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종대학교)] [include(틀:세종대학교)] [목차] === 개요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12324, #B93234, #B93234,#B93234, #B93234, #812324)"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30¢er]]]] {{{+1 {{{#FFFFFF '''세종대학교 상징'''}}}}}}}}}|| ||<|2><:>'''교표·엠블럼'''||<:>'''교표'''||<:>'''엠블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width=80&align=center]]||[[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80&align=center]]|| ||<|2><:>'''로고타입'''||<:>'''국문'''||<:>'''영문'''|| ||[[파일:세종대학교로고타입한글1.jpg|width=100&align=center]]||[[파일:세종대학교로고타입영문1.jpg|width=125&align=center]]|| ||<|2><:>'''교색'''||<-2><:>'''색상규정 1'''|| ||<:>[include(틀:표시, other1=#B93234, other2=#FFFFFF, other3=세종 크림슨 레드)]||<:>[include(틀:표시, other1=#46515B, other2=#FFFFFF, other3=세종 그레이)]|| ||<|2><:>'''상징물'''||<-2><:>'''교화'''|| ||<-2><:>{{{#46515B '''에델바이스'''}}}|| ||<|2><:>'''슬로건·FM'''||<:>'''슬로건'''||<:>'''FM'''|| ||<:>{{{#46515B '''창조하라 세종처럼'''}}}||<:>{{{#46515B '''해방세종'''}}}|| === 교표 및 엠블럼 === ||<-2>
<:>{{{#FFFFFF '''교표 및 엠블럼'''}}}|| ||<-2><:>'''교표'''|| ||<-2><:>[[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width=150&align=center]]|| ||<-2><:>'''엠블럼'''|| ||<:>[[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150&align=center]]||<:>[[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width=150&align=center]]|| ||<-2><:>'''앙부일구 평면도'''||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앙부일구평면도1.jpg|width=100%&align=center]]}}}|| }}}}}}}}}|| 세종대학교의 [[교표]]는 해시계 [[앙부일구]]의 영침[* [[파일:세종대학교영침1.png|width=150&align=center]][br]앙부일구는 [[세종(조선)|세종]] 16년(1434) 이후 제작, 사용된 해시계이며, 앙부일구의 영침(影針)은 그림자를 지게 하는 철침(鐵針)이다.]과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를 단순화하여 만들어졌다. 이 교표에는 자기를 헌신하는 이타적인 사랑([[아가페]]/AGAPE)과 교훈(창의/CREATIVITAS, 봉사/SERVITIUM)이 [[라틴어]]로 적혀 있다. [[문장(그림)|엠블럼]]은 [[아가페]], 설립연도, 월계수 등 교표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2015년 개교 75주년을 맞아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파일:sjuemblem75.png|width=150&align=center]][br]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은 기존 세종대학교 교표의 형태와 요소의 특징을 계승하여 학교의 근원을 표현하고 있다. 엠블럼 원형 내부 중심으로 교표의 영문 로고타입을 계승하였다.]과 함께 발표되었다. 기존 엠블럼의 영문로고 타입은 Times New Roman Bold체로 변경되었다.[* [[http://sejongpr.ac.kr/sejongwebzinenewspaperview.do?pkid=%271574%27|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 ||<-3>
<:>{{{#FFFFFF '''과거 교표'''}}}|| ||<:>'''1948~1954'''||<:>'''1954~1978'''||<:>'''1978~1987'''||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수도여자사범대학'''||<:>'''세종대학'''|| ||<:>[[파일: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로고1.png|width=100%&align=center]]||<:>[[파일:수도여자사범대학로고1.png|width=100%&align=center]]||<:>[[파일:세종대학로고2.png|width=85%&align=center]]|| 현재의 세종대학교 교표 및 엠블럼은 세종대학교의 전신인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세종대학의 교표에서 기원하였다.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시기에는 교명을 한글 및 한자 스승 사([[師]])로 표기한 교표를 사용하였으나, 수도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된 이후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 자유와 진리탐구를 상징하는 [[횃불]], 교명 약칭(수도사대), 전신인 서울여자전문학관이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미군정]]으로부터 정식인가 받은 연도(1947)[*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7051000239102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7-05-10&officeId=00023&pageNo=2&printNo=735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女子專問學(여자전문학) 館正式認可(관정식인가)]]]로 구성된 교표를 사용하였다. 세종대학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앙부일구 영침, 진리를 상징하는 책, 교명으로 구성된 교표를 사용하였다. 현재의 세종대학교 교표 및 엠블럼은 수도사대 교표의 월계수와 세종대학 교표의 앙부일구 영침, 진리를 상징하는 책을 계승하였다. 단, 현재의 교표 및 엠블럼의 개교 연도는 기존의 서울여자전문학관 정식인가 연도(1947)에서 세종대학교의 시초인 경성인문중등학원 설립 연도(1940)로 정정되었다. === 로고타입 === ||
<:>{{{#ffffff '''로고타입'''}}}[* [[http://www.sejongpr.ac.kr/contents/pr/cor/basicelement.html|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로고타입)]]]|| ||<-2><:>'''국문 로고타입'''|| ||[[파일:세종대학교로고타입한글1.jpg|width=275&align=center]]|| ||<-2><:>'''영문 로고타입'''|| ||[[파일:세종대학교로고타입영문1.jpg|width=275&align=center]]|| 세종대학교의 국문, 영문 [[로고|로고타입]]은 교표와 함께 세종대학교를 상징한다. 로고타입은 교표를 구성하는 유연한 곡선이 활용된 세종대학교만의 독창적인 글꼴로 만들어졌다.[* [[http://www.sejongpr.ac.kr/contents/pr/cor/basicelement.html|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로고타입)]]] === 교색 === ||<-4>
<:>{{{#FFFFFF '''교색'''}}}[* [[http://www.sejongpr.ac.kr/contents/pr/cor/basicelement.html|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색상규정)]]]|| ||<-4><:>'''색상규정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B93234 50%, #46515B 50%)" {{{#!wiki style="text-align:left" {{{#FFFFFF '''{{{+1 ''세종 크림슨 레드''}}}[br]{{{-1 ''SEJONG CRIMSON RED''[br]''헥스 코드: #B93234''}}} '''}}}}}}{{{#!wiki style="text-align:right" {{{#FFFFFF '''{{{+1 ''세종 그레이''}}}[br]{{{-1 ''SEJONG GRAY''[br]''헥스 코드: #46515B''}}} '''}}}}}}}}}|| ||<-4><:>'''기타 색상규정'''|| ||<-4><:>{{{#!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색상규정 2'''|| ||||<(>세종 쿨 그레이[br]{{{-2 (#F1EEE2)}}}||||<(>세종 아이보리[br]{{{-2 (#FFFDE0)}}}|| ||||<(>세종 웜 그레이1[br]{{{-2 (#C8BDA7)}}}||||<(>세종 웜 그레이2[br]{{{-2 (#715F52)}}}|| ||||<(>세종 라이트 그레이[br]{{{-2 (#879196)}}}||||<(>세종 옐로우[br]{{{-2 (#FDD270)}}}|| ||||<(>세종 골드[br]{{{-2 (#8E694C)}}}||||<(>세종 실버[br]{{{-2 (#C9C9C9)}}}|| ||<-4><:>'''엠블럼 색상규정'''|| ||||<(>세종 베이지[br]{{{-2 (#D1B27F)}}}||||<(>세종 라이트 골드[br]{{{-2 (#84704A)}}}|| }}}}}}}}}|| 세종대학교의 대표 교색(校色)은 색상규정1의 {{{#B93234 '''세종 크림슨 레드'''}}}와 {{{#46515B '''세종 그레이'''}}}이다. 세종 크림슨 레드는 활기와 정열을 상징하며, 세종대 교표와 엠블럼에 사용되고 있다.[* [[크림슨]]을 교색으로서 사용하는 대학교는 세종대학교 외에도 [[고려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등이 있다.] 세종 그레이는 세종대학교 로고타입의 글자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색상규정2의 여러 색상은 다양성, 즐거움, 대학다움 등을 전달하는 활용도 높은 보조 교색이다.[* [[http://www.sejongpr.ac.kr/contents/pr/cor/basicelement.html|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색상규정2)]]] 색상규정 1, 2의 색상 외에도 {{{#D1B27F '''세종 베이지'''}}}, {{{#84704A '''세종 라이트 골드'''}}} 색상이 세종 크림슨 레드와 함께 엠블럼 색상으로 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http://sejongpr.ac.kr/sejongwebzinenewspaperview.do?pkid=%271574%27|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 [[http://www.sejongpr.ac.kr/contents/pr/cor/basicelement.html|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엠블럼 색상규정)]]] === 교화 === ||
<:>{{{#FFFFFF '''교화'''}}}||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juflower3.jpg|width=100%&align=center]]}}}|| 세종대학교의 [[교화]](校花)는 [[에델바이스]]이다. 에델바이스는 유럽, 아시아, 남아메리카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국화과 다년초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산솜다리 또는 솜다리로 불린다. 꽃말은 소중한 추억, 고귀한 사람, 인내, 기품, 용기이다. 세종대학교에는 교화에서 이름을 따온 에델바이스 장학금이 있다. === 교수 === ||<-2>
<:>{{{#FFFFFF '''교수'''}}}|| ||<:>'''개교-1981'''||<:>'''1981-현재'''|| ||<:>'''[[봉황]]'''||<:>'''-'''|| 세종대학교의 공식적인 [[교수(동음이의어)|교수]](校獸)[* 학교 상징동물]는 없다. 그러나 개교할때부터 세종대학교의 교수가 없던 것은 아니다. 1981년 4월 30일자 경향신문 신문 기사[*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43000329212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4-30&officeId=00032&pageNo=12&printNo=1094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世宗大學(세종대학)상징 새動物(동물)찾기 한창]]]에 따르면, 세종대학교의 전신(前身)인 세종대학은 1981년 이전까지 [[봉황]]을 교수로 여겼다. 그러나 1981년 4월, 세종대학은 새로운 교수를 찾아 나섰다. 기존의 교수인 봉황은 '여성적인 면'이 많아 1978년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한 세종대학을 상징할 수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학교 당국자들은 교수(敎授) 및 학생들에게 새로운 상징동물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하였으나, 당국자들이 '남녀공학으로서의 대학'을 상징할 수 있다고 여겼던 동물들은 이미 타 대학들에 의해 선점되어 새로운 교수를 찾는데 난항을 겪었다.[* 독수리(연대), 호랑이(고대), 황소(건대), 청룡(중대), 사자(한대) 등이 그 예였다.] 1981년 4월 이후 세종대학 교수 선정에 관한 후속 신문기사 등의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다만 1997년 세종대학의 후신(後身)인 세종대학교 학생들이 학원자주화투쟁에서 재단에 승리한 기념으로 장산곶매 탑을 세우고, 이를 학교 측에서 철거하는 '장산곶매탑 일방적 철거 사건'이 일어난 것을 감안할 때[* [[http://inews.ewha.ac.kr/news/articleView.html?idxno=749|이대학보 - 대학가 소묘]], 1997년 장산곶매탑 일방적 철거 사건에 대한 내용은 [[세종대학교/사건사고]] 문서 참조.], 1981년 이전까지 교수였던 봉황이 다시 교수로 쓰이거나 대학 당국과 학생이 모두 동의하는 새로운 교수가 선정되지는 않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식적인 교수의 부재로 인해, 세종대학교에서는 비공식적인 교수들이 존재한다. 세종대학교 박물관 앞의 작은 연못(아사달 연못)에 있었던 [[오리]]들이 '세종오리'라고 불리며 세종대 교수로 여겨지거나, 세종대학교 애지헌 옆 첨탑(주차타워) 안에 [[기린]]이 사육되고 있다는 [[도시전설]]로 인해 기린이 세종대 교수로 여겨졌던 게 그 예이다. === 교가 및 창립기념가 === ||
<:>{{{#FFFFFF '''교가 및 창립기념가'''[* 세종대학교의 설립자인 [[주영하(1912)|주영하]] 박사가 작사했다.]}}}|| ||<:>'''교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대학교교가1.jpg|width=100%&align=center]]}}}|| ||<(>'''1절'''[br]자유의 종 이 땅에 울리니[br]우리 젊은 가슴 희망에 차[br]슬기로운 이 집에 몸 맘 닦네[br]남산에 저 송백 우리 기상[br][br]'''2절'''[br]눈바람에 더 푸른 저 모습[br]높이자 이상 저 하늘까지[br]몸 맘 뭉치세 우리 젊은이[br]모교의 영광 길이 빛내세|| }}}}}}}}}|| ||<:>'''창립기념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대학교창립기념가1.jpg|width=100%&align=center]]}}}|| ||<(>'''1절'''[br]하늘에 영광 땅에 빛 우리 학교 서는 날[br]별같이 모인 우리 영원한 영광 비네[br]이 집에 자라는 우리 겨레의 횃불되리[br]이 집에 배우는 우리 사랑의 꽃밭 되오리|| }}}}}}}}}|| === 슬로건 === ||
<:>{{{#FFFFFF '''슬로건'''}}}||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juking1.png|width=100%&align=center]]}}}|| 세종대학교의 [[슬로건]]은 '''창조하라 세종처럼'''이다. '[[창조]]'를 강조하기 위해 [[도치]]법이 사용되었으며, '세종'이 [[세종대왕]]과 세종대학교를 의미하는 [[중의적 표현]]으로서 사용되었다. 이 슬로건에는 [[한글]]을 창제하여 백성을 가르친 세종대왕처럼, 세종대학교가 여러 전공을 융합하여 [[연계·융합전공|융합전공]] 교육을 선도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러한 슬로건에 걸맞게, 세종대학교는 [[소프트웨어]] 융합전공을 가르치는 [[세종대학교/학부/소프트웨어융합대학|소프트웨어융합대학]] 및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2개 이상의 전공이 융합된 AI연계융합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http://www.sejong.ac.kr/unilife/study_08.html|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학사안내(연계융합전공)]]] 2015년에는 '창의하라, 세종처럼', 2015년 이전에는 '넓은 세계로 나를 이끄는 세종대학교'가 세종대학교 슬로건이었다. === FM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단과대학 및 학과별 FM, rd1=세종대학교/학부)] ||<-3>
<:>[[FM(자기소개)|{{{#FFFFFF '''FM'''}}}]]|| ||<-3><:>{{{+4 {{{#B93234 '''해방세종'''}}}}}}[br]{{{#B93234 '''解放世宗'''}}}|| 세종대학교의 [[FM(자기소개)|FM]]은 해방세종이다. 이 FM은 1987년 세종대학교 학원자주화투쟁 당시 학원(學園) 민주화를 염원하였던 세종대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해방세종은 학원자주화투쟁 구호 뿐만 아니라 1990학년도 세종대학교 제6대 총학생회의 이름으로서도 사용되었다. 학교 FM이 '해방'인 대학교는 세종대학교 외에도 [[광운대학교]], [[상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림대학교]] 등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종대학교/역사, version=122)] [[분류:세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