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칵테일, rd1=셜리 템플(칵테일))] ||
{{{#ffffff '''셜리 템플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FI 선정 가장 위대한 배우)] ---- [include(틀:아카데미 공로상)] ---- [include(틀:역대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역대 영화배우조합 평생 공로상)]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Vine Street),한글명=셜리 템플,영어명=Shirley Temple,분야=영화,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1500)] }}} || ---- ||<-2> '''{{{+1 셜리 템플}}}[br]Shirley Temple'''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sdgawwww.jpg|width=100%]]}}} || || '''본명''' ||셜리 제인 템플[br]Shirley Jane Temple || ||<|2> '''출생''' ||[[1928년]] [[4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산타 모니카]] || ||<|2> '''사망''' ||[[2014년]] [[2월 10일]] (향년 85세) || ||[[미국]] [[캘리포니아]] 산마테오 우드사이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활동''' ||배우: 1932년–1965년[br]공직자: 1967년–1992년 || ||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배우자''' ||존 에이가^^(1945년~1950년 이혼)^^[br]찰스 앨든 블랙^^(1950년~2005년 사별)^^ || || '''자녀''' ||장녀 린다 수전 에이가^^(1948년생)^^[br]장남 찰스 앨든 블랙 주니어^^(1952년생)^^[br]차녀 로리 블랙^^(1954년생)^^ || || '''서명''' ||[[파일:1280px-Shirley_Temple_Black_autograph.jpg|width=20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아역 배우]] 출신 배우, [[외교관]]. == 위상 == [[클래식]] [[헐리우드]] 시절인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아역 연기만으로 [[전설]]이 되었던 [[배우]]다. 연기 실력만 월등했던 것이 아니라 [[https://www.youtube.com/watch?v=C9BdMz3qdfQ|춤도 아주 잘 췄다.]][* 영상에서 등장하는 춤은 [[탭댄스]]다.] [[1930년대]]에 활동한 배우지만 컬러 영화에 자주 출연했다. [[클래식]] [[할리우드]] 세대[* 경력만 따지면 [[잉그리드 버그먼]], [[커크 더글러스]], [[비비언 리]]와 같은 세대다. 비슷한 나이대인 [[오드리 헵번]]이나 [[마릴린 먼로]]보다 앞세대다.] 중에서는 가장 막내였으며 2010년대까지 살아 있었던 인물이다. 외모 특징으로 특유의 곱슬 머리가 있다. 얼마나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냐면 1930년부터 1937년 사이에 영화 잡지 표지를 138회 장식하며 1위를 차지했는데 2위인 케이 프랜시스[* 이 시기엔 [[베티 데이비스]]보다도 인기가 좋았다.]는 그에 한참 못 미치는 38회였을 정도였다. 일본에서도 인기가 대단해 아역 시절 이미 연기력과 스타성으로 각광 받은 [[다카미네 히데코]]는 일본의 셜리 템플이라고 불리기도 했고 곱슬머리였던 [[미치코 상황후]]는 어린 시절 템플쨩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지금도 천재 여성 아역이 나오면 언급된다. "America's Little Darling"이란 애칭은 이후 그 누구도 물려받지 못했다. == 활동 및 생애 == 3살이었던 1931년에 춤 교습소에 다니다가 재능이 발견돼 그해부터 프로로 일하기 시작해 4살 때부터 Baby Burlesks라는 풍자성 단편 영화 연작에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데뷔했다. 템플은 이를 두고 훗날 "어린아이의 순수함을 냉소적으로 착취"한 작품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당시엔 아역배우들까지도 무차별적으로 체중 감량과 작업 속도 개선을 목적으로 소위 "비타민 주사"라 불리던 [[마약]]을 강요 당하곤 했는데 다행히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함께 그와 같은 위기를 겪지 않은 아역스타의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https://www.history.com/news/judy-garland-barbiturates-hollywood-studio-drugs|#]] 템플은 테일러처럼 타고난 재능으로 작업을 신속히 끝내는 편이었고 테일러와 달리 체구가 가늘진 않았지만 오히려 아이다운 오동통함 때문에 사랑받아 살을 뺄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바꿔 말하면 사람 맞나 싶을 정도로 단 한 방에 딱딱 작업을 끝내 별명이 아예 "원샷 리즈"(One-Shot Liz)였던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그에 준하는 작업 속도를 갖고 있던 셜리 템플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 아역 배우들은 그 즉시 비타민 주사 행에 처해졌다는 것이다. 어린아이들에게조차 단 한 번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가혹한 처사였는데 당연히 대다수 아역 배우들은 이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이 두 사람을 제외한 1920-60년대의 할리우드 아역 배우 출신들은 사실상 거의 모두가 당시 스튜디오들이 주도했던 학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아역 배우들이 명백히 피해자임에도 "논란"인 이유는 아동 시절 비자발적으로 마약에 중독된 이후 성인이 되어 더 심하게 마약을 하거나 관련 범죄에 연루된 경우가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템플도 노동법이 잘 지켜지지 않던 시절의 희생자여서 테일러와 마찬가지로 규정 시간대를 넘겨서까지 촬영에 임해야 했다. 템플을 대스타로 만들어준 영화는 <브라이트 아이즈>(1934)다. 1935년부터 4년 동안 흥행 1위 불패신화를 자랑하던 템플은 1938년 전국 극장주 연합이 [[캐서린 헵번]], [[조운 크로퍼드]]를 흥행국밥이라고 비난할 때 그와 반대로 자신들에게 많은 돈을 벌어다주는 좋은 배우라고 극찬을 받기까지 했다. 공교롭게도 템플은 그해 처음 흥행 저조를 맛보게 된다. 이때부터 템플의 연기 여정은 순탄하게 가는 법이 없이 다양한 기복들로 점철된다. 다음 해 템플은 본인의 첫 테크니컬러 장편 <[[소공녀#s-5.1|소공녀]]>(1939)를 대흥행시켰고 연기력도 최고조에 이르렀지만 1940년엔 두 작품이나 망하고 말았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아역 배우에게도 단 한 번의 실패조차 용납하지 않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템플의 부모는 20세기 폭스로부터 템플의 계약서를 되사들인 뒤 템플을 여학교로 보냈다. 템플 덕분에 파산 위기를 겨우 벗어날 수 있었던 과거를 싹 잊어버린 폭스는 템플이 지내던 거처를 싹 개조해 사무실로 쓰면서 템플이 소속사에 남긴 모든 흔적을 지워 버렸다. 자식에게 [[성접대]]까지 종용했던 [[주디 갈런드]]의 어머니의 사례 때문에 템플의 어머니도 악마화를 많이 당했는데 템플은 자신의 어머니가 엄했던 건 사실이고 약한 모습을 보이는 걸 용납하지 않긴 했으나 자신이 원하지 않는 걸 강요한 적은 전혀 없으며 늘 사랑으로 감싸안아 주셨다고 말했다. 오히려 연기는 "그냥 그런 척 하면서 보는 사람들을 믿게 만드는 게 전부"라며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라고 늘 자신을 일깨워주셨다고 한다. 다만 어린애답지 않은 조숙함이 템플의 장기였기 때문에 활동 나이를 실제 나이보다 한 살 어리게 속이고 활동 시켰던 것이 여전히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템플은 1941년 12살 생일잔치 때 자신의 진짜 나이가 13살이라는 걸 알게 됐다. 6살과 7살의 차이는 크지만 12살과 13살의 차이는 별로 크지 않아 나이를 속이는 것이 효용 가치를 다했기 때문에 어머니가 템플에게 원래 나이를 되돌려주었다. 그해 템플은 [[MGM]]과 계약하면서 1년 만에 영화 현장에 복귀했고 [[주디 갈런드]], [[미키 루니]]와 함께 영화에 출연하는 게 결정되었지만 제작 직전에 가진 회의에서 제작자 아서 프리드[* 소속사 배우들에게 "비타민 주사"를 강요하던 MGM 윗대가리들 중 하나다.]가 템플에게 [[성폭력|자신의 성기를 노출했을 때]] 템플은 저도 모르게 (비)웃고 말았고[* 아직 어려서 그저 자신을 놀래켜 웃기려는 상황으로 이해해 "웃은" 것이다와 대놓고 "비웃은" 것이다 사이에서 작가들마다 의견이 갈린다. 작가들이 이 둘 중 무엇이었는지를 중요하게 따지는 이유는 템플이 이후 자신의 경력이 망가질 위험성을 인지하면서도 반항적인 태도를 보인 것인지, 아닌지가 템플의 전체 경력 흐름 해석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적반하장으로 노한 프리드는 템플의 출연을 전면 백지화했다. 결국 템플은 MGM에서 겨우 한 편의 영화만 찍고 퇴출되었다. [[유나이티드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아티스츠]]에서 찍은 영화 (1942)까지 실패하면서 템플은 비자발적으로 2년을 쉬어야 했다. 다행히 1944년 명제작자 데이비드 O. 셀즈닉이 관심을 보여 4년 짜리 계약을 맺었다. 그해 [[클로뎃 콜베어]], [[제니퍼 존스(배우)|제니퍼 존스]], [[조셉 코튼]]과 찍은 <당신이 떠난 후>, [[진저 라저스]], [[조셉 코튼]]과 찍은 가 히트했지만 셀즈닉은 곧 [[제니퍼 존스(배우)|제니퍼 존스]]와 사랑에 빠지면서 템플을 등한시하게 되었다. 그래도 [[RKO]]로 대여돼 찍은 [[케리 그랜트]] 주연의 <독신남>(1947)과 [[존 웨인]], [[헨리 폰다]] 주연에 당시 남편이었던 존 에이가가 같이 출연한 <[[아파치 요새]]>(1948)는 성적이 잘 나왔다. 이후의 작품들은 제작사에 손해를 끼치진 않았지만 예전과 같은 기세의 흥행으로는 좀처럼 복구되지 않았다. 셀즈닉은 템플에게 한동안 해외로 나가 있다가 활동명을 바꾸고 다시 일하는 게 어떻겠냐고 권유하기도 했다. 1950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피터 팬]]" 오디션에서조차 떨어지자 템플은 스타로서의 명이 끝났음을 인정하고 그해 12월 16일 공식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에는 쇼 "Shirley Temple's Storybook"(1958-61)을 진행하는 등 텔레비전에서 활동했다. 1967년에는 캘리포니아 연방하원 보궐선거 [[미국 공화당|공화당]] 경선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70년대엔 공직에 진출했다. [[제럴드 포드]] 대통령 밑에서 1974년에서 1976년까지 제9대 [[가나]] [[특명전권대사|대사]]로 일했고 포드와 [[지미 카터]] 대통령 밑에서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제18대 의전장[* Chief of Protocol.]으로 있었으며 다시 [[조지 H. W. 부시]] 대통령 밑에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제 27대 [[체코슬로바키아]] [[특명전권대사|대사]]를 역임했다. 1984년엔 반 년 가량 카먼웰스 클럽 오브 캘리포니아[* Commonwealth Club of California.]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03년에 세워진 비영리 사회문제 포럼으로, 공공의 관심사를 논하는 단체 중 미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됐으며 [[샌프란시스코]]에 본부가 있다.[* 제44대 부통령을 지낸 [[댄 퀘일]]이 다시 제45대 부통령 재선에 도전하면서 [[댄 퀘일#s-3|1992년 이곳을 방문해 연설을 한 적]]이 있는데 연설 내용이 파장을 일으켜 상당한 일화로 남았다.] 템플이 그나마 다른 아역 출신 배우들처럼 비참한 말로를 보내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한때 육아 관련 책까지 냈던 어머니의 교육 덕분일 거라는 해석들이 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5C9D9A82-0FCE-4827-B3A6-40756AF4BB66.jpg|width=100%]]}}} || [[2014년]] [[2월 10일]]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타계했다. 평소 [[골초]]였다. == 주요 출연 작품 == * 리틀 미스 마커(Little Miss Marker), 1934 * '''브라이트 아이즈'''(Bright Eyes), 1934 * '''스토우어웨이'''(Stowaway), 1936 *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s-7.2.1|하이디]]''', 1937 * '''[[소공녀#s-5.1|소공녀]]''', 1939 * '''[[파랑새(벨기에 동화)#s-4.1.1|파랑새]]''', 1940 * '''캐슬린'''(Kathleen), 1941 * '''당신이 떠난 후'''(Since You Went Away), 1944 * '''독신남'''(The Bachelor and the Bobby-Soxer), 1947 == 여담 == * [[제2차 세계 대전]] 때 [[베티 데이비스]]와 [[존 가필드]]가 추진한 참전 군인 대상 무료 오락 공간인 할리우드 캔틴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irley_at_hollywood_canteen.jpg|width=100%]]}}} || * 작은딸 로리 블랙은 [[펑크 록]] 뮤지션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런지]] 밴드 멜빈스의 2번째 베이시스트로 알려져 있다. 1997년까지 활약했고 탈퇴 후에는 음악을 그만두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용히 살고 있다고 한다. * 본인의 이름에서 따 온 [[셜리 템플(칵테일)|셜리 템플]]이란 [[칵테일]]이 있다. [[하와이]]의 [[호텔]]에 들렀을 때 [[미성년자]]라서 [[술]]을 마실 수 없었던 셜리 템플에게 [[바텐더]]가 특별히 만들어 준 게 기원이다. * 대배우 [[셜리 맥클레인]]의 "셜리"는 셜리 맥클레인이 태어났을 때 6살이었던 셜리 템플에게서 따 온 이름이다. * [[살바도르 달리]]가 템플을 주제로 만든 1939년 작품이 있다. 제목은 . 혹은 Shirley Temple, The Youngest, Most Sacred Monster of Contemporary Cinema(셜리 템플, 현대영화계에서 가장 어리고 신성한 괴물), 더 짧게는 그냥 the Barcelona Sphinx([[바르셀로나]] [[스핑크스]])라고 불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lvador-dali-shirley-temple-the-young-b-bec8.jpg|width=100%]]}}} || [[판지]] 위에 [[과슈]] 기법을 쓰고 [[파스텔]]로 채색한 [[콜라주]]다. 신문기사에서 따온 템플의 머리 위에 앉아 있는 건 [[흡혈박쥐]]고 템플이 먹어치운 사람들의 해골이 주변에 널려 있으며 그림 바닥에 붙어있는 [[Trompe L'œil#s-1|트롱프뢰유]] 라벨에는 "Shirley!. at last in Technicolor"(셜리! 드디어 테크니컬러로 등장.)이라고 적혀 있다. [[아역배우]]들의 [[성 상품화]]를 비판하려는 의도였다고 하는데 과연 이런 식의 묘사가 적절했던 것인지에 대해 역으로 많은 비난을 받기도 했다. 2007년 [[런던]] [[테이트 모던]] 전시회 "Dalí and Film"(달리와 영화)에서 선보여진 달리의 작품 100점에 선정되었다. * [[디즈니]]의 [[미키 마우스]] 단편 만화영화 (1936)에서 묘사된 적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f04YGWT1s2f16eo4_400.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115_095237.jpg|width=100%]]}}} || * [[디즈니]]의 [[도널드 덕]] 단편 만화영화 (1939)에서 묘사되었다. 이때 함께 묘사된 스타들로는 [[베티 데이비스]], [[캐서린 헵번]], [[조운 크로퍼드]], [[그레타 가르보]], [[클라크 게이블]] 등이 있다. 당시 템플의 위상을 잘 알 수 있는 부분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8a3169bca842ddd90c949f080de71ede.jpg|width=100%]]}}} || (1935)의 유명한 계단 [[탭댄스]] 장면도 패러디했다. 원장면에선 같은 탭댄서인 보쟁글즈[* Bill “Bojangles” Robinson.]와 같이 등장한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ff-1-1d0f9335f2.gif|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dancing-tap-dancing.gif|width=100%]]}}} || * [[비틀즈]]의 앨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커버에 등장하는 유명인 중 하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052m211.jpg|width=100%]]}}} || [[분류:1928년 출생]][[분류:2014년 사망]][[분류:미국의 외교관]][[분류:아역배우]][[분류:전직 배우]][[분류:1932년 데뷔]][[분류:1965년 은퇴]][[분류:산타 모니카 출신 인물]][[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네덜란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