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량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A380 0%, #00C499 20%, #00C499 80%, #03A380)" '''{{{#ECE5B6 소량 추존 존령[br]{{{+1 濟陰府君 | 제음부군}}}}}}'''}}} || || '''[[시호|{{{#ECE5B6 시호}}}]]''' ||제음부군(濟陰府君) || || '''[[성씨|{{{#ECE5B6 성}}}]]''' ||소(蕭) || || '''[[휘|{{{#ECE5B6 휘}}}]]''' ||할(鎋) || || '''{{{#ECE5B6 생몰}}}''' ||? ~ ? || || '''{{{#ECE5B6 부친}}}''' ||[[소정(서진)|소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회음부군(淮陰府君) [[소정(서진)|소정]]''' 자: 즉구부군(即丘府君) [[소준(즉구부군)|소준]] 손: 태상부군(太常府君) [[소악자]] 증손: 선제(宣帝) [[소승지]] 현손: [[고제(남제)|고제]](高帝) 소도성 - 남조 남제의 초대 황제 자: 제음부군(濟陰府君) [[소할]] 손: 중종사사부군(中從事史府君) [[소부자]] 증손: 특진부군(特進府君) [[소도사]] 현손: 태조 문제(文帝) [[소순지]] 내손: [[무제(양)|무제]](武帝) 소연 - 남조 소량의 초대 황제 [[서진]] 시대의 인물로, [[영가의 난]] 당시 아버지인 회음현령 [[소정(서진)|소정]]을 따라 진릉군(晉陵郡) 무진현(武進縣) 동성리(東城里)로 거주지를 옮겼다. 이후 그의 거주 일대는 남난릉군(南蘭陵郡)으로 개칭되었으며 소할은 그곳의 제음군태수(濟陰郡太守)를 역임했다. 이후 아들인 [[소부자]]도 난남릉군의 관료를 역임했고, 현손인 [[양무제]]가 [[소량]]을 건국하자 소할은 '황고조제음부군'(皇高祖濟陰府君)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분류:서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