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9년 게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울아크(게임))] [목차] == 개요 == [[소울아크(게임)|소울아크]]의 길드 컨텐츠 각 길드원마다 5장의 레이드 티켓이 주어지고 주어진 티켓안에 최대한 많은 단계의 보스를 처치해야한다. 보스에게 가한 피해량에 따라 순위가 정해지는 경쟁 컨텐츠이며 3~4일간 진행되고 하루동안 휴식 및 정산시간을 가진다. 길드 레이드에는 각 던전마다 공략영웅이 존재하며 이를통해 보스와 호위병을 처치하여야 한다. 공격형 영웅은 대개 양지를 사용하며 3단계 보스인 '탐혈자 아우렌'에서 은홍을 사용하기도 한다. 후술될 공략법은 유저의 영웅레벨, 초월, 앱작, 길드버프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것이 아니다. == 1단계 == === 맹독의 아우렌 === {{{+1 '''추천영웅''' }}} [[파일:금천괴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 * 감전중첩 1개당 아우렌이 받는 피해량 100%증가 (최대 300%) * 아우렌의 할퀴기 공격은 아군 전체에 중독을 부여한다. * 아우렌의 레이저 공격은 중독상태인 적에게 대량의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 금천괴로 감전3스택을 유지하면서, 중독에 걸릴 때 마다 연계 2스킬로 해제시켜주는것이 포인트, 중첩 가능한 관통확률 50%증가는 덤이다 == 2단계 == * 레벨2 부터는 호위병이 두 마리씩 존재하며 이들은 레이드보스에게 각각 버프를 제공하고있다. 매우 강력한 버프이므로 호위병을 모두 제거한 후 보스를 공략하자 === 정예 감시병 === {{{+1 추천영웅}}} [[파일:생사괴_소울아크.jpg]][[파일:오용_소울아크.jpg]][[파일:등화_소울아크.jpg]] * 정예감시병은 아군을 공격능력이 없고 4턴마다 보호막을 시전하므로 4턴째에는 권능을 사용하지말고 턴감영웅으로 보호막만 제거하자 * 정예감시병은 감염상태일때 300%의 추가피해를 받는다 * 60생사괴의 권능이 오용의 권능보다 감염 1턴이 더 길기 때문에 생사괴를 추천한다. * 감시병이 여러마리 등장하므로 등화[* 등화의 패시브인 '자신을 포함한 아군4명이 공격형인경우 공격력 60%증가'를 위해 생사괴+등화공덱을 이용하자]와 같은 광역 딜러로 한번에 잡는 것이 좋다. === 일격필살 양전 === {{{+1 추천영웅}}} [[파일:황신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 * 양전이 아군의 공격을 회피하거나 아군이 사망할 경우 양전의 공격력이 10000% 증가하므로 절대 저격이나 회피봉인이 아닌상태에서 공격해선 안된다.[* 첫턴에 서서로 디버프 걸겠다고 쳤다가 끔살당하지 말자] * 저격영웅인 시진을 사용하거나 황신의 권능을 사용한 후 양지로 공략할 수 있다. * 양지를 사용할 경우 황신의 2레벨 권능[* 2턴간 회피봉인]일때만 공격가능 하므로 쿨감이 있는 링링진군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링링연계1스킬의 공격력감소는 덤이다.] === 광란의 아우렌 === {{{+1 추천영웅}}} [[파일:동평_소울아크.jpg]][[파일:설영_소울아크.jpg]][[파일:오용_소울아크.jpg]][[파일:공손승_소울아크.jpg]][[파일:나타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 * 아우렌은 출혈 상태일때 300%의 추가피해를 받으므로 동평의 권능을 사용하자. * 단, 동평의 권능 쿨은 6턴이고 출혈지속은 3턴이므로 반드시 '해로운효과 지속시간 초기화' 스킬을 가진 공손승이나 나타를 동반하자. [* 공손승의 권능에 출혈상태인 적 공격시 데미지50% 증가가 있어 공손승이 조금 더 좋다][* 동평권능 후 출혈이 1턴 남았을 때 초기화. 다시 1턴 남았을 땐 동평의 권능이 돌아오므로 초기화하지 않는다. 즉 동평권능 1번에 초기화 1번] * 2턴 마다 무력화(아군공격력 60% 감소)를 시전하기 때문에 설영과 오용 둘중 하나를 동반하여 해제하도록 하자 * 출혈과 과다출혈은 서로 다른 상태이상이므로 소진을 사용하면 안된다 == 3단계 == 3레벨 보스부터는 공략하는 길드가 급격히 줄어든다. 잡기만 하면 꽤 짭짤한 보상을 노릴 수 있다. 또 보스의 공략법이 치명타 피해량증가이므로 은홍을 사용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해의무녀를 잡지 않아도 된다.[* 물론 해의무녀를 잡아야 3렙보스 난이도가 낮아지므로 여건이 된다면 처치 하도록하자.] 4단계를 노리는 길드라면 당연히 해의무녀도 잡아야한다. === 달의 무녀 === {{{+1 추천영웅}}} [[파일:서서진군_소울아크.jpg]][[파일:해진_소울아크.jpg]][[파일:호연작_소울아크.jpg]][[파일:소달기_소울아크.jpg]][[파일:나타_소울아크.jpg]] * 달의 무녀는 쫄 3마리와 함께 등장한다. 이들 모두 피해반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서진군의 2레벨 권능 연계효과로 주요 딜러진을 보호해야 한다. * 달의 무녀가 사용하는 모든 공격은 아군에게 이로운 버프를 부여하는데 이를 지속적으로 받기위해 호연작의 권능으로 쫄 3마리를 기절 시켜놓는게 좋다.[* 달의 무녀는 행동불가 면역이므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 서서진군의 2레벨 권능효과로 살려야하는 영웅은 딜러인 호연작과 스턴을 유지시켜줄 나타이다. * 1턴. 해진1 [* 호연작 연계2스킬의 크리틸컬확률증가 활용을 위함] * 2턴. 서서진군 권능 - 호연작2 나타2 * 3턴. 호연작 권능 - 호연작1,2 * 4턴. 소달기 권능 - 호연작1,2 나타2 * 5턴. 나타 권능 - 호연작1,2 * 6턴. 턴넘기기 * 이후 2~6턴을 반복하자. [[https://m.cafe.naver.com/ArticleRead.nhn?clubid=29619077&menuid=26&articleid=47661&query=%EB%8B%AC%EC%9D%98+%EB%AC%B4%EB%85%80]] === 해의 무녀 === {{{+1 추천영웅}}} [[파일:일괴_소울아크.jpg]][[파일:서서_소울아크.jpg]][[파일:등화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 * 해의 무녀는 쫄 3마리와 함께 등장하며 자신이 사용하는 회복스킬의 회복량이 2배 증가한다. * 해의 무녀 회복스킬은 그 회복량이 꽤 크기 때문에 일괴의 2레벨 권능으로 회복량을 99% 감소 시켜야 한다.[* 첫턴에 일괴권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체력을 다시 채워주는 하드 쓰로잉이 가능하다] * 해의 무녀는 아군에게 이로운버프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쫄보단 해의 무녀를 먼저 처치하는 편이 좋다. * 따라서 서서 일괴 등화 양지를 포함한 등화공덱으로 공략하자 * 1턴. 일괴권능 - 서서12 양지1 (해의무녀에게) * 2턴. 양지권능 - 양지2 * 3턴. 서서권능 - 양지12 * 4턴. 양지권능 - 양지2 * 이후 1~4턴을 반복한다. * 해의무녀를 처치했다면 남은 쫄들은 허수아비이므로 길드의 저렙유저나 공략덱이 없는 뉴비에게 마무리를 시켜 티켓을 아낄 수 있다. * 해의무녀 공략이 어렵지 않으므로 가능하다면 잡아주는것이 3레벨 보스를 상대하기 편하다 === 탐혈자 아우렌 === {{{+1 추천영웅}}} [[파일:은홍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파일:금천괴_소울아크.jpg]][[파일:소달기_소울아크.jpg]][[파일:태공망_소울아크.jpg]][[파일:서서_소울아크.jpg]] * 아우렌은 무작위 3명의 아군에게 출혈을 부여하고 이 출혈은 다음턴에 과다출혈이 된다. 과다출혈에 걸린 대상은 치명타피해량 500%증가 버프를 부여받는다. * 상술했듯이 아우렌의 출혈은 아군 3명에게 무작위로 부여되므로 은홍에게 출혈이 걸리지 않는다면 치명타 피해량 증가 버프를 받을 수 없다. * 따라서 은홍에게 출혈이 걸리지 않았다면 즉시 금천괴의 연계2스킬로 해제 해야하며, 은홍에게 과다출혈이 부여 되더라도 과다출혈의 특성상 흡혈스킬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은홍이 사망한다. * 다른 방법으로 해의무녀 처치 후 치명타피해량 증가 없이 양지로 아우렌을 공략하는 방법이있다.[* 매턴 출혈을 해제하면서 레이드특화 양지의 깡딜로 때려잡는 것] 이 경우 출혈해제만 신경써주면 되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쉬워진다.[* 달기 서서 금천괴 양지 태공망 덱을 추천한다. 권능수급량따라 적절히 서서의 '받는피해증가', 출혈해제를 하면서 양지로 딜을 해주자. 금천괴의 2연계 스킬이 '관통확률 증가' 이므로 방깎은 할 필요가 없다.] == 4단계 == * 현재 4레벨 보스를 처치하는 곳은 20길드도 되지 않는다. * 소과금, 무과금 유저들이 모여서 잡을 수 있긴 하지만 대부분 오랫동안 게임을 하며 덱과 앱이 정비된 유저들이어야 한다. * 4레벨 보스를 어떻게든 몇대 때리면 상위5% 레이드보상을 노려 볼 만하다. === 심안의 신공표 === {{{+1 추천영웅}}} [[파일:달변괴_소울아크.jpg]][[파일:송강_소울아크.jpg]][[파일:양지_소울아크.jpg]][[파일:서서_소울아크.jpg]][[파일:소달기_소울아크.jpg]] * 신공표는 자신의 치명타공격력이 10000% 증가한다. * 신공표의 권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권능을 사용하기전에는 송강의 통찰로 버텨주고 신공표의 권능[* 신공표의 권능이 적 통찰,막기 무시이므로 송강의 통찰로는 치명타를 막을 수 없다]이 발동하기 직전 턴에 달변괴의 2레벨 권능을 사용해주자. * 1턴. 소달기권능 - 서서12 양지1 * 2턴. 양지권능 - 양지2 * 3턴. 달변괴권능 - 양지12 * 4턴. 서서권능 - 양지12 === 공허의 태공망 === {{{+1 추천영웅}}} [[파일:양지_소울아크.jpg]][[파일:태공망_소울아크.jpg]][[파일:송강_소울아크.jpg]][[파일:소달기_소울아크.jpg]] [[파일:서서_소울아크.jpg]] * 현재 '공허의 태공망'은 대부분 무시하고 보스를 처치한다. 하지만 5레벨 보스 공략을 위해선 잡아 주는것이 좋다. * '공허의 태공망'은 연계2스킬 사용시 치명타확률이 증가하므로 1연계 스킬을 사용할 때 마다 아군 권능 포인트를 2개씩 갉아먹는다. 따라서 송강을 채용해 통찰로 치명타를 막아 주자. * '공허의 태공망'이 권능을 사용하면 반드시 아군파티가 전멸하기 때문에 최대한 '공허의 태공망'의 권능포인트를 깎아 최대한 권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것이 핵심. * '공허의 태공망'은 방어력 자체는 높지 않으므로 잘 세팅된 양지와 (관통+치명)앱을 맞춘 60레벨이상 태공망이 있다면 혼자서도 공략할 수 있다 * 운좋게 태공망의 연계1스킬에 치명타와 관통이 함께 터지면 '공허의 태공망'의 권능이 3개 사라진다. * 태공망의 2레벨 권능은 확정적으로 적 권능포인트를 3개 지울수 있고, 태공망연계1로 치명+관통까지 터지면 적 권능포인트 6개를 없애는 마법을 볼 수 있으므로 3번째턴 이후에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 * 권능포인트 감소 갯수에따라 공략이 유동적이므로 스킬사용 사이클은 따로 기입하지 않는다. 다만 3번째턴 까지는 서서 양지를 이용해 극딜하는것을 추천한다. * 초반권능 예시 서서권능 - 서서12 양지권능 - 양지2 달기권능 - 태공망1 양지12 === 각성한 아우렌 === {{{+1 추천영웅}}} [[파일:양지_소울아크.jpg]][[파일:금광성모_소울아크.jpg]][[파일:금타_소울아크.jpg]][[파일:손천군_소울아크.jpg]][[파일:소달기_소울아크.jpg]][[파일:서서_소울아크.jpg]] * 공허의 태공망을 잡지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우렌은 10턴간 무적버프를 가지고 시작한다. 따라서 금타의 2레벨 권능을 사용하거나, 금광성모와 소달기의 턴감 스킬로 무적버프를 제거하고 시작해야한다. * 아우렌은 아군 영웅중 한명에게 즉살을 시전하는데 이 스킬에 맞으면 말 그대로 즉사한다. 따라서 금광성모나 손천군의 부활, 무적을 사용해 버텨야한다.[* 즉살은 도발로 유도가능 하므로 아우렌의 즉살스킬의 쿨타임이 0이되었다면 금광성모 권능 사용후 양미진군의 연계1스킬을 활용하여 버틸수 있다] * 아우렌은 지속피해 상태일때 추가피해를 받으므로 양지를 사용해서 공략하자 == 5단계 == === 냉혹한 아우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