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世宗實錄五禮. [[조선]]의 4대 왕 [[세종대왕|세종]]의 명으로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국가전례(國家典禮)집. [[세종실록]]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총 8권 8책 분량이다. == 내용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오례 전문]] [[http://sillok.history.go.kr/popup/haejae.do?id=kda_200&sillokName=세종실록|국사편찬위원회 세종실록오례 해제]]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라고도 부른다. 조선 세종대왕 때 만들어진 예례집으로, 세종실록 권128~권135에 해당된다. 당시 우리나라의 국가 오례의 모습을 글과 그림을 통해 총집편하여 편찬한 것이다. 세종실록오례는 우리나라의 예례의식이 이 때를 기점으로 완전히 정립되고 본격적으로 예에 의한 중앙집권적 국가지배 체제가 완비되었음을 보여준다. 훗날 [[세조(조선)|세조]]~[[성종(조선)|성종]] 때 완성되는 [[국조오례의]]의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세종실록오례는 177개 국가서례조항, 국조오례의는 259개 국가서례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조오례의와 함께 조선왕조 500년의 국가 전례에 모범이 되었다. 1400년대 초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예례의식과 의식기구들이 그림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그 내용 또한 매우 방대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600년 전의 국가문화의식을 이처럼 시각적으로 정교하게 담고 있는 책은 거의 현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보배 중 하나로 꼽힌다. == 갤러리 == [[파일:세종실록오례1.jpg]] [[파일:세종실록오례2.jpg]] [[파일:세종실록오례3.jpg]]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70771&cid=49236&categoryId=49236|출처]] [[파일:세종실록오례-건고.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응고.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철고.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도.jpg|width=600]]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4004_001|출처]] [[파일:세종실록오례-갑.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궁대.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장방패.jpg|width=600]] [[파일:세종실록오례-월.jpg|width=600]]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8001|출처]] == 외부 링크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70000111|조선왕조실록사전 : 세종실록오례의]] * [[https://ko.wikipedia.org/wiki/오례|한국어 위키백과 : 오례]]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3&cp_code=cp0439&index_id=cp04390094&content_id=cp043900940001&search_left_menu=2|문화컨텐츠닷컴 : 세종실록 오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1291&cid=58728&categoryId=58728|한국일생의례사전 : 세종실록 오례]] [[분류:조선왕조실록]][[분류:세종(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