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목차] == 개요 == [youtube(uOGuHRqkdH8)] >''' '오늘은 어떤 명작을 연주해볼까요?' ''' >'''(소나가 에트왈을 거친 소리가 나게 내려친다.)''' 신규 스킨 출시와 함께 음성이 새로이 녹음되었다. 이전의 [[소환사(리그 오브 레전드)|소환사]] 설정이 사라지면서 기존의 대사에 있던 소환사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 기본 스킨 == === 일반 대사 === 소나는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상 소나의 대사는 전부 텔레파시처럼 머릿속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큰 따옴표(") 대신 작은 따옴표(')로 표시한다. >'''첫 이동''' >'(웃음) 큰 공연을 앞두면 늘 이렇게 긴장한다니까요.' >'전 언제나 빈 무대에 이끌리죠, 이번에도 마찬가지구요.' >'하... 시작할까요? 전 준비됐어요.'[* 와일드 리프트에서는 챔피언 정보 열람시 나오는 대사다.] >'''이동''' >'잘못된 음표 하나는 [[밥 로스|즐거운 우연]]일 뿐이랍니다.'[* 원문은 'happy little accident.'이다.] >'모든 걸 듣고, 또 느껴보세요.' >'한 줄기 미소와 한 방울의 눈물, 제 영감의 원천이죠.' >'관중이 기뻐하는 모습은 언제나 뿌듯하죠.'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인생은 아름다운 한 편의 시랍니다.]]' >'흠, 이 분위기엔 어떤 음악이 어울릴까요?' >'감정, 그리고 사랑. 이게 바로 진짜 악기에요.' >'영원히 울려 퍼질 교향곡이네요.' >'예술은 우리 모두의 것이에요.' >'박자가 바뀌면 우리도 바뀌는 거예요.' >'제 음악이 곧 제 목소리에요.' >'음악이 마음을 적시네요.' >'뭐든 한 번만 연주하겠어요. 딱 한 번만요.' >'이 선율이 우릴 고향으로 이끌어 줄 거예요.'[* 와일드 리프트에서는 귀환 대사로 쓰인다.] >'왕이든 평민이든 누구나 공연은 사랑하는 법이죠.‘ >'좋은 노래는 영혼을 달래줄 수 있답니다.' >'듣는 걸 두려워 마세요.' >'우린 리듬 안에서 하나가 되죠.' >'연습만이 완벽함을 만들죠.' >'삶을 찬양하는 게 바로 진정한 명작이죠.' >'''장거리 이동''' >'이 잔혹한 세상을 바꿀 수만 있다면 전 계속 연주할 거에요.' >'마법은 마치 노래 같아요, 만물에 깃든 채 기다려주니까요.' >'이건 평범한 악기가 아니에요. 오랜 친구에 가깝죠.' >'제 음악은 지친 영혼을 감싸주고 굳어버린 마음을 달래준답니다. 제겐 정말 큰 기쁨이죠.' >'완벽하게 익히는 게 우선이죠, 나머지는 저절로 따라오게 마련이니까요.' >'예술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죠. 국가가 해줄 수 있는 일은 아니에요.' >'음악이 흐르면 사람들은 기억을 벗 삼아 춤을 추죠.' >'제 고향은 데마시아지만 절대 아이오니아를 잊지 않을 거예요.' >'''적 챔피언 조우''' >'제가 아는 분이시던가요? 저의 팬이신가요?' ([[진(리그 오브 레전드)|진]]) > >'피들스틱? 노래에 따르면 진짜일 리가 없는데.' ([[피들스틱(리그 오브 레전드)|피들스틱]]) > >'이렐리아? 복원 시절에 본 게 마지막이었는데.' ([[이렐리아]]) > >'왜 자르반은 가만히 있는 거죠? 법령 하나면 충분할 텐데.' ([[자르반 4세]]) > >'크라운가드 가문의 마법사? 별로 내키지 않는 조합이네요.'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 재밌게도 소나 재녹음이 공개된 10.16 패치에서 소나-럭스는 제일 핫한 봇듀오이다. 다만 이 대사는 오역에 가까운 의역이다. 원문 대사는 "A Crownguard and a mage? Wouldn't want to be her"로, 직역하면 "크라운가드이자 마법사? 저라면 럭스의 처지가 되고 싶지 않네요"가 된다. 즉, 데마시아의 이름 높은 귀족 가문에서 마법사로 태어난 럭스를 안타깝게 여겨 동정하는 대사에 가깝다.] > >'어떻게 지내셨나요 라이즈? 또 이 세상을 끝장낼 유물을 찾으러 다니셨나요?' ([[라이즈]]) > >'어머? [[스웨인#s-12|대장군께서도 제 팬이신가 봐요?]]'[* 적국의 수장인 스웨인이 소나의 음악을 극찬한 것에 대한 대사.] ([[스웨인]]) > >'사일러스, 여전하군요. 제 대답은 변함없이 “싫어요“랍니다.' ([[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사일러스]]) > >'변함없는 타릭을 보니 반가우면서도 동시에 (웃음) 아쉽네요.' ([[타릭(리그 오브 레전드)|타릭]]) > >'신 짜오에게서 엄청난 고통이 느껴져요, 왜죠?' ([[신 짜오]]) >'''공격''' >'불협화음이네요.' >'아다지오.'[* Adagio. 빠르기말 중 하나로 "천천히 느리게"라는 뜻이다. 이전 한국 대사에서는 이런 음악용어를 살리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제대로 살린 모양.] >'공격적인 선율이군요.' >'정의의 교향곡을.' >'물러서세요.' >'모두 조용히 해주세요.' >'완벽한 박자로!' >'화음이 엉망진창이네요.' >'음악을 통한 질서를.' >'우리의 심장이 4분의 3박자로 뛰네요.' >'제가 무대에서 내려가면 큰일 날 거에요.' >'제가 당신의 자리를 찾아드리죠.' >'환상적인 듀엣이네요.' >'훼방꾼이 나타났군요.' >'음정 이탈이군요.' >'팡파레가 울려 퍼져요.' >'목소리 좀 낮추시죠.' >'신호에 딱 맞춰서.' >'우아하게.' >'아주 빠르게요.'[* 원문은 'Allegrissimo'. 빠르기말로, "매우 빠르게"라는 뜻.] >'활기차게, 활기차게.'[* 원문은 'Brioso! Brioso!'로, "쾌활하게", "힘차게"라는 뜻이다.] >'정 원하신다면.' >'음악을 즐길 줄 아시는군요.' >'음정이 벗어났네요.' >'충고는 사양하죠.' >'공연을 즐겨보시죠.' >'한 목소리로.' >'''스킬''' > >'''용맹의 찬가(Q) 사용 시''' >'오스티나토!'[* Ostinato. 짧고 일정한 선율을 계속 반복해서 연주하는 기법으로 유명한 곡으로는 [[볼레로]]가 있다.] >'스포르찬도.'[* sfz 또는 sf. 셈여림말 중 하나로 특정의 음만 "급격히" 세게 연주하라는 뜻이다. 급격히가 빠지면 린포르찬도(rfz)가 된다.] >'다시!' >'셈프레!'[* Sempre. 셈여림말 중 하나로 그대로 유지하라는 뜻이다.] >'역동적으로!' >'포르티시모!'[* ff. 셈여림말 중 하나로 "매우 강하게"라는 뜻이다.] >'힘을 실어서!' >'높은 음으로!' > >'''인내의 아리아(W) 사용 시''' >'이중창으로!' >'모두 조화롭게!' >'걱정 마세요.' >'계속하세요.' >'조화롭게.' >'잘하고 있어요.' >'앙코르! 앙코르!' > >'''기민함의 노래(E) 사용 시''' >'빠른 움직임으로.' >'활기차게!' >'느낌을 살려서!' >'더욱 재빠르게.' >'알레그로!'[* Allegro. 빠르기말 중 하나로 "빠르게"라는 뜻.] >'재빠르게!' >'더 신속하게!' > >'''크레센도(R) 사용 시''' >'레퀴엠!'[* 장례식에서 쓰이는 장송곡. [[카서스]]의 궁극기 명칭이기도 하다.] >'크레센도!' >'피날레!' >'애도의 노래!' >'안단테!'[* Andante. 빠르기말 중 하나로 "걷는 속도처럼 느리게"라는 뜻이다. 통상 아다지오보단 빠른 메트로놈.] >'심포니!'[* Symphony. 교향곡을 뜻하는 말.] >'''도발''' >(소나가 에트왈을 거친 소리가 나게 내려치고, 오른손 엄지를 아래로 내려 도발한다.) > >'''도발 반응''' >'흐음, 제가 상관한 바는 아닌 거 같은데요.' >'''농담''' >(소나가 에트왈을 비스듬히 잡고 한 번 긁는다. 악기에서 일렉기타 소리가 난다.) > >'''농담 반응''' >'그냥 계속 웃는 거야, 그럼 알아서 사라지겠지?‘ >'''처치''' >'아, 이건 예정에 없었는데.' >'뭐 괜찮을 거예요.' >'중간 휴식 시간이라고 생각하시길.' >'다들 못하는 말이 없군요.' >'어휴, 훼방꾼이라니.' > >'사인이 '''4장'''이나 필요하다구요? 대체 왜죠?.' ([[진(리그 오브 레전드)|진]]) ~~여기서도 까이는 4 성애자~~ > >'들판이 고요해지고 바람이 잦아들면 집으로 도망치세요.' ([[피들스틱(리그 오브 레전드)|피들스틱]])[* 피들스틱 테마곡 가사의 초반부 소절이다.] > >'미안해요 가렌, 하지만 갇힌 상태로 도울 길은 없어요.' ([[가렌]]) > >'아이오니아에서 절 초대할 일은 당분간 없겠네요.' ([[이렐리아]]) > >'단 하나의 법령, 그게 그렇게 힘든 일인가요?' ([[자르반 4세]]) > >'사일러스, 마법사들은 이미 충분히 골치가 아프다구요.' ([[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사일러스]]) > >'걱정 마요 럭스. 머지않아 우린 자유를 찾을 거에요.'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 > >'당신도 [[아이오니아|먼 곳의 고향]]을 두고 왔군요, 신 짜오. 부디 편히 쉬기를.' ([[신 짜오]]) > >'그 유물이 정말로 세상을 끝장내는 건 아니죠? 라이즈?' ([[라이즈]]) > >'그만 일어나요 타릭, 연기가 너무 과장됐군요.' ([[타릭(리그 오브 레전드)|타릭]]) >'''와드 설치'''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모든 음표는 중요하답니다.' >'꼬마 안내원이랄까요? (웃음)' >'엉터리 음악가는 없는지 잘 살피렴.' >'신호를 잘 기다리렴. (웃음)' >'날 보살펴주렴, 나도 널 보살필 테니까.' >'다음 노래를 위한 준비인걸요?' >'''부활''' >'이런! 잠시 딴 생각을 했네요.' >'앙코르 공연인가요? 원하신다면야.' >'감정을 담아 한 번 더.' == DJ 소나 == [youtube(JgaxVzYurPI?si=voR4aI1OCWDd3t9B)] 전세계에서 같은 음성을 쓴다. 음성이 음악과 조화되도록 특수하게 녹음되어 현지화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당연히 키네틱, 컨커시브, 에테리얼 각 폼 [[BPM]]에 알맞는 대사를 한다. == 초능력특공대 소나 == [youtube(ZcFRKEdJ9ss)] == 구 대사 == [youtube(4EX6nj6ycjs)] 소나의 대사 중 '아주 빠르게요.'는 'Allegro.', '활기차게! 활기차게!'는 'Brioso! Brioso!', '느리게요, 소환사님.'은 'Adagio, summoner.'로 각각 빠르기를 나타내는 음악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번역 과정에서 퇴색되었다. >'''선택 시''' >'당신만이 절 들을 수 있어요, [[소환사(리그 오브 레전드)|소환사]]님. 오늘은 어떤 명작을 연주해볼까요?' >'''공격''' >'아주 빠르게요.' >'음악을 통한 질서를.' >'활기차게! 활기차게!' >'이 불협화음을 해결해볼까요?' >'팡파르가 울려 퍼져요.' >'정의의 교향곡을.' >'''이동''' >'우린 마음으로 이야기하죠.' >'느리게요, [[소환사(리그 오브 레전드)|소환사]]님.' >'조화롭게.' >'우아하게' >'완벽한 박자로.' >'환상적인 듀엣이네요.' >'4분의 1박자로.'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좀더 신속하게, 알겠어요.' >'''웃음''' >(소나가 맑은 음색을 연주한다. 이후 쿡쿡 웃는 시늉을 한다.) >'''도발''' >(소나가 에트왈을 거친 소리가 나게 내려치고, 오른손 엄지를 아래로 내려 도발한다.)[* [[모탈 컴뱃: 데들리 얼라이언스]]의 페이탈리티 효과음이다. 밴할 때에도 해당 대사가 출력된다.] >'''농담''' >(소나가 에트왈을 비스듬히 잡고 한 번 긁는다. 악기에서 [[일렉기타]] 소리가 난다.)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