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후궁]][[분류:1479년 사망]][[분류:장연 노씨]] [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태종의 후궁[br]{{{+1 소빈 노씨 | 昭嬪 盧氏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374-1,너비=100%)]}}} || ||<-2> {{{#ffd400 {{{-2 소빈 노씨묘 위치}}} }}} || || '''출생''' ||미상 || || ''' 사망''' ||[[1479년]] [[11월 15일]]^^([[음력]] [[10월 23일]])^^ || || '''묘소'''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374-1 || ||<|2> '''재위기간''' ||'''{{{#ffd400 조선 소혜궁주}}}''' || ||[[1411년]] [[11월 22일]] ~ [[1479년]] [[11월 1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장연 노씨(長淵 盧氏) || || '''부모''' ||부친 - 노구산(盧龜山, {{{-3 ? ~ 1419}}})[br]모친 - 충주 최씨 최렴(崔濂)의 딸 || || '''배우자''' ||[[태종(조선)|태종]] || || '''자녀''' ||'''슬하 1녀''' 장녀 - [[숙혜옹주(태종)|숙혜옹주]](淑惠翁主, {{{-3 1413 ~ 1464}}}) || || '''봉작''' ||소혜궁주(昭惠宮主) → '''소빈(昭嬪)'''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종(조선)|태종]]의 간택 후궁. 아버지는 밀직제학을 지낸 노구산(盧龜山)이며, 어머니는 [[우의정]]을 지낸 최렴(崔濂)의 딸 충주 최씨이다. 따라서 [[정희왕후]]의 어머니인 흥녕부대부인과는 이종사촌 사이가 된다. [[고려]]의 제 32대 왕 [[우왕]]의 제3비인 의비 노씨가 그녀의 고모가 된다. == 생애 == 1411년(태종 11) 10월 [[명빈 김씨]], [[숙공궁주]]와 함께 간택되어 그해 11월 소혜궁주(昭惠宮主)로 봉작되었다.[* 태종실록 22권, 태종 11년 11월 20일 정축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11020_001|#]] ] 1413년(태종 13) 태종의 서6녀 숙혜옹주를 낳았고, 태종이 승하한 뒤에는 [[영수궁]]에서 거처하다가 1479년(성종 10) 세상을 떠났다. 이에 성종이 쌀과 콩 70설, 청밀 10두, 황랍 30근 등을 부조하였다.[* 성종실록 109권, 성종 10년 10월 23일 을사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010023_003|#]] ] 1872년(고종 9) 소빈(昭嬪)으로 추증되었는데, 따라서 그녀의 살아생전에는 소빈으로 불린 적이 없고 소혜궁주로 불렸다.[* [[용의 눈물]]에서 소혜궁주가 아닌 소빈으로 나오는 것은 고증오류가 되는 셈이다. ] == 대중매체 == * 드라마 《[[용의 눈물]](1996)》 132회의 후궁 간택 장면에서 잠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