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4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사라토프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축구선수]][[분류: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FC 체르타노보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현역]] [include(틀: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rgeyPinyayev.png|width=100%]]}}} || ||<-2> '''{{{#fff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No. 19}}}''' || ||<-2> '''{{{#fff 세르게이 막시모비치 피냐예프[br](Сергей Максимович Пиняев)}}}''' || || '''생년월일''' || [[2004년]] [[11월 2일]] ([age(2004-11-02)]세) || || '''국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 || '''출신지''' || [[러시아]] [[사라토프]] || || '''포지션''' || [[윙어]] || || '''신체조건''' || 167cm || || '''주발''' || 양발 || || '''유소년 클럽''' || FC 토르페도 사라토프 (?)[br][[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14)[br][[FC 체르타노보 모스크바]] (2015~2020) || || '''소속팀''' || [[FC 체르타노보 모스크바]] (2020~2021)[br][[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br](2021~2023) [br][[로코모티브 모스크바]] (2023~ ) || || '''국가대표'''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15]] (2018~2019) 10경기 8골[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16]] (2018~2019) 6경기 4골[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17]] (2019~2020) 6경기[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21]] (2021) 9경기[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2022~) 3경기 1골 || [목차] == 개요 == [[러시아]] 국적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공격수]] == 클럽 경력 == 어렸을 때부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입단테스트를 받는 등 촉망받는 러시아의 축구신동으로 불렸다. 2020년 8월 1일 체르타노보 모스크바 소속으로 러시아 2부리그 데뷔를 하였다. 이르티시 옴스크를 상대로 15살 9개월 10일이라는 나이에 득점을 하여 '''역대 러시아 2부리그 최연소 득점자''' 기록을 세웠다. 팀에서의 활약과는 별개로 팀은 3부리그로 강등당하며 그의 거취가 불분명해졌다. 피냐예프는 당연히 3부리그에서 뛰기 싫었고, 이에 따라 여러 팀에서 입단테스트를 하며 팀을 알아보기 시작하였다. 이후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와 함께 훈련을 하며 친선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2021년 7월 23일에 최종적으로 50만 유로의 이적료에 크릴리야 소베토프와 계약한다. 2라운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75분에 교체출장하며 나름대로 좋은 드리블 능력을 보여줬다. 2023년 1월, 로코모티브 모스크바로 200만 유로로 이적했다. == 국가대표 경력 == 역대 러시아 연령별 대표 최연소 출장 기록을 세웠다. 13살 9개월이라는 나이에 러시아 U-16 대표팀에 데뷔하게 된다. 2022년 11월 17일, 타지키스탄과의 친선경기에서 18살 15일의 나이에 데뷔를 하면서 '''기존 [[이고르 아킨페프]]가 가지고 있던 러시아 국가대표 최연소 데뷔 기록을 경신하였다.''' 이후, 2023년 3월 26일, '''이라크와의 친선경기에서 기존 [[드미트리 시초프]]가 가지고 있던 러시아 국가대표팀 최연소 득점자 기록을 경신하였다. ''' 18살 4개월 24일.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