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역사서)] [목차] == 개요 == {{{+1 續日本後紀}}} 《[[일본서기]]》, 《[[속일본기]]》, 《[[일본후기]]》에 이어 [[육국사]]의 4번째에 해당된다. 제54대 [[닌묘 덴노]]의 치세 때인 [[833년]]부터 [[850년]]까지 18년간을 다루었다. 제55대 [[몬토쿠 덴노]]가 칙명을 내려 [[855년]]에 편찬을 시작하여 [[869년]]에 완성했다. [[천황]]의 동정에 대한 기록을 상술하였고, 천황 친정부터 [[후지와라]]씨가 섭관정치를 하는 시대를 연구하는 기본사료가 된다. 편년체 서적으로 전 12권이다. == 편찬 == [[몬토쿠 덴노]]가 재위하던 [[855년]], 이 책을 편찬하기 시작했을 때는 후지와라노 요시후사([ruby(藤,ruby=ふぢ)][ruby(原,ruby=はらノ)][ruby(良,ruby=よし)][ruby(房,ruby=ふさ)]), 하루스미노 요시타다([ruby(春,ruby=はる)][ruby(澄,ruby=すみノ)][ruby(善,ruby=よし)][ruby(繩,ruby=ただ)]) 등 4명이 작업하였고 요시후사의 아우 요시미([ruby(藤,ruby=ふぢ)][ruby(原,ruby=はらノ)][ruby(良,ruby=よし)][ruby(相,ruby=み)])가 나중에 참여했다. 하지만 다른 이들이 완성 전에 사망 혹은 유배되어 869년 완성했을 때는 앞의 2명만 남았다. 편찬방침에는 후지와라노 요시후사의 영향이, 기사의 서술에는 하루스미노 요시타다의 의향이 강하게 반영되었다고 추정한다. == 내용 == 육국사 중에서 처음으로 개별 [[천황]]의 치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속일본기]]》가 9대, 《[[일본후기]]》가 4대에 걸친 천황의 시대를 다뤘음에 비해, 이 책은 [[닌묘 덴노]] 일주(一主)만 다루었다. 닌묘 덴노가 재위하던 때는 [[사가 덴노]], [[준나 덴노]] 재위기처럼 태평한 시대였다. 그래서 궁중행사 등은 상세히 서술했지만 정치 기사는 적은 편이다. 천황의 거동을 중시한 [[실록]]의 성격을 [[정사(역사)|정사]]에 반영시킨 점에서, 이어지는 <일본삼대실록>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이안 시대]] 후기에는 초본이 유포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오탈자나 쪽수의 오류 등이 발생하여, 현행 판본에까지 그 영향이 남았다고 한다. 한국사의 [[남북국시대]]에 해당한다. [[장보고]]나 발해 사신 방일 등 동시대 [[통일신라]] 및 [[발해]], 그리고 일본에서 세력을 유지하던 옛 백제 유민집단 등과 관련된 기사들이 포함되어 일본사뿐 아니라 한국사 연구가들도 종종 찾아보는 책이다. [[분류:육국사]][[분류:헤이안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