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폴아웃 시리즈/세력]] [[파일:소련 국기.svg|width=400]] || 건국자 || [[블라디미르 레닌]] || || 존속 기간 || 1917년 ~ 2077년 || || 정치 체제 || [[사회주의]] || [목차] == 개요 == [[폴아웃 시리즈]]에 등장하는 [[소련]]으로 원래 역사와는 다르게 1991년에 망하지 않고 존속되었다가 [[2077년]]에 [[핵전쟁]]으로 멸망한다. 설립자는 그대로 [[블라디미르 레닌]]이며 폴아웃 익스트림에서 자세하게 나올 예정이였으나 게임이 컨셉아트 단계에서 취소되었다. == 탄생 == 1917년 10월 혁명의 결과로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이 탄생하였고, 그 후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 공식적으로 정부가 출범하게 된다. 형식상으로는 "연방"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을 중심으로 통치되었으며 그 때문에 흔히들 소베에트 러시아 내지 러시아로 불렀다. 급진적인 산업화와 공업화로 러시아 제국의 잔해를 뒤로하고 후진국에서 초강대국으로 거듭났지만 그 후 나치 독일과의 전쟁을 거치면서 [[이오시프 스탈린]]의 독재로 통치되는 공포정치 국가로 변모되었고, 엄청난 인명손실이 있었지만 전후 연합국들과 더불어 유럽을 양분하는 초강대국으로 거듭났다. == 핵전쟁 이전 == 하지만 "[[랜드리스]]"등을 통한 세계대전 동안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뒤로하고 두 세력은 사상적 차이로 인해 서로 틀어지게 되었고 미국과 소련 사이의 경제, 군사, 기술 등등 여러 분야에서의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두 세력의 경쟁의 정점을 찍은 것은 첫 우주인의 탄생이었는데, 1961년 5월 5일 미국 소속 Carl Bell이 세계 최초로 지구 궤도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고 Defiance 7에 비상 착륙정이 불시착했다. 그러다가 [[폴아웃 시리즈/연대표/21세기|21세기]]에 이르러서, [[중국(폴아웃 시리즈)|중국]]이 소련의 영광을 제치고 공산주의 세력권의 새로운 맹주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세력권의 변화 후에도 [[미국(폴아웃 시리즈)|미국]]은 여전히 중국 혼자서도 위협적이였기에 두 나라간의 동맹은 계속되었고 이는 미국에겐 위협이었다. 쳉 주석은 [[미중전쟁]]의 발발이후 소련과 합동 핵공격 조약을 맺었다. 그리고 러시아의 돌연변이 인간 프로젝트가 미국의 모 프로젝트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핵전쟁 당시 == 2077년에 이르러서는 미국-소련과의 관계에 개선이 있었는데 표면 상으로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이므로 [[미군(폴아웃 시리즈)|미군]]의 시선에서는 분명한 적이었고, 미국의 프로파간다는 "소련은 강제노동 지옥이다"라는 식의 방송을 계속해 갔다. 그 반대인 소련도 마찬가지로 프로파간다 방송이나 첩자들을 통해 미국에서 방송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소련 시민의 미국 이주 자체는 허가되었고, 거부감 자체는 있었어도 미국인들도 일단 그들을 (특히 범죄의 세계에서) 받아들여졌다. 심지어 핵전쟁 직전에는 LA의 소련 외교관이 볼트 13의 거주민으로 선정되기까지 했고 그 덕분에 외교관은 소련을 포함한 모든 문명들을 멸망시킨 핵전쟁의 불길을 피할 수 있었다. == 핵전쟁 이후 == 중국에 밀려 2등 국가가 되어서 핵전쟁 이후의 존재감이 아예 없다. 다만 [[폴아웃 76 - 야생 애팔래치아|야생 애팔래치아]]에서 소련 첩자가 되는 퀘스트가 잘린 점이나 [[폴아웃 76 - 웨이스트랜더|웨이스트랜더]]에서 추가된 전쟁전 소련 출신의 레브를 통해 웨이스트랜더 메인 퀘스트중 하나인 From Russia With Lev를 진행할 수 있다. == 군사 == 유일하게 언급되는 부분이 택틱스에서 등장하는 스콜피오의 무기 설명문[* [[스페츠나츠]]가 애용한 [[기관권총]]이라고 한다.]인데, 택틱스가 일부만 캐논으로 간주됨에 따라 스콜피오가 후속작에서 등장하던가 따로 언급이 있지않는이상 알수가 없다. == 등장인물 == * 주LA 소련 외교관 - 폴아웃1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나탈리아의 할아버지다. * 레브[* 러시아인이라 레프가 맞지만 번역과 주변인들 모두 레브로 부른다.] - 본인에 대해 물어보면 전쟁전 러시아 출신이라고 언급한다. 이외에도 소련 국적은 아니지만 러시아계 후손이 간간히 등장한다. == 기타 == 클래식 시리즈의 [[AK-112]]와 [[Vz.61|스콜피오]]는 소련제 무기이며 볼트 13에 지정된 소련 외교관이 핵전쟁으로 대피한 이후, [[폴아웃]]의 시간대에서는 외교관의 후손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폴아웃 4]]에서도 알래스카 부분을 찍은 뉴스가 있는데 러시아의 영토가 일부 나오는것으로 간접적으로 출연하였다. 여기서도 소련대신 러시아(Russia)라고 표기한것이 보인다. [[캠프 맥클린톡]]에 있는 포스터 중 붉은 별에 칼을 꽂는 포스터가 있는데 중국의 한자가 아닌 소련의 낫과 망치 문양이 들어가있다. 세계관 내에서는 실제 [[소련]]의 위상과 달리 취급이 듣보잡 수준으로 떨어진 비운의 국가이다. 비록 중국에 밀린 공산주의 국가에다가 미국과의 관계도 개선되었다곤 하지만 중국보다 기본적인 땅덩어리는 더 큰 나라에다가 과거 거의 모든 공산주의 국가들을 지도했던 나라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매우 의문이 드는 점. 게다가 냉전 대결 구도인 [[미중전쟁]]에 거의 언급조차 안 될 정도로 듣보잡으로 전락한 것을 보면 '왜 대전쟁 이전에 해체가 되지 않았지?'라는 질문이 나올 정도로 게임 내에서 위상은 심각하게 전락했다. 애초에 냉전 도중에 극단적인 [[반공주의]]가 유행하는 독재국가가 된 미국이 그것도 [[미중전쟁|양 진영간의 대전쟁이 일어나는 시국]]에 고작 관계 좀 개선됐다고, 소련인의 입국을 허가하는거 자체가 미국 입장에서는 그냥 간첩을 마음대로 입국시키겠다는 말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폴아웃 시리즈에서 설명되는 소련은 설정이 매우 부실하다고 볼 수 있다. 애초에 중국에 밀린 2등 국가일 뿐, 그 외의 위상은 여전할 뿐인데 설정상 소련이 분할됐다는 것도 아니고 공산주의를 버린 것도 아닌데,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됐다는 설명도 개연성이 부족하고 꽤나 억지 덩어리다. 현재로선 [[베데스다]]가 [[폴아웃 캐논]]을 관리하기에 이들이 과연 소련에 대한 설정을 방치할지, 아님 부실한 설정을 맺는 설정을 추가할지는 미지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폴아웃 시리즈(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