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소유와 무소유'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FI 선정 100대 사랑 영화)]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 ---- ||<-2>
{{{#000000 '''{{{+1 소유와 무소유}}}''' (1944)[br]To Have and Have No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44 소유와 무소유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로맨스]], [[전쟁]] || || '''감독''' ||<|2>[[하워드 혹스]] || || '''제작''' || || '''각본''' ||[[윌리엄 포크너]], 줄스 퍼스만 || || '''원작'''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 || '''주연''' ||[[험프리 보가트]], [[로렌 바콜]] || || '''촬영''' ||시드니 힉콕스 || || '''편집''' ||크리스찬 니비 || || '''미술''' ||찰스 노비 || || '''의상''' ||밀로 앤더슨 || || '''촬영 기간''' ||1944년 2월 29일 ~ 5월 10일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하워드 혹스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44년 10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48년 8월 18일 || || '''화면비''' ||1.37 : 1 || || '''상영 시간''' ||1시간 40분 || || '''제작비''' ||'''168만 4천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525만 7천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365만 달러''' || ||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워드 혹스]] 감독, [[윌리엄 포크너]] 각본, [[험프리 보가트]], [[로렌 바콜]][* 이 작품이 영화 데뷔작이었다.] 주연의 1944년작 영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다만 각색은 많이 이루어져서 크게 닮지는 않은 편.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BM5Bte4ltg)]}}}|| || {{{#000000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세계대전 중인 1940년. 카리브해 작은 섬 마르티니크는 나치에 동조하는 정부와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싸움으로 조용할 날이 없다. > 그러나 미국인 해리 모건 선장은 오로지 사람들에게 배를 빌려주고 돈을 받는 일에만 관심있을 뿐 전쟁에 대해서는 중립을 지킨다. > 그러나 “성냥 있어요?”라는 말로 시작된 젊은 미국 여성 마리와의 인연으로 모든 것은 달라진다. > 그녀에게 호감을 갖게 된 모건이 그녀를 안전하게 고향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프랑스 레지스탕스 리더를 돕기로 한 것이다. == 등장인물 == * [[험프리 보가트]] - 해리 "스티브" 모건 역 * [[로렌 바콜]] - 마리 "슬림" 브라우닝 역 * [[월터 브레넌]] - 에디 역 * 돌로레스 모란 - 헬렌 역 * 호기 카마이클 - 크리켓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to-have-and-have-not, 메타크리틱_critic=90, 메타크리틱_user=7.4, 로튼토마토=to_have_and_have_not, 로튼토마토_tomato=94, 로튼토마토_popcorn=90, IMDb=tt0037382, IMDb_user=7.8, 레터박스=to-have-and-have-not, 레터박스_user=3.9, 알로시네=29720, 알로시네_presse=4.7, 알로시네_spectateurs=4.0,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Filmarks=9326, Filmarks_user=4.0, ## 엠타임=, 엠타임_user=, 도우반=1294698, 도우반_user=7.7,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5rQRJd, 왓챠_user=3.5, 키노라이츠=49551,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MRQE=to-have-and-have-not-m100027734, MRQE_user=79, ## 시네마스코어=, TMDB=22584-to-have-and-have-not, TMDB_user=74,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네이버시리즈온=168284, 네이버시리즈온_user=8.13, 네이버시리즈온_heart=13, 엠파이어=55ce58fede95cf0744c58f0f-review,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 With Howard Hawks directing and Bogey and Bacall in front of the cameras, To Have and Have Not benefits from several levels of fine-tuned chemistry -- all of which ignite on screen. >---- > '''하워드 혹스 감독의 연출, 그리고 카메라 앞에 선 보가트와 바콜의 존재로 인해, <소유와 무소유>는 스크린 속에서 점화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 잘 조율된 케미스트리를 확인할 수 있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개봉 당시 관객에게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그해 흥행 10위 안에 오르는 등 흥행에도 성공했지만, 당시 비평가들에게는 전미 비평가 위원회에서 상을 받는 등 호평도 있었지만 [[카사블랑카(영화)|카사블랑카]]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었을만큼 혹평 섞인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또 원작 소설과 닮은 부분은 초반 15분 뿐이고, 이후로는 미국인인 주인공들이 [[제2차 세계대전]]에 무관심한 모습을 보이는 것 또한 비판 요소 중 하나였다. 그럼에도 만장일치로 당시 생 신인이었던 [[로렌 바콜]]에 대해서만큼은 호평을 받았는데, 당시 혹스 감독이 본인이 바라던 여성상을 투영해 깊은 저음의 목소리, 성녀와 악녀의 이분법을 벗어나 할리우드 영화사에 그전까지는 없었던, 강인하고 똑똑하며 남성적이기까지 한 캐릭터를 연기한 바콜은 당시 19살의 나이였음에도 "[[그레타 가르보]], [[마를레네 디트리히]], [[캐서린 헵번]]을 다 합친 뒤 [[매 웨스트]]를 살짝 섞은 것 같다"는 극찬을 들었다고, 이 작품으로 스타가 된다. == 기타 == * 혹스는 자신이 추구했던 여인상이었던 [[로렌 바콜]]을 발굴해 와 푹 빠져있었는데, 촬영 당시 바콜과 [[험프리 보가트]] 사이에 미묘한 기류가 흐르는 것을 느끼고 원래 각본에 있던 있던 로맨스 장면을 수정하는 등 질투심을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촬영 도중 B급 영화 전문인 모노그램 픽처스[* Monogram Pictures.] 스튜디오에 바콜을 팔아버리겠다고 협박을 해댔다. 이걸 알고 보가트가 화를 내며 몇 주 촬영 파업을 하기도 했다. 결국 1945년 바콜이 보가트와 결혼하자 혹스는 [[워너 브라더스]]에 바콜의 계약서를 팔아버렸다[* 그래서 두 배우와 한번 더 함께 한 [[빅 슬립(1946)|빅 슬립]]은 [[워너브라더스]]에서 제작되었다]. 가격이 100만 달러였다는 얘기가 있다. * [[하워드 혹스]]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친한 사이여서 같이 낚시 여행을 가곤 했는데, 여행 중 헤밍웨이가 자신이 작가임에도 영화 각본을 쓰는 건 꺼려진다고 말하자 혹스가 헤밍웨이의 최악의 책에서조차 위대한 영화가 탄생할 수 있다고 말하며, 그걸 증명해주겠다고 골랐던 책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였던 게 제작의 시발점이었다고 한다. * 제작 초기에는 각본가 줄스 퍼스만이 원작에 충실하게 [[쿠바]]를 배경으로 한 초안을 작성했으나 극중 쿠바 정부의 묘사가 당시 미국의 '좋은 이웃 정책'에 위배된다는 점이 검열에 걸렸고, 이후 [[윌리엄 포크너]]가 참여한 각본에서 [[마르티니크]]로 극중 배경을 옮기고 내용에 대폭 수정이 가해졌다. [[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전쟁 영화]][[분류:1944년 영화]][[분류:하워드 혹스]][[분류:소설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