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가미 철도의 통근형 전동차)] ||<-3> [[사가미 철도|[[파일:사가미철도 로고.svg|height=2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fff 소테츠 {{{+1 12000계 전동차}}}}}}'''[br]{{{#fff {{{-1 Sotetsu}}} 12000 series}}}[br]{{{#fff 相鉄 12000系 電車}}} ||}}} || ||<-3> [[파일:相鉄12000系.jpg|width=100%]] || ||<-3> 외부 || ||<-3> {{{#fff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 ||<|2> '''운행노선''' || [[사가미 철도]] || [[파일:Sotetsu-SO.svg|width=16]] [[소테츠 본선|{{{#0071c1 본선}}}]], [[파일:Sotetsu-SO.svg|width=16]] [[소테츠 이즈미노선|{{{#0071c1 이즈미노선}}}]],[br][[파일:Sotetsu-SO.svg|width=16]] [[소테츠·JR직통선|{{{#0071c1 소테츠·JR직통선}}}]][* 이즈미노선 운행계통은 JR과 직결하지 않는다.] || || [[JR 동일본]] || [[파일:JRE-JS.svg|width=16]] [[파일:JRE-JA.svg|width=16]] [[소테츠·JR직통선|{{{#58c0a9 소테츠·JR직통선}}}]] || || '''도입년도''' ||<-2> [[2018년]] ~ [[2020년]] || || '''제작회사''' ||<-2> [[종합차량제작소|[[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c/J-TREC_wordmark.svg/2560px-J-TREC_wordmark.svg.png]]]] || || '''소유기관''' ||<|2><-2> [[사가미 철도|[[파일:사가미철도 로고.svg|width=15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19년]] ~ 현재 || ||<-3> {{{#white '''차량 제원'''}}}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2> 선두차 19,620mm[br]중간차 19,500㎜ || || '''전폭''' ||<-2> 2,950㎜ || || '''전고''' ||<-2> 4,017㎜ || || '''궤간''' ||<-2> 1,067㎜ || || '''차중''' ||<-2> 29.7 - 34.0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P[* 소테츠, JR 모두 사용], ATACS[* 사이쿄선 한정] || || '''제어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인버터 제어 || || '''동력장치''' ||<-2>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 제동 포함] || ||<|2> '''최고속도''' || 영업 || 120㎞/h || || 설계 || 120㎞/h || || '''가속도''' ||<-2> 3.0㎞/h/s, 2.5㎞/h/s (절전식) || ||<|2> '''감속도''' || 상용 || 5.0㎞/h/s || || 비상 || 5.0㎞/h/s || || '''MT 비''' ||<-2> 6M4T ||}}}}}}}}} || [목차] ||<-2> [youtube(hdv5YGtYNr4)] || ||<-2> {{{#fff 주행 영상}}} || [clearfix] == 설명 == [[사가미 철도]]가 2018년부터 도입, 2019년 4월 20일부터 운행하기 시작한 직류 통근형 전동차로써, [[소테츠·JR직통선]] 및 [[JR 동일본]] [[사이쿄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하여 만들어졌다. 전 편성이 10량 편성으로, 6편성 60량[* 12101F ~ 12106F]이 도입되었다. [[사이쿄선]]과의 직통운행을 하기 위해 도입하였으므로 기본적인 사양은 [[JR 동일본]]의 [[E233계 전동차]]과 동일하다. 따라서 12000계는 소테츠 최초로 [[도쿄도|도쿄]]와 [[사이타마현|사이타마]] 땅을 밟는 차량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다만 차체 사양은 [[E233계 전동차|E233계]]와 이를 기반으로 제작한 [[소테츠 11000계 전동차|11000계]]와 달리 종합차량제작소 스테인레스 차체의 브랜드인 '[[sustina]]'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즉, 전장품은 [[E233계 전동차|E233계]], 차체는 [[E235계 전동차|E235계]] 기반이다. 전면부가 사자의 입(獅子口)을 형상화한 비관통구조로 되어있고, JR 차량 규격에[* 광폭형 차체, 크러셔블 존, 전두부 비상문 없음] 맞춰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차량한계가 줄어드는 [[도큐 전철]]의 [[도큐 신요코하마선|신요코하마선]] 구간으로는 입선이 불가하다.[* 도큐식 운전보안장치, 전두부 비상문이 없는 문제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도큐의 [[차량한계]]가 JR보다 작기 때문에 입선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실제로 도큐 직결용 20000계는 JR식 광폭형 차체 대신 관동 사철식 직각형 차체로 제작되어, 전폭이 2,787㎜로 12000계보다 좁다.] 도큐선 직결용으로 도입된 [[소테츠 20000계 전동차|20000계]]는 입선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영국의 자동차 회사인 [[애스턴 마틴]]과 꽤나 흡사한 전면부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 편성 == ||<-2> ↑ '''[[요코하마역|요코하마]] ・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 방면''' || || '''クハ 121##''' || Tc2(축전지) || || '''モハ 122##''' || M6(공기압축기) || || '''モハ 123##''' || M5(팬터그래프, VVVF인버터) || || '''モハ 124##''' || M4(공기압축기, SIV) || || '''モハ 125##''' || M3(팬터그래프, VVVF인버터) || || '''サハ 126##''' || T2(무동력객차) || || '''サハ 127##''' || T1(무동력객차) || || '''モハ 128##''' || M2(공기압축기, SIV) || || '''モハ 129##''' || M1(팬터그래프, VVVF인버터) || || '''クハ 120##''' || Tc1(축전지) || ||<-2> ↓ '''[[에비나역|에비나]] ・ [[쇼난다이역|쇼난다이]] 방면''' || == 이야깃거리 == * [[소테츠 9000계 전동차|9000계]]와 [[소테츠 20000계 전동차|20000계]]처럼 '소테츠 디자인 브랜드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 컨셉트를 '안전x안심x엘레강트'로 내걸었으며, 디자인 설계도 주식회사 'PRODUCT DESIGN CENTER'에서 9000계 및 20000계와 동일하게 설계되었다. 알루미늄제에 [[A-train(히타치)|A-train]] 기반인 20000계와 달리 12000계는 스테인리스제에 [[sustina]]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21세기에 등장한 차량인데 특이하게도--[* 다른 철도 회사들도 전두부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이나 강철로 제작한다.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은 가벼우면서도 튼튼하고, 강철은 사고 이후 복구가 쉽다는 특징이 있다. 단, 전두부의 형상이 단순한 경우 차체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한다.] 차체 일부분에 강철이 활용되었다. 전두부만 강철로 제작하고 스테인리스 차체와 용접했는데, 독특한 전두부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에 강철이 스테인리스보다 가공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다만 레이저 용접으로 매끈하게 접합했고, 똑같은 색으로 도색되었기 때문에 알아채기 힘들다.[[https://toyokeizai.net/articles/-/274515?page=2|#]] * 정식으로 영업일을 앞두고 2019년 4월 13일, [[사가미오츠카역]] 구내에서 촬영회가 개최되고, 그 다음날 14일에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한 12000계 시승식을 개최하였다. * 2016년 [[소테츠 9000계 전동차|9000계 리뉴얼차량]], 2018년 [[소테츠 20000계 전동차]]에 이어 이번에도 2019년 [[굿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사가미 철도의 차량으로서는 3연속 수상인셈. * 이 차량은 [[린카이선]]에 입선하지 않아[* 차량 자체는 호환되어 입선이 가능하나 여객운용상 입선계획이 없다.] 사이쿄선 - 린카이선 직통운행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신주쿠역]]이나 [[시부야역]] 쪽에서 [[코믹 마켓]]이 있는 [[코쿠사이텐지죠역|국제전시장역]]에 간다면 이 차량을 탑승해서는 안된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jr&no=40028|피해 사례]][[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jr&no=39827|열차 구분 방법]] ~~린카이차도 사이쿄선만 운행하는 다이아도 있는건 함정~~ 그냥 전광판에 [[신키바역|신키바행]] 열차를 타면 차량이 무엇인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 기본적으로, [[린카이선]]과 [[카와고에선]], [[신주쿠역]] 및 [[이케부쿠로역]] 이북으로는 입선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다이아가 꼬이면 [[https://youtu.be/kzjAaORN71c|신주쿠역 이북으로도 운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거꾸로 E233계도 다이아가 꼬이는 경우 소테츠 본선으로 소테츠 [[요코하마역]]에 진입한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전동차]] * [[sustina]] * [[대형 사철]] * [[사가미 철도]] *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사가미 철도]][[분류:전동차]][[분류:2018년 출시]][[분류:202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