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고대 이집트 제1왕조 제7대 파라오[br]{{{+1 세메르케트}}}[br]Semerkhe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0px-SemerkhetIvoryLabel-BritishMuseum-August19-08.jpg|width=100%]][br]{{{-2 세메르케트의 상아 라벨[* 세메르케트 집권 시기 세메르케트의 업적을 새겨놓은 라벨이다. 또한 왼쪽 부분에는 세메르케트의 왕좌 이름인 아이리-네브티(Iry-Nebty)가 새겨져 있고, 그 밑에는 축복을 기원하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또한 왼쪽 상단 구석에는 이 라벨이 붙여진 항아리의 내용이 설명되어 있으며 항아리 배송을 담담했던 관리인 헤누카(Henuka)의 이름도 보존되어 있다.], [[대영 박물관]]에 전시중이다.}}}}}} || ||<-2> '''이름''' ||호루스 이름:세메르케트(Smerkhet)[* '신들의 동반자'라는 뜻이다.][br]즉위명:아이리(Iry)[* '두 여신에게 속하는 파라오'라는 뜻이다.][br]즉위명[* 아비도스 역대 파라오 목록]:셈수(Semsu)[* '장자'라는 뜻이다.][br]즉위명[* 토리노 파피루스]:셈셈𓇓𓆤𓍹𓋴𓅓𓋴𓅓𓍺[* [[호루스]]의 장자라는 뜻이다.] || ||<-2> '''출생''' ||미상 || ||<-2> '''사망''' ||[[기원전]] 2920년경 || ||<-2><|2> '''재위 기간'''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2920년경 '''(8년 6개월)'''[br]기원전 2861년 ~ 기원전 2853년[*베케라트][br]기원전 2826년 ~ 기원전 2818년[*말렉] || ||<-2> '''전임자''' ||[[아네지브]]|| ||<-2> '''후임자''' ||[[카아(파라오)|카아]] || ||<-2> '''부모''' ||[[아버지]] : [[덴(파라오)|덴]] 혹은 [[아네지브]][br][[어머니]] : 베트레스트 || ||<-2> '''무덤''' ||움 엘 카압(Umm el-Qa'ab)[br]무덤 U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제1왕조]]의 7대 [[파라오]]. 대략 기원전 2950년을 전후로 통치했다. 마네토에 따르면 세메르케트왕의 재위기엔 여러 재난이 일어났다고 한다. [[마네토]]는 18년, 토리노 왕명표엔 72년을 통치했다 하나 현대엔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실제 통치는 8년 정도라고 한다. 전임 파라오인 [[아네지브]]의 자리를 [[찬탈]]하고 즉위한걸로 추정되는데, 꽃병에 아네지브의 이름이 지워져있고 무덤의 규모가 초라하나 후임인 세메르케트는 비교적 화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네지브 시기 정계가 혼란스러웠던 점까지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세메르케트 역시 사카라 왕명표에 자신의 이름이 지워져있다. 그의 통치 중 [[종교]] 의식이 이뤄졌다 하며, 그와 후계자 [[카아(파라오)|카아]]를 모신 신하들의 이름이 적혀있는 상아 도장이 발견되었다. 팔레르모 석엔 그의 모후로 추정되는 바티리테스라는 여자가 기록돼 있다. == 통치 == 카이로 석에 그의 재위기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록되어있다. || 즉위 연도 || 파라오의 등장, 하이집트와 상이집트의 통일, [[멤피스]] 백색 성벽을 순회하였다,[* 멤피스 백색 성벽은 멤피스의 상징적인 장소이며, 이를 순회하는 것은 이집트의 영토를 보호하고 번영시키겠다는 그의 의지를 나타냈다.] || || 1년 || 호루스의 호위, '''이집트의 멸망''' || || 2년 || 파라오의 등장, 세샤트 신[* 지혜와 기록의 여신]과 세드[* 30년을 의미하는 단어. 세드 축제할때 그 세드이다.] 동상을 만들었다.[* 이는 세메르케트가 자신의 지혜와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만들은 것으로 추측된다.] || || 3년 || (소실됨)의 호위 || || 4년 || 상이집트에서 반란이 일어남, (소실됨)의 동상을 만들었다. || || 5년 || (소실됨)의 호위 || || 6년 || 상이집트에서 반란이 일어남 || || 7년 || (소실됨)의 호위 || || 8년 || 하이집트와 상이집트에서 반란이 일어남 || || 사망 연도 || (손상됨)번째 달과 (손상됨)번째 일 (손상됨) || == 이집트의 멸망? == 위의 연도별 통치 기록을 보면 알듯이 즉위 1년차에 이집트의 멸망이라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한 해석은 학자들마다 분분하지만 매우 큰 재난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 무덤 == [[파일:TombOfHorAha.jpg]] 위 사진에서의 U가 세메르케트의 무덤이다. 내부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여러가지 유물들[* 접시나 도자기 조각, 비석 등]이 발견되었다.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