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주 국왕)] || '''[[시호]]''' || 소왕(昭王) || || '''[[성씨|성]]''' || [[희]](姬) || || '''[[휘]]''' || 하(瑕) || || '''생몰 기간''' || 기원전 1027년 ~ 기원전 977년 || || '''재위 기간''' || 기원전 995년 ~ 기원전 977년 || [목차] == 개요 == [[주나라]]의 제4대 [[왕]]이자, [[천자]]. [[강왕(주)|강왕]]의 아들로 무리한 원정을 하여 주나라를 쇠퇴로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주 소왕도 죽었다. == 재위 기간 == 그는 [[명군]] 강왕의 아들로 태어나 태자가 되어 아버지 주 강왕이 죽은 뒤 왕이 되었다. 소왕 원년(기원전 995년), 동이족(東夷族)이 모반하자, 병사를 거느리고 정벌했다. 같은 해 소나라의 후작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 반란을 평정하였다. 소왕 11년(기원전 985년), 소왕은 첫번째로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 정벌에 떠났으나 병력만 잃었다. 한수를 건너 큰 코뿔소만 보고온 것이 소득이었다. ~~그런데 그나마 소득이라는 거지. 사실은 뻘짓이다.~~ [* 다만 아주 소득이 아닌 것도 아닌게, 소왕은 거기서 코뿔소를 만나보겠다고 말은 했었다.] 소왕 14년(기원전 982년), 소왕은 제공과 신나라 백작과 함께 '''두번째로''' 초나라를 쳤으나 병사들만 잃었다. ~~가면 맨날 지냐?~~ ~~반란은 진압하는데 외정이 시망~~ 주 소왕 15년(기원전 981년), 그 당시에는 소왕은 주나라에 머물러 정사를 돌봤다. 주 소왕 16년(기원전 980년), 동이족이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거느리고 정벌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초나라를 '''세번째로''' 정벌했으나 역시 소득이 없었다.[* 그 이유는 초나라가 한수의 험함으로 잘 지켰기 때문이다.] 소왕 17년(기원전 979년), 50승의 병력을 주나라로 돌려보냈다. 소왕 18년(기원전 978년), 소왕은 여나라에 머물러 영사도에서 기후명자기[* 사슴 모양으로 빚었다고 한다.] 3개를 포상으로 내렸다.[* 정황상 여나라 제후에게 내린 듯 하다.] 소왕 19년(기원전 977년), 소왕은 다시 초나라를 '''네번째로''' 정벌했으나 한수에서 빠져 죽었다. ~~안죽었으면 다섯번째도 갈 양반~~ 사기에서는 남쪽에서 순수를 하다가 강에 빠져 죽었다는 식으로 나왔는데, 실은 초나라를 정벌하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 그것은 훗날 제 환공이 초나라를 칠 때 굴완이 한수를 이용해 막겠다는 말로 그것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바가 있다. 잘 생각해 본다면 왕이나 되는 사람이 강물에 빠져 죽을정도면 그곳에서 무슨일이 벌어졌을지는 안봐도 비디오다. 그 사실이 사기와는 달리 죽서기년에는[* 육사(六師, 6개 군단)를 한수에서 잃었다며 패전을 암시하는 기사가 실려 있다.] 자세하게 나온다. 《일주서》에서는 소왕이 24년(기원전 972년)[* 동아시아에서는 이를 기원전 1027년에 해당하는 연도로 셈했다. 이는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가들이 주나라의 건국 연도를 기원전 1122년(기묘년)으로 보았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까지도 계속 재위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러한 혼란은 [[공화]] 시대 당시의 혼란으로 인해 서주 초의 사료가 대다수 유실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이 당시 음력 4월 8일, 꽤 큰 규모의 지진과 함께 [[지진 전조현상|지진광]](earthquake light)이 관측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두고 점술사인 소유(蘇由)는 '위대한 성인이 서쪽 땅에 태어남을 알리는 상서로운 징조입니다. 지금은 천자의 치세에 끼치는 영향이 없겠으나, 1천년 뒤에는 저 성인의 가르침이 우리나라에 전해질 것입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동아시아 [[불교]]계에서는 해당 기록을 [[석가모니]]의 탄생과 연관지어왔으며, 이로 인해 남방의 [[상좌부 불교]]와는 한동안 [[불멸기원]]을 다르게 셈해 왔다. [각주] [[분류:주 국왕]][[분류:기원전 1027년 출생]][[분류:기원전 977년 사망]][[분류:익사한 인물]][[분류:중국의 객사한 인물]][[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