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0c0c0><:> '''[[고조공신후자연표]](高祖功臣侯者年表第六) 후제(侯第)''' || || '''110위 110위 성양정후 해의''' || {{{+1 ←}}} ||<#000000> '''{{{#white 111위 평주후 소섭도미}}}''' || {{{+1 →}}} || '''112위 토군후 선의''' || [include(틀:전한의 평주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6a5acd 0%, #6a5acd 20%, #A11 80%, #A11);" '''{{{+1 [[연(춘추전국시대)|{{{#ece5b6 연}}}]]의 [[승상|{{{#ece5b6 승상}}}]]}}}[br]{{{+1 {{{#ece5b6 전한의 평주공후(平州共侯)}}}}}}[br]{{{+1 昭涉掉尾}}}[br]소섭도미'''}}} || ||<-2> '''[[시호|{{{#ece5b6 시호}}}]]''' ||<(> 공후^^(共侯)^^ || ||<-2> '''[[작위|{{{#ece5b6 작위}}}]]''' ||<(>평주후^^(平州侯)^^|| ||<|2><:> '''[[직위|{{{#ece5b6 최종직위}}}]]''' ||<:>{{{#ece5b6 연}}}||<(>승상^^(丞相)^^ || ||<:>{{{#ece5b6 전한}}}||<(> 장군[* 이천석(二千石)의 장군이었다고 한다. ] || ||<-2> '''[[성씨|{{{#ece5b6 성씨}}}]]''' ||<(> 소섭^^(昭涉)^^ || ||<-2> '''{{{#ece5b6 이름}}}''' ||<(> 도미^^(掉尾)^^ || ||<-2> '''{{{#ece5b6 생몰기간}}}''' ||<(> ? ~ [[기원전 178년]]|| == 개요 == 초한쟁패기에 활약한 인물. 본래 연나라의 승상이었지만, 후에 한나라 편에 서서 결국 전한의 공신이 된다. == 생애 == 본래 연나라 왕 [[장도(연왕)|장도]]의 신하로, 연나라의 승상이라는 중책을 맡고 있었다. 그러다 장도가 [[한신]]에게 항복했고, 이후 한왕 4년(기원전 203년)에 장도의 명령으로 장군 [[온개]]와 함께 한나라 지원군으로 파견되어 [[항우]]의 대사마 [[조구(초한쟁패기)]]를 무찌르는데 힘을 보탰다. 그러다가 온개와 함께 한나라에 남기로 한 것인지, 이듬해인 한왕 5년(기원전 202년)에 연왕 장도가 반란을 일으키자 오히려 연나라 토벌군으로 참전하여 연나라를 쳤다. 이후 이천석 질석의 장군에 올랐고, 기원전 198년 8월 갑진일에 평주후(平州侯)에 봉해져 식읍 1,000호를 받는다. == 사후 == [[문제(전한)]] 2년인 기원전 178년에 사망하여 시호를 공후(共侯)라고 하였다. 작위는 아들 [[소섭복]]이 잇는다. 그 뒤를 이어 소섭가문은 무려 5대에 걸쳐 80년 동안이나 평주후의 봉국을 유지하는 명문가로 거듭나게 된다. 5대째인 [[소섭매]] 때 작위를 몰수당하지만, 이후 후손들이 다시 가문을 일으켰다고 하니, 한고제 때 공신들 중에 후손들도 잘 먹고 잘 산 축에 낀다. [[분류:초한쟁패기/인물]] [[분류:한나라의 공신]] [[분류:기원전 17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