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파일:소닉 드림스 컬렉션 로고.png|width=400]]|| ||<|2><:>'''명칭'''||<:>'''영문 표기'''||<:>SONIC DREAMS COLLECTION|| ||<:>'''한글 표기'''||<:>소닉 드림스 컬렉션|| ||<-2><:>'''개발'''||<:>Arcane Kids Archie Prekash|| ||<-2><:>'''출시 날짜'''||<:>2015년 8월 10일|| ||<-2><:>'''엔진'''||<:>[[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 ||<-2><:>'''위키'''||<:>[[http://sonic-dreams-collection.wikia.com|영문]]|| [목차] == 개요 == Arcane Kids 그룹이 개발하고 [[https://en.softonic.com/download/sonic-dreams-collection/windows|무료]]로 배포한 [[소닉 더 헤지혹]]의 비공식 시리즈이다. == 제작 배경 == 2013년 Arcane Kids 그룹이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 [[SEGA]]의 [[드림캐스트]] 개발툴을 주문했다. 그런데 개발툴을 사용하던 도중 이때까지 알려진 적 없는 새로운 소닉 게임 4가지를 발견하게 되는데, 지금은 해체된 개발팀인 MJSTUDIO(소닉 드림팀)가 만든 것이었다. Arcane Kids 그룹은 더 많은 사람들이 플레이할 수 있도록 이 게임을 컴퓨터에 호환하여 무료로 배포했다. [include(틀:스포일러)] ...라고 본인들이 주장하고 있지만, 사실은 직접 개발하고 제작한 팬 게임이다. 실제 남이 만든 게임을 허락없이 마음대로 공유하면 분명 [[저작권]] 침해다. 이런 설정을 만든 까닭은 '[[SEGA]]가 만든 공식 소닉 게임' 이라는 설정에 신빙성을 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계속 언급될 MJSTUDIO(소닉 드림팀)는 가상의 그룹임을 명시하자. == 게임 플레이 == 게임 내의 다양한 반전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플레이할 것이라면 보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 나만의 소닉 만들기 (Make My Sonic) === 신체 크기와 색깔을 조절하여 나만의 소닉을 디자인할 수 있는 미니게임으로 1996년도에 제작되었다.[*1 그냥 설정일 뿐 실제 제작 날짜는 아니다.] 타이틀에 있는 커다란 'Let Go'[* 원래 Let's Go다.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오타를 내서 대충 만든 티를 낸 것이다.] 버튼을 누르면 시작한다. [[SEGA]]와 함께 만든 MJSTUDIO(소닉 드림팀)의 첫 게임이며, 원래는 [[드림캐스트]] 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했지만 실현되지는 않았다. [[파일:소닉 드림스 컬렉션 나만의 소닉 만들기.jpg|width=350]] 실제로 플레이하면 왜 그런지 알 수 있다. 팔다리가 따로 노는 데다가 크기 조절이 극적이어서 만들고 나면 매우 기괴한 모습이 된다. 마우스로 움직여서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는데, 조작감이 쓰레기라서 어떻게 하든 이상한 포즈를 취하게 된다. 이름도 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정하는게 아니라 [[무작위]]이다. [* [[Game Grumps]] 실황 때 'Knight Chrono Potter Kaiser the Cyborg Hedgehog (시간의 도예가의 황제인 사이보그 고슴도치 기사)'라고 나왔다. --답이 없다--] === 에그맨 오리진 (Eggman Origin) === 대규모 [[MMORPG]]로 1997년도에 제작되었다.[*1 그냥 설정일 뿐 실제 제작 날짜는 아니다.] 그런데 게임 시작 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며 게임 실행조차 안 되는 골때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게임에 접속하려면 게임 폴더 안에 있는 SegaNet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나만의 소닉 만들기' 미니 게임에서 소닉 캐릭터를 만든 후 업로드 해야한다. [[파일:소닉 드림스 컬렉션 에그맨 오리진.jpg|width=350]] 접속하면 아무런 [[텍스처]]도 없는 하얀 지형이 나온다. 땅에서 나오는 지렁이를 에그맨에게 먹이면 클리어할 수 있고 이름이 명단에 올라간다. === 소닉 [[무비 메이커|영화 만들기]] (Sonic Movie Maker) === [[파일:소닉 드림스 컬렉션 소닉 영화 만들기.png|width=350]] 소닉의 등장인물을 마음대로 배치해서 영화를 찍을 수 있는 미니게임으로 1998년도에 제작되었다.[*1 그냥 설정일 뿐 실제 제작 날짜는 아니다.] 맵에 곳곳 숨겨져 있는 카메라를 찾아 6초 동안 녹화하면 출구가 열리면서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찍은 영상은 스테이지를 넘어갈 때 마다 관람할 수 있다. 그런데 나오는 등장인물마다 마치 발작이 난 것처럼 온몸을 뒤틀어대는 데다가 움직일 때 마다 카메라가 흔들려서 사실상 촬영은 불가능하다. 촬영 컨셉도 매우 기괴한데 비만성애, [[불륜]], 식인성애, 남성 임신, [[마크로필리아|거인성애]] 등 아이들에게 부적합한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 나의 룸메이트 소닉 (My Roommate Sonic) === [[파일:소닉 드림스 컬렉션 나의 룸메이트 소닉.jpg|width=350]] 소닉 [[미연시|연애 시뮬레이터]] 게임으로 1999년도에 제작되었다.[*1 그냥 설정일 뿐 실제 제작 날짜는 아니다.] 소닉과 함께 집에서 영화를 보면서 친분을 쌓는 게임이다. 창문 밖에 있는 에그맨과 문자를 주고 받으면서 진행된다. 전부 플레이하고 나면 '소닉 영화 만들기'에 새로운 스테이지가 추가된다. === 해석 === 아마도 [[디비언트아트]] 등지의 자작 소닉 캐릭터 팬아트들, 자작 만화, 각종 기괴한 소닉 페티쉬물들과 그에서 파생한 밈들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게임인 듯 하다. == 해외에서의 인기 == 특이하고 [[병맛]]적인 요소 덕분에 영어권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무료인 점에다가 [[GameGrumps|게임그럼프]], [[Markiplier|마커 플라이어]] 등 주요 유튜버들이 실황 방송을 하면서 상당한 이슈가 되었다. [[홀로라이브 프로덕션]]의 버츄얼 유튜버인 [[모리 칼리오페]]와 [[매그니 데즈몬드]]가 이 게임을 언급한 적도 있는데 소닉 팬덤의 흑역사들을 풍자했다는 점 때문에 소닉을 좋아한다면 이걸 해본 적이 있지 않냐고 놀리는 투로 언급된 것이다. == 한국에서의 한계 == 번역을 시도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무료인데도 불구하고 한국 팬덤 도입에는 큰 한계를 보였다. 나무위키에도 게임이 출시된지 2년이 훌쩍 지나서 문서가 작성될 정도로 인지도가 적다.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