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cesarawards.png|width=450]] * [[http://www.academie-cinema.org/|공식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세자르상(César Awards)은 [[프랑스]]의 국내 영화 시상식이다. [[프랑스]]에서 개최하는 국제영화제 중 세계 3대 국제영화제라 불리는 [[칸 영화제]]가 있다면, 프랑스 국내 영화 시상식으로는 세자르상이 있다. 매년마다 프랑스 영화계를 돌아보고 우수한 영화와 영화인들을 치하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랑스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영화 시상식. 1976년부터 개최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프랑스의 오스카, 프랑스판 아카데미 시상식으로 불리며, 현재 프랑스에서 가장 권위있는 영화 시상식으로 꼽힌다. 프랑스 영화계에 미치는 영향 또한 상당하여, 특히 세자르 시상식을 휩쓴 프랑스 영화들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자주 출품되는 편이다. 또한 할리우드와도 자주 교류하는 시상식이기도 하다. == 역사 == 1975년 창설된 프랑스 영화 기술 아카데미 위원회가 초대 회장이자 프랑스의 명배우인 [[장 가방]]의 사회를 시작으로 1976년 제1회 세자르 시상식을 개최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매년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프랑스 내에서 개봉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각 부문별 최고의 영화를 선정, 프랑스 영화계의 발전과 공헌에 기여한 이들을 시상하고 격려해 오고 있으며 프랑스 영화계 최대의 시상식으로 봐도 무방하다. 트로피를 직접 제작한 조각가 세자르 발다치니의 이름을 따서 ‘세자르’상으로 공식 명명되었다. 현재 약 3,000명의 아카데미 위원이 활동하고 있다. === 트로피 === [[http://www.seevibes.com/ca/wp-content/uploads/sites/4/2014/04/491983.189.jpg]] 조각가 세자르 발다치니(César Baldaccini)(1921~1998)가 직접 고안하고 조각하였다. 세자르의 유명 작품 중 하나가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의 [[올림픽공원(서울)/시설#만남의 광장|만남의 광장]]에 있는 높이 6미터의 청동 엄지손가락 상. == 시상부문 == 원래는 13개부문이었으나 신인상, 다큐멘터리상 등을 추가하여 현재 22개 부문에 걸쳐 후보를 선정하고 시상하고 있다. == 수상 내역 == 이 중 <아멜리에>와 <아티스트>는 세자르 시상식 주요 부문에 10개 이상 노미네이트되고 상을 휩쓸었으며, 영국과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였다. === 최우수 작품상 === * 1976년 제1회 - 추상 (Le vieux fusil) * 1977년 제2회 - 미스터 클라인 (Monsieur Klein) ㅡ 조지프 로지 감독 * 1978년 제3회 - 프로비던스 (Providence) ㅡ 알랭 레네 감독 * 1979년 제4회 - 타인의 돈 (L'argent des autres) * 1980년 제5회 - [[테스]] (Tess) ㅡ [[로만 폴란스키]] 감독 * 1981년 제6회 - 마지막 지하철 (The Last Metro) ㅡ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 1982년 제7회 - 불을 찾아서 (Quest for Fire) ㅡ 장 자크 아노 감독 * 1983년 제8회 - 라 밸런스 (La Balance) * 1984년 제9회 - 우리의 사랑 (À Nos Amours)[* [[모리스 피알라]] 감독], 공 (Le Bal)[* 공동수상] * 1985년 제10회 - 마이 뉴 파트너 (My New Partner)[* 한국영화 [[투캅스]]가 [[표절]]한 작품.] * 1986년 제11회 - 세 남자와 아기 바구니 (Three Men And A Cradle) * 1987년 제12회 - 테레사 수녀 (Thérèse) ㅡ 알랭 카발리에 감독 * 1988년 제13회 - 굿바이 칠드런 (Au revoir les enfants) ㅡ 루이 말 감독 * 1989년 제14회 - [[카미유 클로델(1988)|카미유 클로델 (Camille Claudel)]] * 1990년 제15회 - 내겐 너무 이쁜 당신 (Too Beautiful For You) * 1991년 제16회 - [[시라노]] (Cyrano de Bergerac) * 1992년 제17회 - 세상의 모든 아침 (Tous les Matins du Monde) * 1993년 제18회 - 세비지 나이트 (Savage Nights) * 1994년 제19회 - 스모킹/노스모킹 (Smoking/No Smoking) ㅡ 알랭 레네 감독 * 1995년 제20회 - 야생 갈대 (Wild Reeds) ㅡ 알랭 레네 감독 * 1996년 제21회 - [[증오(1995)|증오]] (La Haine) - 마티유 카소비츠 감독 * 1997년 제22회 - 리디큘 (Ridicule) * 1998년 제23회 - 우리들은 그 노래를 알고 있다 (Same Old Song) ㅡ 알랭 레네 감독 * 1999년 제24회 - 천사들의 꿈 (The Dreamlife of Angels) * 2000년 제25회 - 비너스 보떼 (Venus Beauty Institute) * 2001년 제26회 - 타인의 취향 (The Taste of Others) * 2002년 제27회 - [[아멜리에]] (Amelie) - [[장 피에르 주네]] 감독 * 2003년 제28회 - [[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영화)|피아니스트]] (The Pianist) ㅡ [[로만 폴란스키]] 감독 * 2004년 제29회 - 야만적 침략 (The Barbarian Invasions) * 2005년 제30회 - 레스키브 (Games Of Love And Chance) * 2006년 제31회 -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 (The Beat That My Heart Skipped) - [[자크 오디아르]] 감독 * 2007년 제32회 - [[채털리 부인의 연인|레이디 채털리]] (Lady Chatterley) * 2008년 제33회 - 생선 쿠스쿠스 (The Secret Of The Grain) * 2009년 제34회 - 세라핀 (Séraphine) * 2010년 제35회 - [[예언자(영화)|예언자]] (A Prophet) - [[자크 오디아르]] 감독 * 2011년 제36회 - 신과 인간 (Of Gods And Men) - 그자비에 보부아 감독 * 2012년 제37회 - [[아티스트(영화)|아티스트]] (The Artist) - 미셸 아자나비슈스 감독 * 2013년 제38회 - [[아무르(영화)|아무르]] (Amour) - [[미카엘 하네케]] 감독 * 2014년 제39회 - 엄마와 나 그리고 나의 커밍아웃 (Me, Myself And Mum) * 2015년 제40회 - [[팀북투]] (Timbuktu) - 압데라만 시사코 감독 * [[제41회 세자르 시상식|2016년 제41회]] - 파티마 (Fatima) * [[제42회 세자르 시상식|2017년 제42회]] - [[엘르(영화)|엘르]] (Elle) - [[폴 버호벤]] 감독 * [[제43회 세자르 시상식|2018년 제43회]] - [[120BPM]] (120 battements par minute) - 로빈 캉필로 감독 * 2019년 제44회 - [[아직 끝나지 않았다]] (Custody) - 자비에 르그랑 감독 * 2020년 제45회 - [[레 미제라블(2019년 영화)|레 미제라블]] - 라주 리 감독 * 2021년 제46회 - 아듀 - 알베르 뒤퐁텔 감독. * 2022년 제47회 - 로스트 일루젼(Lost Illusions) - 자비에 지아놀리 감독 * 2023년 제48회 - 더 나이트 오브 투웰브스(the night of the 12th) - 도미니크 몰 감독 === 외국영화상 === * 1976년 제1회 - [[여인의 향기]] - 디노 리시 감독. * 1977년 제2회 - 우리는 그토록 사랑했네 - 에토레 스콜라 감독. * 1978년 제3회 - 특별한 날 - 에토레 스콜라 감독. * 1979년 제4회 - 나막신 나무 - 에르만노 올미 감독. * 1980년 제5회 - 맨해튼 - [[우디 앨런]] 감독. * 1981년 제6회 - [[카게무샤(영화)|카게무샤]] -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 1982년 제7회 - [[엘리펀트 맨(영화)|엘리펀트 맨]] - [[데이비드 린치]] 감독. * 1983년 제8회 - 빅터 빅토리아 - 블레이크 에드워즈 감독. * 1984년 제9회 - 화니와 알렉산더 - [[잉마르 베리만]] 감독. * 1985년 제10회 - [[아마데우스(영화)|아마데우스]] - [[밀로스 포먼]] 감독. * 1986년 제11회 - 카이로의 붉은 장미 - [[우디 앨런]] 감독. * 1987년 제12회 - [[장미의 이름]] - [[장자크 아노]] 감독. * 1988년 제13회 - [[마지막 황제]]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 * 1989년 제14회 - [[바그다드 카페]] - 퍼시 아들론 감독. * 1990년 제15회 - [[위험한 관계]] -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 * 1991년 제16회 - [[죽은 시인의 사회]] - [[피터 위어]] 감독. * 1992년 제17회 - 토토의 천국 - [[자코 반도르말]] 감독. * 1993년 제18회 - [[하이힐(스페인 영화)|하이힐]] -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 1994년 제19회 - [[피아노(영화)|피아노]] - [[제인 캠피온]] 감독. * 1995년 제20회 - 네번의 결혼식과 한번의 장례식 - 마이크 뉴웰 감독. * 1996년 제21회 - [[랜드 앤 프리덤]] - [[켄 로치]] 감독. * 1997년 제22회 - [[브레이킹 더 웨이브]] - [[라스 폰 트리에]] 감독. * 1998년 제23회 - 작은 목소리 - 마크 허먼 감독. * 1999년 제24회 - [[인생은 아름다워]] - [[로베르토 베니니]] 감독. * 2000년 제25회 - 내 어머니의 모든 것 -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 2001년 제26회 - [[화양연화]] - [[왕가위]] 감독. * 2002년 제27회 - [[멀홀랜드 드라이브]] - [[데이비드 린치]] 감독. * 2003년 제28회 - [[볼링 포 콜럼바인]] - [[마이클 무어]] 감독. * 2004년 제29회 - [[미스틱 리버]] -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 2005년 제30회 -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소피아 코폴라]] 감독. * 2006년 제31회 - [[밀리언 달러 베이비]] -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 2007년 제32회 - [[미스 리틀 선샤인]] - 조나단 데이톤, 발레리 페리스 감독. * 2008년 제33회 - [[타인의 삶]] -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감독. * 2009년 제34회 - [[바시르와 왈츠를]] - 아리 폴만 감독. * 2010년 제35회 - [[그랜 토리노]] -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 2011년 제36회 - [[소셜 네트워크]] - [[데이비드 핀처]] 감독. * 2012년 제37회 -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 * 2013년 제38회 - [[아르고(영화)|아르고]] - [[벤 애플렉]] 감독. * 2014년 제39회 - 브로큰 서클 - 펠릭스 판흐루닝언 감독. * 2015년 제40회 - [[마미(영화)|마미]] - [[자비에 돌란]] 감독. * 2016년 제41회 - [[버드맨]]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 * 2017년 제42회 - [[나, 다니엘 블레이크 ]] - [[켄 로치]] 감독. * 2018년 제43회 - [[러브리스]] -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 * 2019년 제44회 - [[어느 가족]]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 2020년 제45회 - [[기생충(영화)|기생충]] - [[봉준호]] 감독. * 2021년 제46회 - [[어나더 라운드]] - [[토마스 빈터베르]] 감독. * 2022년 제47회 - [[더 파더]] - 플로리앙 젤레르 감독. * 2023년 제48회 - 더 비스츠 - 로드리고 소고로옌 감독. === 공로상 === [include(틀:역대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특징 == 한국 영화 시장이 커지고 해외에서 수상하는 사례도 많아지자 한국 언론에서도 해외 주요 영화제들을 보도하기 시작했는데, 대부분 미국 골든 글로브, 아카데미 시상식 등 주로 미국 시상식들이나 칸, 베니스, 베를린 영화제 위주로만 보도하는 판국이라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많이 떨어진다. 다만 한국과의 인연이라면 [[아카데미 시상식]],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 노미네이트[* 훗날 봉준호의 기생충이 올랐다.]보다 가장 먼저 2003년에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이 노미네이트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 특히 당시 경쟁작들도 쟁쟁했는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오션스 일레븐]], [[마이너리티 리포트(영화)|마이너리티 리포트]], 볼링 포 콜럼바인[* [[마이클 무어]] 작으로 콜럼바인 총기 난사 사건을 다뤘으며, 아카데미, 칸 영화제에서도 크게 주목을 받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라는 점에서 더 주목 받았다. 그러나 수상은 볼링 포 콜럼바인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한국에서 인지도가 떨어진다고 해서 절대 무시해서는 안될 시상식이다. 영화를 최초로 발명한 [[뤼미에르]] 형제와 영화를 예술로 승화시킨 [[조르주 멜리에스]]가 바로 프랑스인이다. 한마디로 영화 종주국. 세계에서 가장 큰 영화제인 [[칸 영화제]]를 개최하고 있고, [[프랑수아 트뤼포]], [[장뤽 고다르]], [[클로드 샤브롤]], [[자크 리베트]],[[에릭 로메르]] 등 [[누벨바그]] 운동을 주도했으며 현대 영화 문법에 선구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을 배출해냈다. 그야말로 프랑스는 영화에 대해서 진짜 자부심이 대단한 나라다. 비록 영화산업의 흐름이 할리우드로 기울긴 했어도 유럽 영화계에서 이탈리아와 더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 [[쿠엔틴 타란티노]], [[케이트 윈슬렛]], [[메릴 스트립]]등 할리우드 뿐 아니라 영국, 유럽 영화계 인사들이 직접 참석하여 상을 받을 정도로 권위있는 시상식이다. 2020년에는 한국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고,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달성하면서 세자르에서도 수상 가능성이 점쳐지던 중 결국 2020년 한국영화 최초로 세자르 외국영화상을 수상했다. 프랑스의 양대 영화 행사에서 모두 인정받았다는 점이 의미있다. == 논란 == 2020년 2월 28일, 미성년자 성폭행 범죄자인 [[로만 폴란스키]]에게 감독상을 수여해 큰 논란이 일었다. 감독 입후보 시기때부터 논란이 되어 세자르상 위원진이 총사퇴하는 일까지 있었으나 기어코 그에게 수여한 것이다. 폴란스키에게 시상되는 순간 배우 [[아델 에넬]][* 아델은 실제 자신의 성추행 피해를 폭로한 적 있어서 이번 일에 더욱 분노할 수 밖에 없었다.]은 크게 분노하면서 '''"프랑스의 수치!"''' 라고 외치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으며, 다수의 영화인들도 자리를 떠났다. 참고로 폴란스키는 [[적반하장|"페미니스트들의 폭력이 두렵다"]] 라면서 세자르에 참석하지도 않았다. [[https://youtu.be/sAF7MnreV3Y|영상]] [[https://youtu.be/9Qy7EJLp3l4|백스테이지]] 시상식 직후 프랑스에서는 폴란스키 수상을 반대하는 격한 시위가 일어났고, 한때 일부 시위대가 시상식장 진입을 시도해 경찰과 최루탄을 쏘며 막는 등 충돌도 빚어졌다. 폴란스키는 성범죄로 인해서 이미 미국 아카데미에서도 제명을 당한 상태인데, 프랑스는 자국 영화인이라는 이유로 계속 감싸려다가 세자르상의 권위를 심각하게 실추시켰다는 비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성범죄 의혹만 있어도 후보에 못 오르게하는 [[유죄추정의 원칙]]을 내놓았다. 다만 '''더 큰 문제는 정작 이번 논란의 원인인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 수상 자체를 금지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결정'''을 못 내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677898?sid=102|#]] == 한국과의 인연 == 2003년 제28회 시상식에서 취화선이, 2020년 제45회 시상식에서 기생충이 외국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취화선은 수상에 실패했고, 기생충은 수상했다. == 역대 시상식 == * [[제41회 세자르 시상식]] ([[2016년]]) * [[제42회 세자르 시상식]] ([[2017년]]) * [[제43회 세자르 시상식]] ([[2018년]]) [[분류:세자르 시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