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소환수(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召喚獣メルカバー.jpg|width=100%]] || [[파일:召喚獣メルカバー(SLF1).jpg|width=100%]] || || 1st 일러스트[br]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 2nd 일러스트[br][[SELECTION 5]]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소환수 메르카바, 일어판명칭=召喚獣(しょうかんじゅう)メルカバー, 영어판명칭=Invoked Mechaba, 속성=빛, 레벨=9, 공격력=2500, 수비력=2100, 종족=기계족, 소재="소환사 알레이스터" + 빛 속성 몬스터, 효과1=①: 1턴에 1번\,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그 카드와 같은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의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제외한다.)] 빛 속성을 상징하는 소환수. 상대가 발동한 것과 같은 종류의 카드를 패 코스트로 지불하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하여 제외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즉시 효과|유발 즉시 효과]]를 가졌다. 사실상 소환수를 사용하는 이유의 9할이 이 카드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능력치만 따지면 같은 능력치를 가진 [[블랙 매지션]]이 레벨 7임을 감안했을 때, 레벨 9 치곤 공/수가 못 미더운 편. 하지만 빛 속성이란 주요 속성을 소재로 하면서 살아있는 [[신의 섭리]]다. 거기에 2대 1 교환인 신의 섭리와 달리 1:1 교환인 데다 파괴가 아닌 제외라 더 강력하다. 다만, 몬스터 효과라 카운터 함정은 무효화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소환마술의 ②의 효과로 제외된 소환사 알레이스터를 회수할 수 있어서 소환마술 이외의 방법으로 소환하지 않는 이상 공격력 3500까지 처리 가능하다. 알레이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시 링크 소환을 통한 소재 수급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 시큐어 가드너로 바꾸는 방법, 또 하나는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로 바로 바꾸는 방법이다. 양쪽 다 알레이스터로 서치한 소환마술을 쓰면 알레이스터 1장만으로 메르카바를 뽑을 수 있다. 전자는 묘지로 간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제외하고 [[막시무스 드래그마]]를 특수 소환해 엑스트라 덱을 추가로 덤핑할 수 있고, 후자는 엑스트라 덱 공간을 절약해 다른 몬스터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서로 패 1장 싸움에서도 소환마술 1장으로 융합 후에 소환사 알레이스터를 회수하면 타점도 안 밀리고 상대가 블랙홀 같은 제거 마법이 나오지 않는 이상 몬스터 효과도 무효시킬 수도 있다. 패 1장 싸움에서 2500의 공격력은 강력하다. 2020년에는 [[드래그마]]를 카운터하기 위해 [[사이버 드래곤 노바]]와 같이 투입하는 경우도 잦아졌다.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효과로 노바가 묘지로 보내지면,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 소환수를 용병으로 채용하는 덱에서도 1순위로 소환하는 몬스터. >'''"고대의 금술로 불려나온 신령이여!! 왕좌를 가지고서 전차를 널리 떨쳐라!! 소환수 메르카바 융합 소환!!"''' >---- >[[아카보시 오자]],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中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선 [[아카보시 오자]]가 [[유사 쇼마]]와 듀얼 중 사용. 1차전에서는 [[소환마술]]의 효과로 필드의 [[소환사 알레이스터]], 쇼마 묘지의 [[성기사 아르토리우스]]를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으며, 드래그마 몬스터들을 우르르 소환하는 방법으로 전개한 뒤 쇼마의 턴이 되자 쇼마가 발동했던 [[마건#마건-마프테아|마건-마프테아]]를 틀어막아 버리고 그대로 쇼마를 패배시켜 버렸다. 2차전에서는 [[낙인(유희왕)|낙인]] 파츠를 쓰다 [[마건]] 카드들에게 궁지에 몰리자 마지막 수로 소환한 카드로 등장하며, 쇼마에게 마음을 열게 된 오자가 즉석에서 외친 소환 영창과 함께 내보냈다.[* 즉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1부의 [[최종 보스]] 몬스터이다.] 소환마술의 효과로 필드의 알레이스터와 쇼마 묘지의 [[마건#대마건-마프테아르|대마건-마프테아르]]를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으며, 효과로 쇼마의 플레잉을 견제해 다음 턴을 벌 예정이었으나, 결국 [[마건#마건빙선-아슈타르투|마건빙선-아슈타르투]]에게 파괴되고 아슈타르투의 효과로 오자는 2500 데미지를 받으며 패배했다. OCG에서 2018년 4월 제한이 됐다가 2020년 1월에 단번에 무제한이 됐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유대교에서 나오는 성궤를 매고 달리는 전차 [[메르카바]]에서 따 왔다. 일러스트만 봐서는 잘 알기 힘들지만 지팡이의 크기를 보면 이 몬스터도 아주 거대함을 알 수 있으며[* 일러스트에 그려진 동물(?)의 이마 부분에 있는 반짝거리는 물체가 알레이스터의 지팡이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소환수 카드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Live2D 등장씬이 있다. 2nd 일러스트는 갑옷 사이로 보이는 흔적, 들고있는 지팡이의 형태와 가슴에 박힌 지팡이의 위치로 보아, 정황상 [[소환수(유희왕)#소환수 아우고에이데스|소환수 아우고에이데스]]와 융합한 모습으로도 추정된다. 또한 기계화된 디자인의 천사 날개를 지니고 이도류를 구사하는 메카 형태의 디자인 때문에 '''[[No.39 유토피아]]'''와 유사하다는 반응이 많다. --약간 표백제 부은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처럼 생겼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16-11-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PFE-JP032 | '''[[퓨전 엔포서즈|ブースターSP-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7-11-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VP1-JP097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11-0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LF1-JP027 | [[SELECTION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7-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FUEN-EN032 | '''[[퓨전 엔포서즈|FUSION ENFORC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08-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HVA-EN041 | SHADOWS IN VALHALL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1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GED-EN025 | [[골드 시리즈|MAXIMUM GOLD: EL DORAD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GR)] || ||<(> 2017-03-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PFE-KR032 | '''[[퓨전 엔포서즈|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VP1-KR097 | [[링크 브레인즈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소환사 알레이스터]] ==== === 기타 관련 카드 === ==== [[신의 섭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환수(유희왕), version=602, paragraph=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