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챔피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피아 사모두로바3.jpg|width=100%]]}}} || || '''이름''' ||소피야 뱌체슬라보브나 사모두로바[br]Софья Вячеславовна Самодурова[br]Sofia Vyacheslavovna Samodurova||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2> '''출생''' ||[[2002년]] [[7월 30일]] ([age(2002-07-30)]세)|| ||[[시베리아 연방관구]] [[크라스노야르스크#s-2|크라스노야르스크]]|| || '''신체''' ||159cm||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소속''' ||Zvezdnyi Led Saint Petersburg|| || '''은퇴''' ||[[2022년]] [[4월 29일]]|| || '''링크''' ||[[https://instagram.com/sofia_samodurova|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m.vk.com/id222105986|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iktok.com/@sofia.samodurova| [[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은퇴할 때까지 쭉 훈련했다. === 2016-17 시즌 === 주니어 그랑프리 3차 [[2016 JGP 일본]] 대회에 출전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총점 180점대로 무난한 경기를 펼쳤으나 4위로 포디움 진입에는 실패했다. 따라서 후속 대회 출전은 하지 못하였다. 이후 [[2017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7 러시아선수권]]에서 9위, [[2017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7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12위를 기록했다. 트리글라브 트로피에서 2위를 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 2017-18 시즌 === ||
[[파일:아나스타샤 타라카노바4.jpg|width=300]] || [[파일:키히라 리카4.jpg|width=300]] || || [[2017 JGP 크로아티아]] || [[2017 JGP 이탈리아]] || 올시즌 첫 주니어 그랑프리로 5차 크로아티아 대회에 출전하며 다소 늦게 JGP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앞선 JGP 대회들에서 1차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차 [[아나스타샤 타라카노바]], 3차 [[다리야 파넨코바]], 4차 [[알렉산드라 트루소바]]가 우승하면서 러시아 선수들이 다 금메달을 휩쓸어 파이널 진출 후보들이 많아져서, 다른 선수들에게는 기회가 가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모두로바 선수의 2개 대회 출전은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만약 금메달을 딴다면 후속 대회 출전이 가능했겠지만, 5차 대회에 당시 우승 유력 후보였던 [[아나스타샤 타라카노바]]가 함께 출전했기 때문에 사모두로바의 우승을 예상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 --홀로-- 올클린을 해내며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우승을 해냈다. 앞서 연기를 펼친 2위 [[야마시타 마코]]와 3위 [[아나스타샤 타라카노바]]의 경기력이 너무 좋지 않아서, 프리 마지막 순번이었던 사모두로바에게도 영향이 미치는 것 아닌가 하였지만 역시 좋은 멘탈을 가진 선수였다. 이 우승으로 7차 대회에 추가 배정을 받아, 또다시 올클린을 해내며 유력 우승 후보 [[알료나 코스토르나야]]를 --소숫점 차로-- 누르고 우승하였다. 코스토르나야도 잘 했지만, 점프의 엣지에 발목을 잡히고 말았다. 따라서 합산 포인트 2순위로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2017-18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7-18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나름 무난한 경기를 했으나 출전한 선수들이 워낙 쟁쟁한 선수들이어서, 총점 187.74점으로 6위 --최하위-- 를 기록했다. [[2018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8 러시아선수권]]에서 11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 2018-19 시즌 === ||
[[파일: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미야하라 사토코8.jpg|width=295]] || [[파일:알리나 자기토바22.jpg|width=315]] || || [[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 || [[2018 로스텔레콤 컵]] || 그랑프리 시리즈에 앞서 [[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원래는 [[스케이트 아메리카]]에만 배정받았지만 이 활약으로 [[로스텔레콤 컵]]에 추가배정을 받아 그랑프리 2개 대회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그리고 역시 올클린을 해냈다. --컨시퀸-- 따라서 [[미야하라 사토코]], [[사카모토 카오리]]에 이어 자신의 첫 그랑프리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이어 [[2018 로스텔레콤 컵]]에서도 올클린을 했다! 따라서 [[알리나 자기토바]]에 이어 지난 대회보다 한단계 높은 은메달을 땄다. 그리고 6차 대회까지 치러진 결과에 따라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파이널 진출 경쟁 중이던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6차 대회에서 포디움에 들지 못하면서 자동적으로 사모두로바와 [[사카모토 카오리]]가 진출하게 되었다.] [[2018-19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8-19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또다시 올클린을 하여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200점을 돌파하고 5위를 기록했다. [[2019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9 러시아선수권]]에서는 6위를 했다. --그래도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메드베데바]]를 이겼다.-- 포디움 세명이 모두 주니어 선수들인 관계로, 시니어 선수들 중에서는 [[스타니슬라바 콘스탄티노바]]와 [[알리나 자기토바]]에 이은 3순위를 했다. 이 당시 유럽선수권 대표로 선발되었으나, 세계선수권 출전 여부는 불투명했다.[* 러시아선수권에 불참했으나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을 딴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가 있기 때문다.] ||
[[파일:2019 피겨 유럽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19 월드 팀 트로피 러시아.jpg|width=300]] || || [[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유럽선수권]] || [[201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19 월드 팀 트로피]] || [[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유럽선수권]] 쇼트에서 역시 클린하며 '''72.88점'''을 받아 개인 첫 70점을 돌파하며 2위에 올랐다. 프리도 클린하여 트리플 러츠에서 어텐션을 받아 감점받은 것을 포함 '''140.96점'''을 받아 프리 1위에 오르고 합계 '''213.84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디펜딩 챔피언인 [[알리나 자기토바]]가 프리에서 부진한 사이 꾸준한 컨시로 이뤄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존버는 승리한다.-- 이로써 세계선수권 출전을 확정지었다. [[201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9 세계선수권]]에서도 나름 선전하여 종합 8위에 올랐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1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 개인 5위, 팀 3위를 기록했다. === 2019-20 시즌 === 이 시즌부터 본격인 체형변화가 시작되었다. 테스트 스케이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파일:2019 CS 아이스 스타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19 CS 아이스 스타]] || 2번의 챌린저 시리즈에서는 각각 6위와 1위를 했다. [[2019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겉클린을 하였으나 몇개의 언더 판정을 받으며 5위를 했다. [[2019 NHK 트로피]]에서는 6위를 했다. 그랑프리 시리즈가 끝나고 챌린저 시리즈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해 4위를 기록했다. [[2020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0 러시아선수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 2020-21 시즌 === 러시아 테스트 스케이트에서 새 쇼트 프로그램을 공개했는데, 컴비네이션 점프를 COMBO로 처리[* 연결 트리플 점프를 아예 붙이지 못했다.]하며 아쉬운 수행을 보여주었다. 프리는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기권했다. 국내대회인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s-4.1|러시안 컵 3차 대회]]와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s-4.1|러시안 컵 4차 대회]]에 출전해 모두 4위에 올랐으며, [[2020 로스텔레콤 컵]]과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에서는 각각 7위와 10위를 기록했다.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s-4.1|러시안 컵 파이널]]에서 8위를 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 2021-22 시즌 === ||
[[파일:2021 부다페스트 트로피 여자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1 부다페스트 트로피]] || [[2021 부다페스트 트로피]]와 [[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에서 각각 3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대회로는 [[2022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s-4.1|러시안 컵 3차 대회]]와 [[2022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s-4.1|러시안 컵 5차 대회]]에 참가해서 5위와 3위를 기록했다.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에서는 11위를 차지했다. 이후 1년여 후인 [[2023년]] [[1월 13일]], [[카밀라 발리예바]]의 러시아선수권 금메달이 박탈됨에 따라 10위가 되었다. 시즌이 끝나고 [[2022년]] [[4월 29일]], [[https://twitter.com/anythinggoe/status/1520079127600062464?s=21&t=gmvXlSXJmfbs2jzTlIDdIA|은퇴]]를 발표했으며 소속 팀에서 보조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평가 == 그다지 좋지 않은 입지 속에서도 항상 올클린을 해내 없는 밥상을 스스로 차려먹은 선수였다. 이 컨시로 주니어 시절 주니어 그랑프리 2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고, 시니어 첫 시즌에도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데 이어 유럽선수권 우승까지 거머쥐었다. == 기록 == *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 시즌에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13번째 여자 선수[* [[안도 미키]](04-05) - [[아사다 마오]](05-06) - [[김연아]](06-07) - [[캐럴라인 장]](07-08) - [[무라카미 카나코]](10-11)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11-12) - [[율리아 리프니츠카야]](12-13) - [[안나 포고릴라야]] / [[옐레나 라디오노바]](13-14) -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15-16) - [[마리아 소츠코바]](16-17) - [[알리나 자기토바]](17-18) - 본인(18-19, [[키히라 리카]]와 공동) 순. ]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72.88([[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유럽선수권]])|| || '''프리''' ||140.96([[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유럽선수권]])|| || '''총점''' ||213.84([[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유럽선수권]])|| == 커리어 == ||<-3>
{{{#white 유럽선수권}}} || || 금메달 ||[[201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9 민스크]]||여자 싱글|| ||<-3> {{{#white 월드 팀 트로피}}} || || 동메달 ||[[2019 피겨 스케이팅 월드 팀 트로피|2019 후쿠오카]]||단체전|| ---- ||<-9>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4–15'''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세계선수권|| || || || || 8th || || || || ||유럽선수권|| || || || || 1st || || || || ||GP 파이널|| || || || || 5th || || || || ||GP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 || || || || || || 7th || ||GP 컵 오브 차이나|| || || || || || 5th || || C || ||GP 로스텔레콤 컵|| || || || || 2nd || || 7th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 3rd || || || ||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 || || || 4th || || || ||CS 아이스 스타 || || || || || || 1st || || || ||CS 핀란디아 트로피 || || || || || || WD || ||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 || || 2nd || 6th || || || ||부다페스트 트로피|| || || || || || || || 3rd || ||아이스 스타|| || || || || || || 3rd || || ||<-9> '''{{{#white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 ||JGP 파이널|| || || || 6th || || || || || ||JGP 이탈리아|| || || || 1st || || || || || ||JGP 크로아티아|| || || || 1st || || || || || ||JGP 일본|| || || 4th || || || || || || ||트리글라브 트로피|| || || 2nd J || || || || || || ||NRW 트로피|| || 2nd N || || || || || || || ||<-9> '''{{{#white 국내대회}}}''' || ||러시아선수권|| || || 9th || 11th || 6th || 9th || 10th || 10th ||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 6th || 12th || || || || || || ||러시안 컵 파이널|| || || || || || || 8th || || ||러시안 컵 4차|| || || 1st J || 2nd || || || 4th || || ||러시안 컵 5차|| || 3rd J || || || || || || 3rd || ||러시안 컵 2차|| || 6th J || 4th J || || || || || || ||러시안 컵 3차 || 2nd J || || || || || || 4th || 5th || ||러시안 컵 1차|| 5th J || || || || || || || || ||<-9> '''{{{#white 단체전}}}''' || ||월드 팀 트로피|| || || || || 3rd T[br]5th P || || || || ||<-9>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br]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N=노비스, J=주니어,[br]C=취소 || [각주] [[분류:러시아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출신 인물]][[분류:2002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