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4세기)] ||||<#800080> {{{#ffffff {{{+3 '''세르비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br]{{{-1 [[라틴어]]: Servius Cornelius Lentul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파트리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조부)[br]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아버지)[br]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손자?)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03년 || ||<#800080> {{{#ffffff '''전임''' }}} ||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기원전 304년 집정관)|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br][[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기원전 304년 집정관)|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 || ||<#800080> {{{#ffffff '''동기''' }}} || [[루키우스 게누키우스 아벤티넨시스(기원전 303년 집정관)|루키우스 게누키우스 아벤티넨시스]] || ||<#800080> {{{#ffffff '''후임''' }}} || [[마르쿠스 리비우스 덴테르]][br][[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기원전 302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파트리키]] 가문인 [[코르넬리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와 아버지 모두 그나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303년 [[루키우스 게누키우스 아벤티넨시스(기원전 303년 집정관)|루키우스 게누키우스 아벤티넨시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프로시노네 주민들이 헤르니키 족의 반란을 선동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원로원은 집정관에게 조사를 실시해 음모의 선동가들을 막대로 채찍질하고 도끼로 참수하였으며, 프로시노네의 토지 중 1/3을 몰수했다고 한다. 또한 움브리아의 도적떼 2천 명이 숨은 동굴 구멍을 통나무로 채우고 불을 붙여 도적떼가 연기와 열기로 인해 몰살당하게 했다고 한다. 그러나 리비우스는 '집정관'이라고만 명시했을 뿐 이름을 명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렌툴루스와 아벤티넨시스 중 누가 이 일을 수행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독일의 고고학자이자 역사가 빌헬름 카를 아우구스트 드럼만(Wilhelm Karl August Drumann, 1786 ~ 1861)에 따르면, 기원전 275년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는 그의 손자라고 한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뮌처는 그러기엔 나이 차가 적다며, 렐툴루스는 카우디누스의 삼촌이라고 주장했다. 어느 쪽이 맞는지는 기록이 부족해서 불분명하다. [[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4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