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녀시대/활동 역사)] [include(틀:소녀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소녀시대|[[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height=50]]]]}}}[br]{{{#ff84c3 '''[[소녀시대|{{{#ff84c3 소녀시대}}}]] 2010년 활동 역사 관련 둘러보기 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84C3 45%, #FF84C3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000;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소녀시대/활동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소녀시대|[[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height=50]]]]}}}[br]{{{#ff84c3 '''[[소녀시대|{{{#ff84c3 소녀시대}}}]]의 2010년 주요 시상식 수상 이력'''}}}[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84C3 45%, #FF84C3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000;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br]'''{{{#ffffff 여자 인기상 TV 부문}}}''' || || '''[[윤아]][br](2010)''' || ---- ||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Gee]]>[br](2010)''' || ---- || [[서울가요대상|[[파일:sma_logo_04.png|width=150]]]][br]'''{{{#ffffff 서울가요대상 대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서울가요대상|[[파일:sma_logo_04.png|width=150]]]][br]'''{{{#ffffff 서울가요대상 디지털 음원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Gee]]>[br](2010)''' || ---- || [[서울가요대상|[[파일:sma_logo_04.png|width=150]]]][br]'''{{{#ffffff 서울가요대상 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60]]]] '''[[KBS 가요대축제|{{{#00001e 가요대상}}}]] '''{{{#00001e '''대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Oh!]]>[br](2010)''' || ---- ||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음반 대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Oh!]]>[br](2010)''' || ---- ||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음반 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Oh!]]>[br](2010)''' || ---- ||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Ceci 인기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Oh!]]>[br](2010)'''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올해의 아티스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TOP 10}}}'''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핫트렌드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어워드 베스트 드레서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10)''' || }}}}}}}}} || }}}}}} || [목차] == 개요 == [[소녀시대/활동 역사]] 중 2010년을 다룬 문서.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4CB2A5E-E45E-4FF3-A71C-847ECD3F0DBC.gif|width=100%]]}}} || [[https://youtu.be/TGbwL8kSpEk| 뮤직비디오(2010. 1. 27.)]] [[https://youtu.be/UcfwC1SjzlA| & - ‘SBS 인기가요’(2010. 1. 31.)]] 1월 28일, 정규 앨범 2집 '''<[[Oh!]]>'''가 발매되었다. 명랑하고 발랄한 느낌의 치어리더 콘셉트를 선보였으며, 이 곡 역시 대히트를 기록하며 '''‘[[뮤직뱅크]]’ 5주 연속 1위'''를 거머쥐는 쾌거를 이뤄냈다. 그러나 인기와 인지도에 비례해 비평 또한 전보다 많아졌다. 대표적으로 '노래가 약하다'는 평이 많았는데, 이는 곡의 가벼운 느낌과 언뜻 보면 유치해 보이는~~오빠만 찾아대는~~ 가사 탓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곡 구성과 사운드가 상당히 세련되었다’는 평 또한 많았다. 아무튼 팬덤의 강력한 음반 화력과 더불어 음원에서도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연간 순위 6위를 기록하면서, 몇몇 평단의 부정적 평가와는 별개로 노래의 파급력은 굉장했음을 증명했다.[* 한 일례로 기습 티저를 공개해 '''[[네이버]] 서버를 마비시키기도 했다.'''] 활동이 끝난 후, [[서현]]이 [[정용화]]와 함께 '[[우리 결혼했어요]]'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5.media.tumblr.com/tumblr_m4rq3vmoOZ1rwfhvbo1_r1_500.gif|width=100%]]}}} || [[https://youtu.be/q_gfD3nvh-8| 뮤직비디오(2010. 3. 17.)]] [[https://youtu.be/hVpHADzLS_w| - ‘쇼! 음악중심’(2010. 03. 20.)]] 3월 22일, 리패키지 앨범 <[[Run Devil Run(소녀시대)|Run Devil Run]]>이 발매되었다. <[[소원을 말해봐]]>의 섹시 콘셉트보다 한층 더 강하게 노선을 비튼 콘셉트를 들고 나와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 시기는 [[천안함 피격사건|국가적으로 비운의 사고]]로 인해 모든 방송 활동이 중단되었던 때라, 곡의 반응은 좋았지만 활동 자체는 묻히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줬다(...). 그럼에도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연간 22위'''를 기록해 [[소녀시대]]의 파급력을 증명했다. 특히 여성 팬덤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제대로 센 언니 콘셉트 덕분에 상당한 호평이 이어졌다. 특히 이 시기를 기점으로 남초 성향이 강했던 [[S♡NE]] 중 여성팬들이 급격히 증가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6.media.tumblr.com/tumblr_lmhrjcDEVg1qcdyr6o1_500.gif|width=100%]]}}} || [[https://youtu.be/fYP_3QEb5Yk| 뮤직비디오(2010. 9. 8.)]][* [[유튜브]]에서는 SM TOWN 채널에서 2012년 4월 3일에 재업로드되었다.] 9월 8일, [[일본]] 진출을 시도하며 <소원을 말해봐>의 일본 번안 싱글 <[[GIRLS' GENERATION|GENIE]]>가 발매되었다. 섹시/제복 콘셉트가 제대로 먹혀들어 히트했고, 특히 여성팬들을 중심으로 한 팬덤이 크게 증가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45.media.tumblr.com/tumblr_lfzbboP3sa1qdphnvo1_500.gif|width=100%]]}}} || [[https://youtu.be/mpoKx48WmEM| 뮤직비디오(2010. 10. 20.)]][* [[유튜브]]에서는 SM TOWN에서 2012년 4월 3일에 재업로드되었다.] 10월 20일, 일본에서 싱글 <[[Gee]]>가 발매되며 이후 연속으로 히트시키는 데 성공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EE75E23-D10C-4CA0-A758-3D3E129CEA2A.gif|width=100%]]}}} || [[https://youtu.be/F4-SxcCO5d0|<훗> 뮤직비디오(2010. 10. 28.)]] [[https://youtu.be/0mnZHswRD1c|<내 잘못이죠 (Mistake)> & <훗> - ‘SBS 인기가요’(2010. 10. 31.)]] 10월 25일, 국내 공백기를 메우기 위해 미니 앨범 3집 '''<[[훗]]>'''이 발매되었다. [[Oh!|전작]]에 버금가는 폭발적인 반응과 성적[* <[[Oh!]]> 때와 마찬가지로 ‘[[뮤직뱅크]]’ 5주 연속 1위를 달성했다.], 포인트 안무인 화살춤을 유행시키며 최고의 걸그룹 이미지를 단단히 굳혔다.[* 당시 <[[Run Devil Run(소녀시대)|Run Devil Run]]>이 기대 이하의 성적이었던 데에 비해 <[[훗]]>이 대박을 쳤기 때문에 '''‘[[소녀시대]]’는 제목이 한 글자인 노래를 내면 대박을 친다’'''라는 말이 돌기도 했다. 실제로 컴백 뉴스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팬덤에서는 소녀시대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히트곡 라인으로서 ‘'''[[Gee|지]]-[[Oh!|오]]-[[훗]]''' 삼연타’로 불린다.] 그러나 당시에는 뜬금포로 컴백했다는 인식을 주기 쉬웠는데[* 그 때문에 [[2010 대종상 시상식 논란]]의 주역이 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종전의 [[Oh!|정규 앨범]]과는 달리 홍보도 별로 없었던 깜짝 발매에 가까웠다. 그리고 12월 9일, 소녀시대는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에서 대망의 '''음반 대상을 수상했다!''' 이 음반 대상 수상은 현재까지도 유일무이한 걸그룹의 음반 대상 수상 기록으로 남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녀시대/활동 역사, version=287, paragraph=1.5)] [[분류:소녀시대/활동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