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연방 정부 내각 각료 및 각료급 인사)] ---- ||<-2> '''제4대 러시아 연방 외무부 장관[br]{{{+2 세르게이 빅토로비치 라브로프}}}[br]Серге́й Ви́кторович Лавро́в'''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Серге́й_Ви́кторович_Лавро́в.jpg|width=100%]]}}} || || '''출생''' ||[[1950년]] [[3월 21일]] ([age(1950-03-21)]세)[br][[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28]]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모스크바|모스크바 연방시]]]|| || '''국적'''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28]] 소련]] →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 '''현직''' ||러시아 연방 외무부 장관 (2004~현재)|| || '''학력'''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 '''정당''' ||[include(틀:통합 러시아)]||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현직 러시아 연방 외무부 장관'''이다. == 생애 == [[1950년]] [[3월 21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이고 [[어머니]]는 [[조지아]]계 [[아르메니아인]]이다. 모스크바에서 국제관계대학교를 졸업하고 러시아 [[외무부]]에 입부하여, [[스리랑카]]에서 첫 외교관 활동을 시작하였다. 소련의 유엔 고문으로 파견되었으며,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유엔대사직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의장직도 수행하는 등 러시아 외무부에서 국제부 활동을 주로 맡아서 하였다. 외교부 장관에 매우 오래 재직하고 있는데 [[2004년]]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라브로프를 외무부 장관직에 발탁한 후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다가 [[2020년]], 푸틴의 지지율 하락으로 인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가 책임지고 [[내각총사퇴]]를 선언한 뒤 [[미하일 미슈스틴]]으로 [[러시아 총리|총리]]가 바뀐 뒤에도 유임되었다. 무려 18년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셈.[* 사실 라브로프 본인은 2020년도에 퇴임의사를 밝혔다. 슬슬 나이가 70이 넘자 업무와 전세계로 해외 출장 다니는게 힘들어서 퇴임하고 싶다는 것. 그러나 라브로프만큼 노련한 외교 전문가를 찾기는 어려워서 푸틴이 잔류를 명령해가면서 강력하게 재임해줄것을 요청했기에 어쩔수 없이 일하고 있는것이다.] [[2021년]] [[3월]] 23~25일, 3일간 방한 일정을 소화하면서 25일에는 [[정의용]] [[외교부장관]]과 회담을 가지고 양국관계, [[한반도]] 문제, 실질 협력, 국제 현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당초 수교 30주년 기념으로 작년에 방한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1년 늦춰진 것이라고 [[https://www.yna.co.kr/view/AKR20210318168600504|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미국 재무부]]의 제재 리스트에 오르게 되었다.[[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2261810001|기사]] [youtube(4XGKmwWkXD4)] 결국 UN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의에서 화상 연설을 하는데 모두 러시아의 전쟁범죄를 부정하며 서방과 우크라이나에 책임이 있다는 내용인터라 연설 도중에 참석한 외교관들이 반발하며 항의의 표시로 모두 퇴장을 하는 굴욕을 맛보기도 하였다. 2022년 5월 2일, 러시아가 '탈나치화'를 구실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에 대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들어 이의를 제기하는 기자에게 "히틀러도 유대인 혈통",[* 다만, 히틀러가 유대계 혈통이 있다는 주장은 실제로 학계에서 제기된 적이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00824090400009|#]]] "진짜 반유대주의자는 상당수가 유대인 출신"이라는 식의 음모론적 답변을 했다. 당사자인 이스라엘은 말할 것도 없고, 서방 주요 국가 정부가 그의 해당 발언을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 라브로프 장관이 우크라이나 정권 교체를 하겠다고 발언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995724?sid=104|#]] 9월 22일, 라브로프 장관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52567?sid=104|#]] 9월 24일, 라브로프 장관은 우크라이나에서 편입된 영토는 러시아의 보호를 받을것이며 인도, 브라질을 상임이사국으로 추가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61003?sid=104|#]] 2023년 3월 3일, 라브로프 장관이 인도에서 열린 정치안보회의 라이시나 다이얼로그(Raisina Dialogue)에 참석해 러시아를 피해국이라고 발언하자 참가자들의 비웃음을 샀으나 이후 [[미국]]의 이중잣대[* 미국이 저지른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거론하며 미국은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에서 그랬던 것처럼 지구상 어느 곳이든 국익에 대한 위협을 선언할 권리를 가진다고 믿는가. 당신들은 왜 그들에게는 어떤 질문도 하지 않는가” 라고 발언했다.]를 지적하며 1999년 코소보를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나토가 78일 동안 러시아의 동맹국인 세르비아를 공습한 사건을 거론하며 이어 러시아는 나토의 동진이 자국 국익에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10년 동안 경고했다고 말했을 때는 박수를 받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43646?sid=104|#]] 2023년 9월, 북러정상회담에 동행했으며 10월 18일부터 19일 사이,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다. == 기타 == * [[모국어]]인 [[러시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싱할라어]]''', '''[[디베히어]]'''를 할 줄 안다.[* 출처는 [[https://ru.wikipedia.org/wiki/%D0%9B%D0%B0%D0%B2%D1%80%D0%BE%D0%B2,_%D0%A1%D0%B5%D1%80%D0%B3%D0%B5%D0%B9_%D0%92%D0%B8%D0%BA%D1%82%D0%BE%D1%80%D0%BE%D0%B2%D0%B8%D1%87|러시아어 위키백과]]. 그외에 부모의 원어인 [[아르메니아어]]나 [[조지아어]]도 어느정도 구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축구를 좋아하는데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팬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의 [[집]]과 경기장이 가까워서 [[팬]]이 되었다고 한다. * 가족으로는 아내인 마리아 알렉산드브로나 라브포프와 딸 예카테리나가 있다. 딸 예카테리나는 영국에서 살고 미국에서 유학 생활을 한터라[*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했다.] 아버지처럼 영어를 프리토킹할 정도로 잘한다. 러시아의 기업인인 알렉산더 비노쿠로프와 결혼했고 슬하에 손녀와 손자가 있다. * 시를 좋아하며 실제로 시를 직접 짓는 [[시인(문학)|시인]]이기도 하다. * 기타를 좋아하고, 기타 치며 노래 부르기도 자주 한다. * [[래프팅]]을 좋아해서 직접 래프팅을 한 적이 많으며 러시아의 래프팅 동호회 회원이기도 하다. * 애연가로 담배를 좋아하며 공식석상에서도 흡연을 한다. [[분류:러시아의 정치인]][[분류:러시아의 외교관]][[분류:모스크바 출신 인물]][[분류:1950년 출생]][[분류: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분류:조지아계 러시아인]][[분류:통합 러시아 소속]] [[분류:푸틴 행정부/인사]][[분류: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