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방경]] [include(틀:소방계급)] || [[파일:소방경_계급장.svg|width=200]] || ||<#ccc,#333> 계급장 || [목차] {{{+2 消防警 / Fire Captain}}}[*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53089&lang=ENG|대한민국 소방공무원법 영문법령 기준]]] == 개요 == 소방관의 계급으로 간부에 속한다. 소방위 보다 높고 소방령보다 낮다. 일반직 공무원의 6급(갑)[* 6급 3년차 이상]에 상당하며 중앙부처의 보직상 국군의 [[소령]]와 같은 6급 [[주무관]]에 보임된다. [[경찰공무원]]의 [[경감(계급)|경감]], [[교정직 공무원]]의 [[교감#s-3|교]][[교정직 공무원/계급#s-2.6|감]]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볼 수 있다. 이 계급부터 정모 및 근무모 챙에 잎장식이 붙는다. 잎은 총 14개.(좌우 잎 7개씩) == 보직 == 전국에 약 4500명의 소방경이 있고 대부분 각 지역 [[소방본부]]에 소속된다. 본부의 조정관, 산하 [[소방서]]의 계장이나 팀장, [[119안전센터]]의 센터장, 구조대장, 구급대장, 소방정대장, 현장지휘팀장 등의 보직을 받는다. 인원수가 많아짐에 따라 센터장을 못하고 일선 안전센터 팀장을 맡는 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다. 100톤급 이상 [[소방정]]을 운용하는 일선소방서 소속 소방정대[* 소방정대는 2014년 현재 부산항만소방서(부산705, 부산706), 여수소방서(전남705), 마산소방서(경남704), 통영소방서(경남706), 인천중부소방서(인천703)에만 존재하고 있다. 한편 당진소방서와 평택소방서에서도 서로 소방정대를 창설하려고 시도 중이다. 두 곳 관할구역이 근처라 둘 다 만들어지면 관할권 다툼이 생길 여지가 있다.]에서 소방정장을 맡는다. 이들은 2020년 3월 31일까지 지방직 공무원이었다가 이후 국가직 공무원으로 일괄 전환되었다. [[대한민국 소방청]], [[중앙소방학교]], [[중앙119구조본부]] 등 중앙부처(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 소방 비서)에 소속된 소방경은 전국에 91명이 있다. 2015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시.도별 본부에 소속된 소방특별사법경찰관에 채용되는 [[사법시험]],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출신 변호사가 이 계급으로 채용된다.(각 시.도별 3~10명 이내로 구성되며 소방법에 한하여 수사권이 있다.) 소방사로 시작해 진급한 소방관은 보통 소방위에서 퇴직하나 최근 개정된 근속승진안에 따라 소방사 출신의 장기근속자(30년 이상)의 경우 소방경으로 퇴직할 길이 열렸다. 소방경부터 정모 및 근무모의 차양에 장식이 추가된다 == 외국 == * [[중국]]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계급#지휘원|1~2급지휘원]]([ruby(指挥员, ruby=zhǐhuīyuán)])이 존재하며, 소방대대 및 소방중대 지휘를 담당한다. [[파일:1급지휘원 견장.png|width=80]][[파일:2급지휘원 견장.png|width=80]] * 일본 소방공무원 계급으로는 소방사령([ruby(消防司令, ruby=しょうぼうしれい)]/Fire Captain)이다. [[파일:JF sirei.gif]] * 미국 뉴욕 소방 계급은 Captain /EMS Captain이다. 미군 대위 계급장을 사용한다. [[파일:1094px-US-O3_insignia_svg.png|width=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