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소요산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2> {{{#585858,#a7a7a7 {{{#!html
시종착
}}}}}}[* [[연천역]] 방향으로 [[청산역]] 2023년 12월 16일 연장 개통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 1호선[br](100)}}}}}}]] ||<|2> [[인천역|{{{-1 {{{#585858,#a7a7a7 인천 방면}}}}}}]][br][[동두천역|동두천]][br]2.4 ㎞ → || || [[동두천급행|{{{#ffffff {{{-1 1호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원선 급행'''}}}}}}]]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대체운송버스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동두천역|{{{-1 {{{#585858,#a7a7a7 동두천 방면}}}}}}]][br][[동두천역|동두천]][br]← 2.5 ㎞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ffffff {{{-1 경원선[br]대체운송버스[br]완행}}}}}}]] || [[백마고지역|{{{-1 {{{#585858,#a7a7a7 백마고지 방면}}}}}}]][br][[초성리역|초성리]][br]4.1 ㎞ → ||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ffffff {{{-1 경원선[br]대체운송버스[br]직행}}}}}}]] || [[백마고지역|{{{-1 {{{#585858,#a7a7a7 백마고지 방면}}}}}}]][br][[대광리역|대광리]][br]22.8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소요산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oyosan || || [[한자]] ||<-2> 逍遙山 || || [[간체자]] ||<-2> 逍遥山 || || [[가나(문자)|가나]] ||<-2> [ruby(逍遥山, ruby=ソヨサン)] || ||<-3> '''주소''' || ||<-3>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경기도)|평화로]] 2925 ([[상봉암동]] 126-3) || ||<-3>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경원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경원선]] ||<-2> 1975년 12월 23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2006년 12월 15일 ||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ffffff 대체운송버스}}}]] ||<-2> 2019년 4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1층 || ||<-3> '''승강장 구조''' || ||<-3> 1면 2선 [[단선 승강장]](구 승강장)[br]복선 [[상대식 승강장]](신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용산역|{{{-1 {{{#585858,#a7a7a7 용산 방면}}}}}}]][br][[동두천역|동두천]][br]← 2.4 ㎞ || '''[[경원선]]'''[br]소요산 || [[백마고지역|{{{-1 {{{#585858,#a7a7a7 백마고지 방면}}}}}}]][br][[청산역|청 산]][br]5.8 ㎞ →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요산역.png|width=100%]]}}} || || '''현 역사(2006년 12월 15일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소요산역.jpg|width=100%]]}}} || || '''소요산역 맞이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요산역 스탬프.jpg|width=100%]]}}} || || '''소요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ffffff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소요산 역사를 형상화하였다.]''' || [clearfix] == 개요 == >'''교과서에도 등장했던 옛 소요산역의 정취''' >소요산역은 1976년 1월 11일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후 1982년 9월 21일 옛 역사가 준공되었다. '꽃그림이 그려진 동화책 속을 달리는 것 같은 경원선 열차를 타고 가다가 소요산역에 내리면 동두천의 명산인 소요산과 아주 잘 어울리는 조그만 소요산역이 그림처럼 앉아있다.' 옛 소요산역은 팔각지붕 형태의 대표적인 작은 간이역으로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 묘사되었을 정도로 특히 아름다웠다. 2006년 수도권 전철 운행으로 보통역 승격과 함께 현대식 역사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지하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시종착역을 맡아 저상홈과 고상홈이 각각 하나씩 설계되었다. 오늘날에는 동두천~연천 복선 전철화로 최신 승강 설비와 연계 교통 시설을 적극 반영한 스마트 철도역사로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0번.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경기도)|평화로]] 2925 ([[상봉암동]] 126-3)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요산역 안내도(2023.9-1).png|width=100%]]}}}|| ||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J1rM2BZLFgO4NoxEVUa7dK91qex5MQgN/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보기}}}]])''' || 소요산역은 수도권 전철 최북단 역으로 [[판문점]]과 동위도에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에서 전철화가 되어있는 역(전철역) 중 가장 북쪽에 있으며, 동시에 전기기관차 및 전동차로 갈 수 있는 역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역이다. [[임진강역]]은 [[지행역]], [[춘천역]]과 동위도이며, [[도라산역]]은 [[동두천중앙역]]과 동위도이다. 소요산역은 [[도라산역]]보다 5km 가량 북쪽에 있다. [[군사분계선]]이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까지 북동쪽으로 계속 올라가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일반 광역전철이 출입하는 역 중에는 가장 북쪽에 있는 역이기도 하다. 2023년 12월 16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군]] 연장이 완료되면 [[연천역]]이 수도권 전철 최북단 역이 되는 동시에 [[전곡역]]과 함께 [[삼팔선|북위 38도]] [[북#s-1|이북]]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역이 된다. 한편 [[대한민국]] 최북단 역은 [[제진역]]이며, 실질 영업역 중 최북단 역은 [[백마고지역]]이다. 본래 1호선 연장 개통 당시에 [[경원선]]의 동안역(현 [[동두천역]])까지만 연장 개통하려고 했다가, 경원선 동안역의 다음 역이 행락객들이 많이 모이는 소요산역이라서 연장 개통될 때 소요산역까지 같이 연장되었다. 그래서 [[동두천역]]까지는 [[복선]]이었다가 동두천-소요산 사이의 선로는 [[단선]]에 전차선만 놓은 형태이며, 그나마도 [[경원선]]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와 공유하기 때문에 소요산행의 배차 간격이 약 18~53분에 달한다. 동두천~소요산 구간의 전철을 놓쳤다면 버스 도착정보를 확인하고, 동두천역~소요산역을 운행하는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요산역 구역사.jpg|width=100%]]}}} || || '''소요산역의 구 역사''' || 소요산역의 구 역사는 팔각 지붕 역사로, [[2006년]] [[12월 15일]] 신역사로 이전한 직후 철거되었다. 이곳과 구조가 동일한 건물이 있었던 곳은 [[경의선]]의 옛 [[문산역]], 이설된 [[동해남부선]]의 옛 [[신해운대역|해운대역]], [[경전선]]의 옛 [[창원역]]이 있다. 전철 개통 전까지는 아담한 간이역이었는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uilding&no=4897|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건물 갤러리], 전철 개통을 하면서 2층 규모의 큰 건물인 평범한 전철역이 되었다. 한국에서 유일하게 단선 저상홈과 단선 고상홈이 각각 하나씩 있는 역이였다. 이 두 승강장이 서로 상대식으로 마주보고 있는 구조이다. 이것 때문에 통근열차와 1호선의 게이트가 따로 있다. 하지만 1호선이 연천역까지 연장하면 현재의 저상홈은 고상홈으로의 개조가 불가피하다. 1호선이 복선 노반의 단선 철도로 연장되기 때문에 중간에 반드시 교행을 해야 할 정거장이 필요하다. 또 동두천~연천 구간은 더 이상 통근열차가 다니지 않을 가능성이 거의 확정적이기 때문에 현재의 소요산역 저상홈은 잉여 승강장으로 전락하게 된다. 화물열차 및 군 임시열차 등은 [[초성리역]]까지 간다. [[2006년]] 12월 15일에 1호선 연장 개통으로 [[가능역]](당시 의정부북부역)을 대신하여 1호선의 새로운 시·종착역이 되었다. 하지만 2023년 12월 16일에 [[연천역]]까지 수도권 전철이 연장 개통되면 시·종착역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동시에 수도권 전철 최북단역도 연천역이 된다. 그래서 [[연천역]]까지 개통되면 이 역은 중간 역이 된다는 것이다. 다만 [[연천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10량으로 운행할 것이다. [[2017년]] [[3월 1일]]부터 이 역에 있었던 통근열차 매표소가 폐쇄되었다. 따라서 역무원들이 더 이상 발권 업무를 하지 않으며, 경원선의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추후 재개통 이후로 운행 재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 2017년 [[7월 1일]]부터 [[평화생명관광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대신 기존에 정차하던 [[한탄강역]]에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는다. [[2019년]] [[4월 1일]]부터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하여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고 그 대신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구간, 요금 그대로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대체 운송 버스]]가 운행 중이며, 동시에 소요산역 공영주차장을 폐쇄한다. 그 이유는 연천 전철 공사로 인한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기 때문이다. 현재 소요산역 인근에서 선로를 고가로 올리는 공사가 진행 중인데, 현 역사는 존치하고 고가 승강장으로 이설하고 있다. [[2020년]] [[9월 14일]]을 시작으로 1호선 종착 기능이 기존 승강장에서 전 공영주차장 부지에 지은 임시 승강장으로 넘어갔다. 기존 상대식 승강장과 저상홈은 철거하고 바로 옆에 소요산역 신역사를 짓고 있다.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일부 타 노선과 연계되는 막차가 일찍 출발하는 역이다. [[신창역]] ~ [[의정부역]] 방면의 경우에는 신창역의 막차 시간(21:03)이 더 빠르다. 타 노선과 연계되는 막차는 다음과 같다. * '''20:25(평), 19:50(토/공) 장항선 막차 연계''': 평일 21:30 청량리 도착 - 21:35 청량리발 신창행 막차 환승 / 토요일 및 공휴일 21:48 구로 도착 - 21:10 청량리발 신창행 막차 환승 * 중간에 [[서울역]]~[[천안아산역]] [[KTX]]를 이용할 경우 21:17 광운대행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연계는 다음과 같다. * 22:10 광운대 도착 - 22:12 광운대발 구로행 환승 - 22:42 서울역 도착, 23:00 KTX 117번 탑승 23:38 천안아산역 도착, 24:01 청량리발 신창행 막차 환승 * '''20:48(평), 20:52(토/공) 경부선 천안 방면 막차 연계''': 평일 21:54 청량리 도착 - 22:01 청량리발 천안행 환승 / 토요일 및 공휴일 21:57 청량리 도착 22:01 청량리발 천안행 환승 * '''21:17(평), 21:20(토/공) 경부선 막차 연계''': 평일 22:10 광운대 도착 - 22:27 광운대발 서동탄행 환승 / 토요일 및 공휴일 22:14 광운대역 도착 - 22:24 광운대발 서동탄행 환승 경부선 막차 연계는 평일 한정으로 [[가산디지털단지역]]과 [[금정역]]은 22:31 구로행이 막차로, 각각 [[도봉산역]]과 [[창동역]]에서 환승하면 된다. [[서울역]]과 [[동대문역]]은 23:14 광운대행이 막차로, 창동역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동대문~시청 구간은 동대문역에서 1호선 서울역행 막차와 연계된다. 주말에는 이들 모두 21:58 인천행이 막차로 역시 도봉산역에서 온수행 막차, 창동역에서 안산행 막차와 연계된다. [[수원역]]은 평일에는 21:47 인천행이 막차로, 창동역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서 금정역으로 가면 서동탄행 막차와 연계된다. 주말에는 21:20 차가 막차이다. 경부선 계통을 제외하면 막차는 인천행 21:47, 구로행 22:31, 광운대행 23:37 순이다. 평일에 [[온수역]]으로 가야 하는데 인천행 막차를 놓쳤다면 구로행 막차를 타고 [[도봉산역]]으로 가서 7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1호선이 [[연천역]]으로 연장되면 고가 위로 올라갈 예정이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을 제외한 구간은 전부 단선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 역 주변 정보 == [[소요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 아울러 역 주변으로 소요산 등산객들을 상대하는 것으로 보이는 식당과 편의점 등이 있고, 마을도 인근에 몇 개가 있다. == 일 평균 이용객 == === 수도권 전철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6년 || 4,799명 || [*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7년 || 5,730명 || || || 2008년 || 6,156명 || || || 2009년 || 6,262명 || || || 2010년 || 7,310명 || || || 2011년 || 7,993명 || || || 2012년 || 8,730명 || || || 2013년 || 8,960명 || || || 2014년 || {{{#0052a4 9,122명}}} || || || 2015년 || 8,738명 || || || 2016년 || 8,837명 || || || 2017년 || 8,783명 || || || 2018년 || 8,182명 || || || 2019년 || 7,888명 || || || 2020년 || 5,407명 || || || 2021년 || 5,484명 || || || 2022년 || 5,737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소요산]]에 등산하러 가는 등산객들이 꽤 많아서 역 이용객은 꽤 있으며, 원래 계획에서의 공식 종착역이었던 [[동두천역]]보다 약 1.5배 승하차객이 더 많다. 개통 초기에는 동두천역의 이용률이 더 높았으나 2010년에 소요산역에 동두천 수요를 앞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등산객 이외의 수요는 많지 않고, 등산객들이 대부분 [[노인]]들이라 노인 [[무임승차]]가 적용되기 때문에 수송 수입 자체는 크지 않다. 주말에 보면 [[역무원]]들이 노인들을 안내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그 외 이용객은 [[군인]]들이다. 소요산역 부근은 조금만 이동해도 각종 군부대가 넘쳐나는 곳이라 아침에는 휴가 나가는 군인으로, 오후에는 휴가 복귀하는 군인들이 매우 많다. 특히 [[제28보병사단]]과 [[제5보병사단]] 소속 군인들이 눈에 자주 띈다. 주로 [[연천군]]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지금은 없어진 CDC 통근열차로 [[대광리역]], [[신망리역]]에서 소요산역까지 타고 와서 1호선으로 갈아탔기 때문에 서부전선에서 근무했던 전역자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분이 동시다발로 드는 역이다. === 통근열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379; font-size: .9em" {{{#ffffff '''통근열차'''}}}}}}]] || {{{#ffffff '''비고'''}}} || || 2002년 || 2,087명 || || || 2003년 || {{{#80c379 2,362명}}} || || || 2004년 || 715명 || || || 2005년 || 527명 || || || 2006년 || 389명 || || || 2007년 || 213명 || || || 2008년 || 216명 || || || 2009년 || 173명 || || || 2010년 || 167명 || || || 2011년 || 166명 ||<|2> [* 초성천 철교 유실로 인한 운행 중단 기간 제외] || || 2012년 || 190명 || || 2013년 || 169명 || || || 2014년 || 127명 || || || 2015년 || 97명 || || || 2016년 || 102명 || || || 2017년 || 35명 || || || 2018년 || 28명 || || || 2019년 || 3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2000000|철도통계연보]] || }}}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_소요산_20220708_Bronzebir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_소요산역 승강장_20220708_Bronzebird.jpg|width=100%]]}}} || || '''{{{#ffffff,#ffffff 1호선 역명판}}}''' || '''1호선 승강장''' || || ↑ [[청산역|청산]] ||<-2> 종착역 || || ㅣ || ㅣ || {{{#ffffff 1}}} || ||<-4> [[동두천역|동두천]] ↓ || || {{{#fff 1}}}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급행 || [[의정부역|의정부]]·[[광운대역|광운대]]·[[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 방면 [br] 당역 종착 || 연천까지의 단선 전철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승강장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되었다. [[가능역]]의 의정부북부역 시절 임시 승강장의 모습과 비슷하다. 기존 승강장의 바로 우측으로 이설 되었는데, 바로 옆에서 고가화 공사가 진행 중이기에 기존의 저상홈은 완전히 철거되었다. 임시승강장 옆 선로는 [[청산역]]까지 가는 화물 열차를 위한 선로이다. 출입구가 차량 맨 마지막 칸 타고 내리는 곳 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소요산역에 도착할 때 즈음 많은 승객들이 맨 마지막 칸으로 모여 끝쪽 통로가 붐비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승강장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된 이후부터는 구내에서 선로가 분기되는 관계로 타는 곳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해당 현상은 약간이나마 완화되었으나, 역사는 여전히 열차 도착 후 인파로 채워진다. 아래는 소요산역의 신 승강장이다. ||<-4> ↑ [[청산역|청산]] || || {{{#ffffff -}}} || ㅣ || ㅣ || {{{#ffffff -}}} || ||<-4> [[동두천역|동두천]] ↓ || || {{{#ffffff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청산역|청산]]·[[전곡역|전곡]]·[[연천역|연천]] 방면 || || {{{#ffffff -}}} || [[의정부역|의정부]]·[[광운대역|광운대]]·[[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역 중 하나이다. 소요산역 옆에 진행 중인 고가화 공사는 새로 설치될 승강장을 제외하면 거의 마무리가 된 상태이다. (선로 및 전차선 설치 완료) [[스크린도어]]도 설치되었고 2023년 12월 16일에 개통할 것이다. == 연계 교통 == ||<-2>
{{{+1 {{{#373A3C,#dddddd '''소요산역'''}}}}}} || || {{{#ffffff 완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ffffff 경원선 대체운송버스}}}]]}}}[br][[동두천역]], [[전곡역]], [[연천역]], [[대광리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 || {{{#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ffffff 경원선 대체운송버스}}}]]}}}[br][[동두천역]], [[대광리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 [[의정부 버스 36|36번(수유역-소요산역)]], [[의정부 버스 39|39번(도봉산역-연천TR)]], [[연천 버스 39-2|39-2번(동두천역-신탄리역)]], [[동두천 버스 53|53-5번(덕정주공-전곡TR)]]이 상시로 운행하고, 그 외는 모두 일 운행횟수가 얼마 되지 않는다. === 상행 정류소 - 소요산역(16140) === * 시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0|{{{#ffffff 50-5(전화국)(1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1-12|{{{#ffffff 51-12(전화국)(1회)}}}]]}}} * [[연천군|연천]] 방면 * 전곡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39|{{{#ffffff 39(연천T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53-5(전곡 구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새벽53(전곡 구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새벽53-3(전곡 구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새벽53-12(전곡 구터미널)}}}]]}}} * 연천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3|{{{#ffffff 심야33(연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3|{{{#ffffff 심야33-1(연천역)}}}]]}}} * 신서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9-2|{{{#ffffff 39-2(고대산)}}}]]}}} * 청산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68|{{{#ffffff 68(백의리)(6회)}}}]]}}} * [[포천시|포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포천 버스 57|{{{#ffffff 포천57(포천고교)(5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포천 버스 57-1|{{{#ffffff 포천57-1(포천시청)(7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68-1|{{{#ffffff 68-1(열두개울)(6회)}}}]]}}} * 종착 노선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36|{{{#ffffff 36}}}]]}}} === 하행 정류소 - 소요산역(16136) === * [[동두천시|동두천]] 방면 * [[동두천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9-2|{{{#ffffff 39-2(동두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3|{{{#ffffff 심야33(동두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33|{{{#ffffff 심야33-1(동두천역)}}}]]}}} * 시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포천 버스 57-1|{{{#ffffff 포천57-1(송내주공)(7회)}}}]]}}} * [[양주시|양주]]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53-5(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야간53-8(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ffffff 야간53-11(동두천TR)}}}]]}}} * [[서울특별시|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36|{{{#ffffff 36(수유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39|{{{#ffffff 39(도봉산역)}}}]]}}} * 종착 노선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포천 버스 57|{{{#ffffff 포천5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68|{{{#ffffff 연천6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연천 버스 68|{{{#ffffff 연천68-1}}}]]}}} == 기타 == * 간이역 시절의 소요산역의 이야기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실려 있었다.[* [[https://www.matz.kr/bbs/board.php?bo_table=mainfree&wr_id=40884|마이트란츠 게시물]]] 그 당시 매표소를 운영하던 소장의 부인은 [[보산역]] 매표소에 1년간 근무하다가 퇴직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개정되어서 일부 교과서에만 실려 있다. * 추후에는 고가 승강장으로 이설되며 설치될 예정이나 현재 이용객이 적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자는 의견이 있다. [[재정]]이 현재 넉넉치 못하다면 구형 [[신길역]] 스크린도어를 임시 방편으로나마 쓰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이미 철거한 후 새로 설치를 해서 옛말이 되었다. * 선로가 단선인 관계로 역에서 심야주박을 하는 차량이 없다. 막차 시간대에 소요산역에서 종착하는 차량 2편성은 다시 방향을 돌려 [[공차회송]]하고 동두천역에서 주박한 후 다음 날 새벽 운행을 재개한다. * 이 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장항선 부분 종점인 [[신창역]]까지 단순히 열차로 이동하는 시간은 3시간 29분이 걸린다. 소요산역에서 청량리역까지 완행열차를 탄 후 청량리역에서 급행 열차를 갈아탔을 경우이며, 중간에 급행 대신 완행 열차로 환승하면 이보다 더 오래 걸린다. 또한, 1호선은 상습적으로 지연이 발생하기에 실제로는 이보다 상당히 오래 걸릴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원선의 역 목록)] [[분류:197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동두천시의 철도역]][[분류:동두천시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경원선의 철도역]][[분류:경원선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