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레이싱 게임)] ||<-5><:><#555555>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white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br],,{{{#white (}}}[[게임 기어|{{{#white 게임 기어}}}]] {{{#white /}}} [[세가 마스터 시스템|{{{#white 세가 마스터 시스템}}}]]{{{#white )}}},, || ||<:> [[소닉 & 테일즈 2]] ||<:> → ||<:> '''소닉 드리프트 2''' ||<:> → ||<:> [[테일즈의 스카이패트롤]] || ||<-6> '''{{{#white 소닉 휴대용 콘솔 외전 시리즈}}}''' || || [[소닉 드리프트]] || → || '''소닉 드리프트 2''' || → || [[테일즈의 스카이패트롤]] || ||<-3>
<#0000FF><:> '''{{{#white 소닉 드리프트 2[Br]ソニックドリフト 2 [br]SONIC DRIFT 2}}}''' || |||| [[파일:소닉_드리프트_2_日.jpg|width=320]] || || '''개발''' ||[[세가 게임즈]]|| || '''유통''' ||[[세가]]|| || '''플랫폼''' ||[[게임 기어]]|| || '''출시일''' ||[[1995년]] [[3월 17일]] (일본, 게임 기어)[br][[1995년]] [[3월]] (유럽, 게임 기어)[br][[1995년]] [[11월]] (북미, 게임 기어)[br][[2012년]] [[11월 14일]] (일본, 3DS 버추얼 콘솔)|| || '''장르''' ||[[레이싱]]||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게임 기어]] 전용 타이틀로, [[소닉 드리프트]]의 후속작. 전작과 마찬가지로 스토리라고 할 만한 요소가 거의 없으며, 그냥 우승 상품으로 [[카오스 에메랄드]]가 걸린 '제2회 카오스 그랑프리'에 총 7명의 선수가 참가한다는 것이 게임의 주된 내용이다. == 상세 == ||<:> [youtube(Y5mIkguyIig)]|| ||<:> '''게임플레이 영상''' || === 메뉴 === * '''CHAOS GP (카오스 그랑프리)''' 플레이어와 3명의 CPU가 총 6회의 레이스를 치르는 모드. 각 레이스의 성적에 따라 주어지는 '랭킹 포인트'를 합산하여 우승자를 가린다. 참고로 성적에 따른 보상은 아래의 표와 같다. ||<#0000FF> '''{{{#white 순위}}}''' ||<#0000ff> '''{{{#white 보상}}}''' || || '''1위''' ||랭킹 포인트 3P, [[카오스 에메랄드]] 1개|| || '''2위''' ||랭킹 포인트 2P|| || '''3위''' ||랭킹 포인트 1P|| || '''4위''' ||없음|| * '''FREE RUN''' 코스와 캐릭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타임 어택에 도전할 수 있다. 메뉴 최상단의 RUN을 선택하면 게임이 시작되며, 다른 설정을 건드리지 않고 바로 시작할 경우 소닉으로 에메랄드 힐 1을 플레이하게 된다. * '''VERSUS''' 두 대의 게임 기어 본체를 연결하여, 두 명이서 경주할 수 있다. 별매품인 대전 케이블 1개, 게임 기어 본체 두 개, 소닉 드리프트 2 카트리지 두 개가 필요하다. * '''OPTION''' 게임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 '''LEVEL''' CPU가 조작하는 머신의 스피드를 조절한다. NORMAL과 HARD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으며, 하드를 고를 경우 CPU의 스피드가 증가한다. * '''ENEMY''' 코스 위의 장애물 설치 여부를 정할 수 있다. === 경기 중 조작법 === ||<#0000FF> '''{{{#white 입력 커맨드}}}''' ||<#0000ff> '''{{{#white 설명}}}''' || || '''방향 버튼 ←→''' || 핸들 조작 || || '''방향 버튼 ↑''' || 스톡 중인 아이템이나 스페셜 파워를 사용한다.[br]둘 다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아이템이 먼저 사용된다. || || '''① 버튼''' || 브레이크 || || '''② 버튼''' || 액셀 || || '''핸들 조작 + ①/② 동시 입력''' || 드리프트 주행 || || '''START 버튼''' || 일시정지 || === 아이템 === 코스 위에는 여러 종류의 아이템들이 배치되어있다. [[소닉 드리프트|전작]]과 달리 일부 아이템은 습득 후 저장해뒀다가 필요할 때 커맨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스톡'이라고 하며, 링을 제외한 아이템은 한 번에 1개만 스톡할 수 있다. 아이템을 스톡한 상태에서 다른 것을 주울 경우, 기존에 가지고 있던 아이템은 코스에 버려지며 이것을 다른 캐릭터가 주워갈 수도 있다. 아이템의 종류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ff0000 '''(★)'''}}}이 표시된 아이템은 스톡이 가능하며, 스톡 후에는 방향 버튼 ↑를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다. * '''[[링(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링]]''' 각 캐릭터가 지닌 '스페셜 파워'를 사용할 때 필요한 아이템. 스페셜 파워를 한 번 사용할 때마다 2개의 링이 소모된다. 예외적으로 [[메탈 소닉]]의 경우 한 번에 '''3개'''의 링을 소모한다. 경기 중에 머신이 스핀할 경우 1개의 링을 잃는다. * '''점프 스프링''' 건드리는 순간 회전하며 점프한다. 사용 시 코너에서 원심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 '''대시 박스''' {{{#ff0000 '''(★)'''}}} 붉은 모니터 형태의 아이템. 사용하면 일정 시간 동안 빠른 속도로 대시할 수 있다. * '''점프 박스''' {{{#ff0000 '''(★)'''}}} 노란 모니터 형태의 아이템. 사용 시 점프 스프링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 '''[[기뢰]] 박스''' {{{#ff0000 '''(★)'''}}} 회색 모니터 형태의 아이템. 사용 시 코스에 기뢰를 설치한다. 기뢰를 건드린 머신은 스핀한다. * '''무적 박스''' {{{#ff0000 '''(★)'''}}} 푸른 모니터 형태의 아이템. 무적 상태가 되어, 장애물이나 라이벌을 무시할 수 있다. * '''플래시 스타''' 건드리는 순간 [[태양권#s-2|화면 전체가 하얗게 빛난다.]] * '''리버스 볼''' 건드리는 순간 일정 시간 동안 핸들의 좌우 조작이 반대가 된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 및 머신 정보 === {{{#0000ff '''(★)'''}}}이 표시된 캐릭터는 전작에 등장하지 않은 신규 참가자이다. * '''엔트리 넘버 1 : [[소닉 더 헤지혹]]'''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Drift-2-Cyclone-Art.png]] 전용 머신은 '사이클론'으로, 최고속력이 높은 대신 코너링 능력이 조금 떨어진다. 스페셜 파워인 '''대시'''를 사용하면 아이템 중 대시 박스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 '''엔트리 넘버 2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ails_68.png]] 전용 머신은 'MTP-02 휠 윈드 S7'. 특별히 강점도 약점도 없는 머신인 만큼 사용하기 편하다. 스페셜 파워인 '''점프'''를 사용하면 점프 스프링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 '''엔트리 넘버 3 : [[에이미 로즈]]'''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my_43.png]] 전용 머신은 '브리즈'. 가속력이 뛰어나지만 최고속력은 낮다. 스페셜 파워 '''하트 어택'''을 사용하면 트랙에 하트를 설치한다. 하트를 건드릴 경우 데미지를 입지는 않지만, 스피드가 줄고 리버스 볼의 효과가 발생한다. * '''엔트리 넘버 4 : [[닥터 에그맨]]'''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obotnik_54.png]] 전용 머신은 '에그 타이푼'. 파워가 뛰어나 충돌에 강하지만, 가속력이 좋지 않다. 스페셜 파워를 사용하면 코스에 '''기뢰'''를 투하한다. * '''엔트리 넘버 5 : [[메탈 소닉]]''' {{{#0000ff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etal_Sonic_15.png]] 전용 머신은 '블루 데빌'. 최고속력은 전 캐릭터 중 가장 뛰어나지만, 반대로 코너링은 최악을 달린다. 스페셜 파워는 '''슈퍼 대시'''로, 대시 박스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지만 링을 3개씩 소비한다. * '''엔트리 넘버 6 : [[팡(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팽 더 스나이퍼]]''' {{{#0000ff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nack_3.png]] 전용 머신은 '마벨러스 퀸'. 가속력이 우수하지만 코너링 능력이 조금 떨어진다. 스페셜 파워를 사용하면 코스에 '''오일 볼'''을 설치한다. 오일 볼을 건드린 머신은 스핀한다. * '''엔트리 넘버 7 : [[너클즈 디 에키드나]]''' {{{#0000ff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nuckles_55.png]] 전용 머신은 '템페스트'. 코너링 성능이 전 캐릭터 중 가장 뛰어난 대신 최고 속력이 조금 느리다. 근처에 라이벌이 있을 때 스페셜 파워를 사용하면 '''펀치'''로 공격하고, 없을 때 사용하면 그냥 테일즈와 동일하게 점프한다. === 서킷 및 코스 목록 === 플레이 난이도는 BLUE 서킷이 가장 높고, PURPLE 서킷이 가장 낮다. * '''PURPLE''' * RD. 01 : [[에메랄드 힐]] 1 (Emerald Hill 1) * RD. 02 : [[힐 톱]] 1 (Hill Top 1) * RD. 03 : 다크 밸리 1 (Dark Valley 1) * RD. 04 : [[카지노 나이트]] (Casino Night) * RD. 05 : 데저트 로드 (Desert Road 1) * RD. 06 : 아이언 루인 (Iron Ruin) * '''WHITE''' * RD. 01 : 데저트 로드 2 (Desert Road 2) * RD. 02 : 레이니 사바나 (Rainy Savanna) * RD. 03 : [[아이스 캡]] (Ice Cap) * RD. 04 : [[힐 톱]] 2 (Hill Top 2) * RD. 05 : [[미스틱 케이브]] (Mystic Cave) * RD. 06 : [[에메랄드 힐]] 2 (Emerald Hill 2) * '''BLUE''' * RD. 01 : 다크 밸리 2 (Dark Valley 2) * RD. 02 : 퀘이크 케이브 (Quake Cave) * RD. 03 : 벌룬 패닉 (Balloon Panic) * RD. 04 : 에메랄드 오션 (Emerald Ocean) * RD. 05 : 밀키 웨이 (Milky Way) * RD. 06 : [[데스 에그]] (Death Egg) * '''FINAL RD.''' : [[데스 에그]] (Death Egg) '''본작의 최종 라운드.''' BLUE 그랑프리에서 6개의 코스를 모두 1위로 완주하여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두 모을 경우 곧바로 이어서 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다른 라운드와 달리 한 명의 CPU와 1:1로 경주를 하게 된다. 플레이어의 캐릭터가 에그맨, 메탈 소닉 혹은 팽일 경우 라이벌은 무조건 '''[[소닉 더 헤지혹]]'''으로 고정된다. 그 이외의 캐릭터를 조작할 때는 '''[[닥터 에그맨]]'''과 경주해야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각주]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분류:레이싱 게임]][[분류:1995년 게임]][[분류:게임 기어 게임]][[분류:닌텐도 3DS 버추얼 콘솔/게임 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