 인물이다. * 그의 이름을 딴 세레체 카마 경 국제공항은 [[1984년]] [[가보로네]]에서 개항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보츠와나 관련 문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보츠와나, version=389)] [[분류:1921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분류:보츠와나 대통령]][[분류:췌장암으로 죽은 인물]][[분류:화폐의 인물]][[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중부 주(보츠와나)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