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소재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jaewon3.jpg|width=100%]]}}} || ||<|2> '''출생''' ||[[1983년]] [[12월 10일]]|| ||[[전라북도]] [[익산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직업''' ||소설가|| || '''학력''' ||[[대학교]] 중퇴|| [clearfix]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 1983년 12월 10일 전라북도 익산시 출생. 대학교를 중퇴했다. 할아버지는 소병호 화백, 아버지와 누나는 고등학교 미술선생님으로 예술가 집안에서 자랐다. [[2008년]]에 소설 《나는 텐프로였다》로 등단.[* 사실 첫 작품은 [[터널(소설)|터널]]이지만, 출판을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고 한다.] 사회 비판적인 소설을 주로 집필한다. [[비스티 보이즈(한국 영화)|'나는 텐프로였다']], [[소원(영화)|'희망의 날개를 찾아서']], [[터널(영화)|'터널']], '[[공기살인|균]]'등 4개 작품이 영화화 되었고, '이별이 떠났다'는 드라마화되면서 스스로가 극본을 씀으로서 드라마 작가로도 데뷔하게 되었다. == 작품 목록 == === 소설 === * 나는 텐프로였다(2008)[* [[비스티 보이즈]]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 아비(2008) * 밤의 대한민국(2009) * 살아가려면 이들처럼(2010) * 형제(2010) * 소원-희망의 날개를 찾아서(2010)[* [[소원(영화)|소원]]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면서 '소원'으로 개제하여 재간되었다.] * 아버지 당신을(2011) * [[터널(소설)|터널-우리는 얼굴 없는 살인자였다]](2013)[* 한번 절판되었다가 [[터널(영화)|터널]]이 개봉하면서 다시 재간되었다.] * 그날(2014) * 균-가습기 살균제와 말해지지 않는 것(2016)[* [[공기살인]]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 기억을 잇다(2017) * 이별이 떠났다(2018) * 행복하게해줄게(2019) * 세 남자 이야기(2020) * 이야기_그날 소장판(2021) === 드라마 === * [[이별이 떠났다]](2018) == 사회활동 == === 위안부 명칭 변경 서명 활동 === 위안부 피해자들의 평온을 위해, 그들을 부르는 명칭을 '꽃송이'로 바꿀 것을 제안했었다. 작가가 쓴 글을 일부 발췌하자면, > "당연하다는 듯이 우리 입으로 그분들을 성 노예라고 표현하는 것은 너무 잔인하다" > "공식 명칭을 아예 바꾸자는 게 아니다" > "언어가 통하고 뜻을 소통할 수 있는 우리끼리라도 은유적인 표현으로 지칭하자는 취지" > "할머니들이 어린 시절 미처 꿈도 채 펴보기 전에 피해를 봤기 때문에 아직 피어나지 않은 꽃봉오리라는 의미로 꽃이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 "꽃송이가 북한에선 존경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위안부를 매춘에 비유하는 등의 [[망언]]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차별금지법 관련 입장 === 한때 개신교도로서 차별금지법 재정에 반대했었다. [[https://www.khtv.org/bbs/board_view.php?bbs_code=bbsIdx1&num=72&page=29&keycode=&keyword= | #]] 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이유가 여러모로 미흡하고 논리적 문제가 많아서 비판받고 있다. 글의 전체적인 맥락으로 보면 그냥 '''"[[예수쟁이|주님이 동성애 싫어하시니까 나도 싫다!]], [[일반화의 오류|내가 본 동성애자들은 전부 변태고 더러운 놈들 뿐이었다!]]"'''를 길게 늘여쓴 것에 불과하다. 프로 작가임에도 글의 논리적 전개가 어색한 면이 많다. >[[레즈비언]]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분명한건 [[게이]]들을 취재하며 두눈으로 확인한 사실만 적었습니다. 다수가 아닌 극소수다? 전 정상적인 남녀 사랑에 있어서 [[데이트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헌데 꽤 많은 사람들이 당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했죠. 극소수라면 이렇듯 제 눈에 확인되지 않았어야 하는데 15일 동안 봐온 게이커플 중 20%가 넘는 커플이 강압, 폭력이 있었습니다. 결국 확률적으로 어떻게 봐야 하겠습니까? 라는 글을 썼는데 '''[[내가 해봐서 아는데|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관찰하고 판단했다는 근거가 없다.]]''' 통계학에서 쓰이는 수많은 개념들이 왜 존재하는지 생각해보자.[* 자신이 직접 관찰하고 판단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바람직한''' 행위이다. [[김성모#s-2.2|김성모 작가]]는 실제로 [[사창가]]를 가고 [[사채]]를 빌렸으며, <괴짜 경제학>에는 [[노숙자]] 생활을 한 [[사회학자]]가 언급될 정도로, 흔히 쓰이고 있기도 하다. 제대로 된 관찰 대상을, 제대로 된 방법으로 관찰하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결과를 분석하느냐가 문제지.] 그리고 이런 논리라면 한국에서는 이성애도, 출산도 용인될 수 없다. 이성애자들은 10명에 한 명 꼴로 배우자에게 폭력을 당하고, 부모의 25~30%가 자녀에게 폭력을 가한 바 있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4954|#]] 한국은 동성애 이성애와 무관하게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은 나라다. [[이반]]의 세계를 취재하기 위해 게이로 위장하고 이태원 게이 클럽이나 게이 목욕탕 가서 고작 15일(..) 취재한걸 가지고 동성애를 완벽하게 다 이해한 것 마냥 말하는데 이는 오피스텔, [[성매매]] 현장, 호스트빠, 홍대 클럽 취재를 하면 모든 이성애자 문화를 다 이해하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의 논리다. 심지어 앞서 설명했듯 소재원 이 인간은 과거 호스트빠로 일한 사람이라서 오히려 '이성애'의 문화중 음지나 더러운 성 문화를 접한적이 있을텐데도 이성애 전체를 다 더럽다고 일반화 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호스트바로 흘러들어온 남녀들의 어쩔 수 없는 사정과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켜 소설을 전개한다. 이 사람의 논리대로라면 [[팀 쿡]], [[홍석천]] 같이 돈 잘 벌고 사업도 잘 풀리는 '잘 나가는' 게이들만 만나고서 '''게이들은 [[인생의 승리자]]다!'''라고 해도 될 테지만 이런 소리는 누가 봐도 [[어불성설]]이다. 절대다수의 [[성 소수자]]들은 여느 [[시스젠더]]/[[이성애자]]들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안정적인 직장 잡아서 자기가 원하는대로 편히 살고 싶은,''' [[성적 지향]] 내지 [[성 정체성]]만 빼면 비성소수자와 아무 다를 것이 없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일 뿐이다. 또한 '난잡한 성관계와 집착성의 폭력[* 참고로 [[데이트 폭력]]을 보면 알겠지만, 이성애자들 간에도 충분히 집착이나 폭력이 존재할 수 있다.]이 존재합니다.' 라고 주장하면서 든 근거들은 이미 여러 과학적 근거나 통계로 거짓임이 밝혀졌다. 그 예로 모든 동성애자들이 항문 성교를 하는게 아니며 오히려 항문 성교를 하는 사람들은 이성애자들이 동성애자보다 많다.[[http://goaskalice.columbia.edu/answered-questions/not-all-gay-men-have-anal-sex|#]][[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14912/|#]][[https://books.google.co.kr/books?id=ZKveuj7dLd4C&pg=PA91&redir_esc=y#v=onepage&q&f=false|#]][[http://www.straight.com/article/healthy-sex-is-all-in-the-talk|#]] 자세한건 [[동성애]] 문서의 '5.3.5 동성애가 에이즈와 성병을 유발한다?' 목차 참고.[* 한 가지 웃기는 건 한국이나 미국이나 교회에서 순결 서약까지 맺은 기독교 신자들이, 연애를 할 때 순결은 지켜야겠다고 항문 성교를 하는 경우가 꽤 있어서 비웃음거리가 된다는 것.] 또한 글의 초반에서 <[[이태원]] 까지 올라오며 느낀 점은 주님의 말씀이 진리다! 이었습니다. 왜 주님은 동성애를 그토록 싫어하셨는지 몸소 깨닫는 순간이었습니다.> 라면서 '주님'이 동성애를 싫어한 것을 동성애가 틀렸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도 [[과학적 회의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과학적으로나 학계에서 증명되지 않은, 증명할 수 없는 근거를 혐오의 정당화의 이유로 쓰고있는 것이다. 이런 논리 전개를 통해 정당화된 [[십자군 전쟁|사태]]를 생각해보면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작가가 과거 인스타그램에서 쓴 글[[https://www.instagram.com/p/BFtmK-VTIea/|#]]에서 자신은 '''약자를 대변하는 소설가'''라고 주장했는데 정작 [[성 소수자]]들이 사회적 소수자이고 약자라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이중잣대]]는 논란의 여지가 다분하다. 지금은 천주교 신자로 개종하여 소통과 화합을 철학으로 트위터에 차별금지법 반대에 대한 사과입장문을 밝힌 바 있다. === 아동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활동 === 소설 [소원-희망의 날개를 찾아서]를 영화 [소원]으로 만들면서 아동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운동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이끌었으며 아동성범죄 공소시효를 폐지시킨 이력이 눈에 띄기도 한다. 다만 13세 미만의 성범죄자들에 대한 공소시효를 폐지 시켰기에 아쉬움이 남는다. 그럼에도 성범죄 공소 시효 중 하나를 폐지시킨 건 큰 성과다. ===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위원 활동 === 2016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윤리심판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갑질과 부도덕한 의원들에 대한 징계에 적극적인 위원 중 한명이었다. 한창 총선이 있던 시기였기에 공천권이 박탈당할 위기에 놓인 한 국회의원을 소재원이 적극적으로 징계 절차를 진행하며 자신의 sns에 "제명하지 않은 걸 다행이라 여겨야한다”며 “재심 따위로 권력을 되찾으려 하지 말라” 등의 내용을 게시하기도 했다. 국회의원 소재원을 검찰에 고소를 하기도 했지만 혐의없음 판결을 받았고 해당 지역구는 다른 후보자가 공천되어 당선되었다. === 가습기살균제 사회적참사 활동 ===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해 소설 [균]을 집필하고 소설 [균]을 영화 [공기살인]으로 제작하였으며 사회적참사법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캠페인을 진행한 이력도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익산시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진주 소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