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소정리역'''}}}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소정리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ojeong-ri || || [[한자]] ||<-2><|2> 小井里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小井里, ruby=ソジョンニ)] || ||<-3> '''주소''' || ||<-3>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구길 159 [br] (소정리 196-1)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천안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경부선]] ||<-2> 1906년 1월 20일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천안역|천 안]][br]← 10.8 ㎞ || '''[[경부선]]'''[br]소정리 || [[부산역|{{{#!html
부산 방면}}}]][[전의역|전 의]][br]7.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정리역사.svg|width=100%]]}}} || || '''현 역사(2005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ld_sojeong-ri1.jpg|width=100%]]}}} || || {{{#000 '''임시역사'''}}}[* 2004년 4월 19일 촬영, 소정리역 구 역사가 2004년 화재로 소실되면서 본래 시설사무소 공간으로 쓰던 건물을 임시역사 형태로 활용한 것으로 신역사 준공 후에는 역무실로 쓰고 있다. 즉, 현재 역무실 공간이 과거 시설사무소 건물이자 임시역사로 쓰인 것] || [[경부선]]의 철도역,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구길 159 (소정리 196-1) 소재. == 역 정보 ==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부선]]이 병행하는 구간이 끝나고 나서 만나는 첫 번째 역. 여객취급하던 시절에도 무궁화호가 상하행 각 1회밖에 정차하지 않았던 역으로, 천안에 인접해 있어서 도로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이용객은 많지 않았다. [[1977년]] 5월 16일부터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89606#8|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었다. 2014년 5월 1일부터 소정리역 승차권취급이 중단되었다가[* 정확히는 1993년에 이미 정차하는 비둘기호 및 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취급을 중지했다는 의미이며, 전산단말기는 설치되어 타역발 승차권은 발매했었고, 2004년 4월 1일 전산승차권으로 전환되면서 소정리역에서 정차했던 열차도 이곳에서 승차권 발매가 가능했다는 의미] 이 역에서 무궁화호를 타려면 일단 열차에 탑승한 뒤 승무원을 통해 차내 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면 됐었다. 그러다가 결국 2017년 7월 1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단되어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 기차를 타서 이 지역으로 가고 싶을 경우 천안역에서 700번대 버스를 타거나 [[조치원역|조치원]], [[전의역]]에서 991번 버스를 타면 된다.] 여객취급 폐지 뒤에는 화물취급을 위해서 있던 역이다. 주변에 공장 여러 곳이 있고 그곳의 컨테이너 화물을 주로 취급했다. 그리고 인근 군부대 유류화물도 취급했다. 역 규모도 큰 편인데다 유류 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을 싣는 적하장도 따로 마련되어 있는 중요한 화물취급역이었다. 그러나 2022년 4월 1일에 결국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48624158616000&tocId=I0000000000000001648444338179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2-165%25ED%2598%25B8(%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0%25EB%25A6%25AC%25ED%2591%259C%25EB%25B3%2580%25EA%25B2%25BD%25EA%25B3%25A0%25EC%258B%259C)|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165호]]로 화물취급마저 중지되면서 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유령역이 되었다.[* 다만, 아예 폐역 처리가 되지는 않아서 전산상으로는 여객취급역으로 남아있으며 현재도 역무원이 근무를 하고 있어 엄연히 운영되고 있는 역사이다. 하지만 관리가 아예 안 되고 있는지 위 사진처럼 역명판의 색이 바래다 못해 아예 썩은 수준이다.] == 역사(驛舍)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 소정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 소정리역.jpg|width=100%]]}}} || |||| 구 역사 사진 || 현 역사는 [[2005년]] [[5월 1일]]에 완공한 것으로[* 확실히 예전에 비해 깔끔한 모습을 보인다.] 기존에 있던 역사는 전기누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흑역사]]가 있다. 지금 역사는 이전 역사보다 좀 더 작은 규모로 신축한 것으로, 출입구가 옆쪽에 있다. == 기타 == 이 역 북쪽으로 얼마 멀지 않은 곳에 [[경부고속선]]과 경부선, [[1번 국도]]가 동시에 입체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그에서 멀지않은 곳에 [[논산천안고속도로]]도 고속선 및 본선과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여객취급을 하던 때에는 가끔씩 이름이 비슷한 [[서정리역]]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 역도 같은 경부선에 있고, 무궁화호가 선택정차하는 역이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었다. 지금은 지나간 이야기지만... 소정면 주민들이 소정리역 무정차 통과에 관해 항의한 바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19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철도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