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건개요 == 1963년 8월 21일에 일어난 냉전시대 소련 민항기의 네바 강 불시착 사건. 노즈기어가 제대로 접히지 않아 회항하려다 연료가 다 떨어진 비행기를 네바 강에 착륙시켜 승객들을 구한 사건이다. 항공사상 최초로 수면에 불시착한 제트 여객기이고, 39명 사망 9명 생존인 희귀한 사건이기도 하다 노즈기어가 제대로 접히지 않은 채 이륙했다는 사실을 안 파일럿이 분투하였고, 결국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회항한다는 판단을 내렸으나 하필 연료가 고갈 직전이라 마지막에는 네바 강에 무사히 수면착수하는 기적을 일으켰다. 기록상으로 보면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의 선행격 사건이라고 볼 수 있으나, 당시 철의 장막으로 덮여 있던 공산권의 일화라 많이 알려지지 않아 묻혀졌던 사고다. 얼마나 존재감이 없었는지 46년 후에 발생한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미국 US 에어웨이즈 1549편]] 항공기가 최초로 수면에 불시착한 제트 여객기라 잘못 알려지기도 했을 정도이니... 이후 US 에어웨이즈 사건이 보도되자 이 사건도 재조명되었다. == 사건진행과정 == 승무원 7명과 승객 45명을 태우고 에스토니아 탈린 국제공항에서 이륙한 아에로플로트 항공 소속의 Tu-124 여객기(기체 등록번호: СCСР-45021)는 모스크바를 향해 비행하던 중이었다. 당시 이 비행기는 소련 내에서도 만들어진지 얼마 안 된 새 비행기라 의미가 컸다. 그러나 이륙 직후에 당연히 접혀야 할 노즈기어가 제대로 접히지 않은 것을 블라디미르 모스토보이 기장[1]이 뒤늦게 알아차렸다. 결국 탈린으로 회항해야 했으나 당시 탈린 상공은 짙은 안개로 뒤덮여 있어 시계확보가 어려워 착륙하기 힘든 상태였다. 결국 항공 관제관은 기체를 근처의 레닌그라드[2] 풀코보 공항(Аэропо́рт Пу́лково)로 회항하라고 지시를 내린다. 한 바퀴를 도는 데에는 약 15분이 소요되었고, 그 동안 풀코보 국제공항에서는 비상착륙을 준비하기 위해 근처 허허벌판을 활주로로 사용하기로 결정하고[3] 구조팀을 준비한다. 그동안 TU-124기 내에서도 기장과 부기장, 항법사가 힘을 합쳐 사투를 벌이는 중이었다. 어떻게든 노즈기어를 완전히 펼치기 위해서 승무원들이 전부 달려들어 노즈기어를 밀어대느라 콕피트 안은 난장판이 되었는데[4] 얼마나 뻑뻑했는지 옷걸이 봉을 떼어내어 와서는[5] 있는 힘껏 노즈기어를 밀어보았을 정도. == 확실한 정비불량이 원인인 이유 == 추락 당시의 사고기 모습. 1번 엔진이 사라진 것과 유압유가 새는 것이 보인다. 결국 세파한 항공5915 편은 고도 600피트에서 급 좌선회한 뒤 오후 3시 4분 45초, 격납고에 추락해 탑승자 37명과 지상에 있던 근로자 2명, 총 39명의 목숨을 앗아갔다.[6] 그외에 파편에 맞아 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추락 1분후, 시카고 소방서에 공장화재가 접수되고 이후 DC-10기가 추락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정정되었다. 소방대에서는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 2단계 경보를 발령하고 불을 끄러 나서지만 이륙한지 얼마 안 돼서 연료가 가득했던 비행기여서 불이 너무 강해 제대로 다가가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시신 10구만 온전히 건져냈고, 나머지는 대부분 화재로 인해 크게 손상되었다. == 사고원인 == 이륙 후 노즈 기어가 제대로 접히지 않아 회항을 시도하였고 착륙을 위해 노즈 기어를 펼치려 시도하였으나 시간이 지체되어 연료가 다 소모되어버린 것이 원인이다. == 사고이후 대응방안 == 이후 소비에트 정부에서 이들에게 보상금으로 2000만 루블(환화 약 3억 8820만원 상당)을 보상금으로 지급하고 그 유족의 자녀들에게는 러시아 항공권 평생무료이용권과 모든 세금면제(부과세 포함)항공기 운항실습을 자녀들에게 학습시켜서 파일럿으로 재직할수있게 도움을 주게된다. 이에 따른 정비사들의 실수로 인한 정비사들의 대응방안으로는 올바른 인적요소에 대한 지식과 주기적인 학습으로 다시는 이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고, 매년 시험을 치뤄 그에따른 인센티브로 점수가 300점 만점에 260점 이하를 받으면 2년간 승진이 불가능헀고 280점 이상을받으면 특별진급을 2단계 올려주는 등 정비사들이 인적요소가 중요하다는걸 깨달을수 있게 됬다. 또 만점을 받을 경우에는 자녀들도 정비사로 특별채용할수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후 몇몇 민항기들이 비상착륙 또는 여러 이유로 강이나 바다 등에 착륙하는 일이 있긴 했으나, 대부분 사상자만 발생했다. 20년이 채 못되어 미국에서도 에어플로리다 90편이 워싱턴 DC 포토맥 강에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나 8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33년 이후 코모로 제도에선 하이재킹당한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이 바다에 비상착수했으나 175명 중 50명만이 목숨을 건졌다. 그러다 46년이 지난 2009년에는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미국 US 에어웨이즈 1549편]]에게 원인은 달랐지만 이 사례와 거의 똑같은 사건이 일어난다. 이 사건에서도 승객들이 모두 무사히 구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