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dddddd '''{{{+1 소피의 세계}}}''' (2022)[br]''Sophie's Worl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소피의 세계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한}}}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한}}}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한}}}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윤희}}}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새벽]], [[곽민규]], 아나 루지에로, 김우겸, 문혜인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수민}}}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한}}}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우중}}}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제형}}}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형희}}} || || '''스토리보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아람}}} || || '''스크립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희진}}}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마름모필름}}}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한국), 콘텐츠판다(해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width=20]] 2021년 10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3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4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244명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biff.kr/kor/html/program/prog_view.asp?idx=55259&c_idx=358|부산국제영화제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드라마 영화. 이제한이 연출하였고, [[김새벽]], [[곽민규]], 아나 루지에로, 김우겸, 문혜인 등이 출연하였다. == 개봉전 정보 == 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와 제47회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2jIgwNn2gM)]}}}|| || {{{#a49686,#dddddd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tK_5yIqQbs)]}}}|| || {{{#a49686,#dddddd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우연히 여행 블로그 속에서 자신의 사진을 발견한 수영. >그곳에는 2년 전 만난 여행자 소피가 한국에서 머문 나흘의 기록이 있다. >수영은 소피의 일기를 통해 최악의 시기를 버티던 남편 종구와의 일상을 새롭게 바라본다. >그때는 알 수 없었던 감정과 사실이 이해될 것도 같다. > >소피가 써 내려간 세계 속에서 >다투고 울고 웃었던 우리는 어떤 마음을 남겼을까? > >2022년 봄에서 2020년 가을로, >서로의 안부를 묻는 일상으로의 여행이 시작된다! >----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27513|출처]] == 등장인물 == * 아나 루지에로[* [[브라질]] 출신 배우이다. 한국 영화에서는 [[승리호]]에서 [[승리호/등장인물#검은 여우단|검은여우단원]] 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 소피 역 [[북촌한옥마을]] 근처의 bnb에서 주호를 찾기 위해 4일간 머무른 외국인 게스트. 4일간의 기록을 자신의 여행블로그에 남긴다. * [[김새벽]] - 수영 역 [[북촌한옥마을]] 근처의 bnb를 운영하던 영어에 능통한 호스트. 게스트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한다. 4일간 머물렀던 게스트 소피의 여행블로그를 보며 당시를 떠올린다. * [[곽민규]] - 종구 역 수영의 남편이자 수영과 같이 bnb를 운영하던 호스트. 서빙 등을 돕는다. 영어에 능통하지 않은 편. * [[김우겸(배우)|김우겸]] - 주호 역 소피가 찾고 있는 남자. * [[문혜인]] - 조 역 소피의 여행기간 중 따로 약속을 잡아 만나기로 한 과거 소피와 함께 공부하던 친구. * [[서영화]] - 고 여사 역 [[세계관 최강자|집주인]]이다. * 박란 - 효민 역 * 신석호 - 효민의 남편 역 * 설찬미 - 안내원 민주 역 * 주나래 - 동료 안내원 역 == 설정 == 이 작품의 사건이 발생한 시간적 배경은 2020년 10월 하순이고, 이를 회상한 시간은 영화의 개봉시점과 동일한 2022년 봄이다. 공간적 배경은 [[북촌한옥마을]]과 [[인왕산]] 일대이다. 실제 촬영도 그곳에서 이루어졌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 평론가 평 === > '''잔잔하고 애틋한 기억의 시간들''' > [br] 타인의 시선과 기억으로 재구성되는 '지나간 시간' 되짚기. 삶은 오직 주관성으로만 존재하는 것 같지만, 각도를 달리하면 존재하는 타인의 마음과 관계로부터 비롯되는 것임을 말한다. 외국인 여행자의 눈과 마음을 경유해 조금은 특별하게 보이는, 일상 속 소박한 철학들로 구성한 단단하고 안온한 세계. 잔잔하고 기분 좋은 산책이 줄 수 있는 환기가, 동시에 나도 모르게 놓쳐버렸던 순간들의 그리움을 소환하는 애틋한 정서가 이 안에 있다. >---- > -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 > '''어디서 본 듯한 세계''' > [br] 외국인 친구 소피가 북촌에서 4일간 머물며 남기고 간 블로그를 통해 2년 전의 시간을 돌아보고, 놓치고 있던 순간의 의미와 풍경을 되찾는 동시에, 감정의 섬세한 파동을 다시금 염탐한다. 거대한 사건이 있는 건 아니지만, 평범하게 흘린 일상의 순간들이 모여서 삶의 단면들을 길어 올린다. 그리고 <소피의 세계>엔 홍상수 세계의 냄새가 강하게 감지된다. 감독 이력(홍상수 감독 스태프 출신)이나 영화 관련 정보를 하나도 모르는 상황에서 감상했으니, 편견은 아니다. (이야기 전개 방식이나 배우 캐스팅, 심지어 공간에서도) 정말로 강하게 난다. >---- > - [[정유미#영화 평론가]] (영화 저널리스트) (★★★) >'''지날 땐 모르는 일들, 시간이 흐르고서야 맥이 잡히는 나날들이 설풋하게 남았다.''' >---- >[[이동진]] | ★★★ > 오늘을 관찰하고 어제를 기억하기. 그런 다정함 혹은 담담함 >---- > - [[김소미]] (★★★) > 일상을 위로하는 일기장이자 일탈을 긍정하는 기행문 >---- > - 이보라 (★★★) > 구름이 잠시 끼다 다시 해가 나왔다, 북촌에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홍상수 영화교실 줄반장 >---- > - [[박평식]] (★★☆) == 여담 == * 이 작품은 동명의 노르웨이 소설 [[소피의 세계]]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 수영 역의 [[김새벽]]과 고 여사 역의 [[서영화]]는 [[당신얼굴 앞에서]]에 같이 출연한 이후, 1년 만에 이 작품에서 같이 출연했다.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독립영화]][[분류:2022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