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세크리테리엇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2px" [include(틀:이클립스 어워드 미국 올해의 말)] [include(틀:미국 삼관마)] [include(틀:20세기 미국 명마 Top 100)] [include(틀:스미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include(틀: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 }}}}}}}}} || ||<-3>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마'''[br]'''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마'''[br]'''1973년 미국 트리플 크라운'''[br]'''1972,1973년 미국 올해의 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크리테리엇.jpg|width=100%]]}}} || ||<-2> 이름 || Secretariat || ||<-2> 출생 || [[1970년]] [[3월 30일]] || ||<-2> 죽음 || [[1989년]] [[10월 4일]] (20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Chestnut) || ||<-2> 아비 || Bold Ruler || ||<-2> 어미 || Somethingroyal || ||<-2> 외조부 || Princequillo || ||<-2> 생산자 || 메도우 스터드(Meadow Stud) || ||<-2> 마주 || 메도우 스테이블(Meadow Stable) || ||<-2> 조교사 || 루시엔 로린(Lucien Laurin) || ||<-2> 성적 || 21전 16승 (16-3-1-1) || ||<-2> 총상금 || 1,316,808 미국 달러 || ||<|5> 주요[br]우승[* 미국은 1973년부터 그레이드 제도가 도입되었다.] ||<|2> G1 || {{{#!folding [ 1973년 트리플 크라운 ] 켄터키 더비 (1973)[br]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1973)[br]벨몬트 스테이크스 (1973) }}} || || 맨오워 스테이크스 (1973) || || G2 || 고담 스테이크스 (1973)[* 현재 G3.][br]휘트니 스테이크스 (1973)[* 1981년에 G1으로 승격했다.][br][[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1973)[* 1975년에 G1으로 승격했다.] || || G3 || 베이 쇼어 스테이크스 (1973) || ||<-2> 샌포드 스테이크스 (1972)[* 2014년에 G2에서 G3로 강등되었다.][br]호프풀 스테이크스 (1972)[* 1973년부터 미국에 그레이드 제도가 도입되어 G1이 되었다.][br]퓨처리티 스테이크스 (1972)[* 미국의 그레이드 제도 도입으로 1973년에 G1 레이스가 되었으나 2004년에 G2로 강등되고, 2016년에 G3로 강등, 2018년에는 L등급으로 강등되었으나 2019년에 다시 G3로 승격했다.][br]로렐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1972)[* 1973년 미국의 그레이드 제도 도입으로 G1이 되었으나 1990년경 G2로 강등되었고, 1991년에는 G3로 강등되었으며 2006년 더트 경주에서 잔디 경주로 변경되면서 L등급으로 강등해 결국 2008년경에 폐지되었으나 2011년부터 다시 개최한다.][br]가든 스테이트 스테이크스 (1972)[* 1994년 더트 경주에서 잔디 경주로 변경되었고 1999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1998년 한정 폭우로 인해 잔디가 아닌 더트에서 개최했다.][br]알링턴 인비테이셔널 (1973)[br]말보로 컵 (1973)[* 1975년에 G1으로 승격했으나 1987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 ||<-2> 주요 수상 || 1972년 2세 수말 챔피언[br]1973년 3세 수말 챔피언[br]1973년 수말 잔디 챔피언[br]1972, 1973년 미국 연도 대표마[br]1992년 북미 리딩사이어[br]1974년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br]2007년 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br]2013년 켄터키 운동선수 명예의 전당[br]20세기 미국 명마 랭킹 2위 |||| ||<-2> 주요 자마 || 레이디스 시크릿 (1982)[br]리즌 스타 (1985)[br]킹스톤 룰 (1986) || [목차] [clearfix] == 개요 == '''[[맨 오 워(말)|빅 레드(Big Red)]][* [[골드 십]]을 배출한 빅 레드 팜의 명칭이 여기서 따온 것이다.]의 재래이자 미국 경마계 최강의 기준점'''으로, 더트가 주류인 미국의 삼관마이나 잔디 G1에서도 압승을 거두었다. [[ESPN]] 선정 20세기 운동 선수 35위로 선정되었다. [[http://www.espn.com/sportscentury/athletes.html|#]][* 34위는 [[루 게릭]], 36위는 [[오스카 로버트슨]], 1위는 [[마이클 조던]]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Bold Ruler'''[br]{{{-2 1954}}} ||<|2>'''Nasrullah'''[br]{{{-2 194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네아르코|Nearco]]'''|| ||Mumtaz Begum|| ||<|2>Miss Disco[br]{{{-2 1944}}}||Discovery || ||Outdone || ||<|4>Somethingroyal[br]{{{-2 1952}}}||<|2>Princequillo[br]{{{-2 194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Prince Rose || ||Cosquilla || ||<|2>Imperatrice[br]{{{-2 1938}}}||Caruso || ||Cinquepace|| ||<-3>* -|| 부계로는 33전 23승, 20세기 미국 명마 19위에 빛나는 Bold Ruler, 모계로는 Sir Gaylord(父 : 턴투)를 필두로 여러 성공한 종마를 낳은 Somethingroyal이다. 섬싱로열의 모계 후손으로 [[니시노 플라워]], [[로드 카날로아]]등이 있다. 굉장한 혈통이지만 어째선지 직계쪽보단 암말쪽으로 좀 더 좋은 피를 물려줘, BMS로는 한국에도 유명한 A.P indy, Storm cat, Gone West를 배출하였다. 특히 한국에서 여덟번 리딩샤이어를 한 [[메니피]]는 스톰캣이 조부마다. 즉 세크리테리엇의 피는 직계라고 보긴 힘들어도 한국에 많이 남아있는 셈. == 생애 == 1948년 Citation 이후 25년만에 미국 [[삼관마|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말(아홉번째)로, 일곱번 코스 레코드를 달성하였으며, 그 중 트리플 크라운 경기인 켄터키 더비,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벨몬트 스테이크스 코스 레코드를 아직까지도 보유중이다. 특히 벨몬트 스테이크스에서는 2등 Sham[* 1970~1993, 사후 해부 결과 심장 무게가 8.2kg에 육박했다고 하며, 1973년 산타 아니타 더비 우승마이기도 하지만, 벨몬트 당시에는 경기 중 부상이 발생하여 꼴찌로 들어온, 역사에 남을 [[콩라인]] 말이기도 하다.]과 31마신(100m)의 차이를 벌렸으며, 전후로 절대로 나오지 않는 2분 24초대[* 일반적인 벨몬트 스테이크스의 기록은 2분 26초대 이후이다. 기록은 딱 '''2분 24초 00'''이다. 압도적인 1위 기록으로 2위 기록도 레전드이자 명예의 전당에 오른 [[이지 고어]]인데 무려 2초 뒤진 2분 26초 00이다. [[https://belmontexperiences.com/blog/top-5-fastest-belmont-stakes-winners|벨몬트S 타임 랭킹 TOP 5]]]의 기록으로 우승해 미국 경마계에 최강마 떡밥이 나올 때마다 단연 1위로 꼽히는 말이다. 미국에서는 비주류인 터프 경주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는데[* 기수의 말에 따르면 더트보다 터프에서 더 빨랐다고 한다.][* 잔디 경주인 맨오워 스테이크스에서도 5마신차, 당시 G2인 캐내디안 인터네셔널에서도 6 1/2마신차로 압승하였다.] 의외로 태평한 성격과 큰 덩치로 인한 늦은 스타트 대쉬가 발목을 잡아 불패의 영역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데뷔전의 4착을 제외하면 2착 3회에 3착 1회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죽어서는 클레이본 목장에 경마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니진스키 2]], [[미스터 프로스펙터]]와 함께 묻혔다. * [[https://www.youtube.com/watch?v=Mi_sHOzgJO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YTN 명마 이야기 - '세크리테리엇' - 말이 좋다 (139회)]] * [[https://www.youtube.com/watch?v=74Usj3K4oZ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켄터키 더비]], [[https://www.youtube.com/watch?v=eV89InWOEN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https://www.youtube.com/watch?v=vfCMtaNiMD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벨몬트 스테이크스]][* 조회수가 1000만이 넘는, 전세계 경마 영상 중 가장 높은 조회수다. 굳이 비교하자면 일본마 골드 쉽의 2012년 사츠키 영상이 483만회 정도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GDchueFrYgs8M27bdRSHcmWat8nBWV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6]] 경주 모음]] === 종마 생활 === 은퇴 후에는 종마로 뛰어난 말을 다수 배출했지만 현재 부계 혈통은 대부분 단절되었다. 반대로 모계 혈통으로는 2022년 현재도 혈통이 이어지며, 외손주 스톰 캣, A.P. 인디, 곤 웨스트 등이 종마로 활동한다. == 경주 성적 == [include(틀:켄터키 더비,grade=GI)] [include(틀: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grade=GI)] [include(틀:벨몬트 스테이크스,grade=GI)] == 기타 == [youtube(UKmuvjL2cVw)] 2010년에 [[디즈니]]에서 영화로 제작해 [[다이앤 레인]], [[존 말코비치]] 등이 출연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위닝 포스트/경주마 소개, version=339)] [[분류:경주마/미국 생산]][[분류:경주마/미국 조교]][[분류:종마/미국]][[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70년 출생/경주마]][[분류:1989년 죽은 동물]][[분류:볼드 룰러계]][[분류:삼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