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속초시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속초시)] [include(틀:속초시의 교통)] [목차] == 개요 == [[속초시]]의 교통 관련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 == 철도 == 철도역으로는 과거 [[동해북부선]] [[속초역]]이 있었으나, [[6.25 전쟁]] 휴전으로 1953년 이후 운행이 중단, 폐역되어 사라졌다.[* 복원한 모형이 속초시립박물관에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속초를 방문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명기한 버스를 비롯한 차량을 이용하여야만 하였으나[* 차량을 이용하여 [[영동고속도로]]나 [[동해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각 고속도로의 끝에서 국도를 이용해야만 한다. 하지만 각각의 고속도로가 [[강원도]] 내 주요 관광지를 경유하면서도 버스전용노선을 운영하지 않아 주말에는 주요 정체 구간에서 도로의 주차장화를 느낄 수 있다.] 2016년 7월 [[춘천속초선]] 건설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되고 2018년 9월 [[동해선]] [[강릉역|강릉]]~[[제진역|제진]] 구간 복원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 받음에 따라 건설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7343200|확정]]되었다. 2028년 상반기부터 [[KTX-이음]]이 운행하게 되면 [[서울특별시]] [[용산역]]/[[청량리역]]에서 1시간대, [[부산광역시]] [[부전역(동해선)|부전역]]이나 [[대구광역시]] [[동대구역]]에서 2시간대 이동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도로 == [include(틀:속초시의 로)]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서울특별시]]-속초 이동하는 데는 거리에 비해 불편한 도로 상황 때문에 생각보다 크게 마음을 먹어야 했었다. [[44번 국도]]는 왕복 2차로와 4차로가 혼재했으며 그마저도 선형이 좋지 않은 구간이 다반사였다. 그래서 [[강릉]]까지 내려와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경기 남부로 돌아 서울로 오는 편이 시간이 더 빨랐다. 실제로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서울-속초 간 고속버스는 저 루트로 운행했으며, 서울까지 3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2002년 영동고속도로 대관령터널 개통 이전에는 4시간이 넘게 소요되었으며, 명절이나 휴가철에는 서울까지 '''10시간'''씩 걸리는 경우도 잦았다. 중간에 폭설이라도 쏟아진다면 말할 것도 없다. 2006년 [[미시령터널]] 개통, 2009년 [[강일IC]]-[[춘천JC]]를 잇는 [[서울양양고속도로]] 1기 구간의 개통, 이후 2기 구간 [[동홍천IC]]까지의 연장, 44번 국도의 양평 오빈교차로-한계삼거리까지 전 구간 왕복 4차선 개량이 이루어진 2010년 즈음 돼서야 이동하기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로 도로의 상태가 괜찮아지기 시작했고, 한계삼거리부터 용대삼거리까지 [[46번 국도]]가 4차선으로 개량되면서 상황이 많이 좋아지고 소요시간은 서울 [[잠실역|잠실]]-현 [[속초IC]] 인근까지 약 3시간으로 줄어들었다. . === 고속도로 === 2016년 11월 24일 [[동해고속도로]] [[양양IC]] - [[속초IC]] 구간이 개통되어 강릉, 삼척 방면으로 이동하기 수월해졌으며, 2017년 6월 30일에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IC]] - [[양양IC]]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이 즈음해서 속초의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었다고 이야기하는 속초시 주민들이 많다. 2020년 6월 평일 서울 잠실에서 속초까지 고속도로 주행 결과, 기존 경춘고속도로 구간의 차량 정체에도 불구하고 2시간 5분에 주파할 수 있었다. === 국도 및 지방도 === 국도는 [[7번 국도]]가 유일하며, 양양군에서 넘어와 속초시를 남북으로 관통한 후 [[고성군(강원도)|고성군]]으로 넘어간다. 7번 국도와 함께 속초시에서 빼먹을 수 없는 주간선도로는 속초시내와 [[속초IC]], [[미시령터널]]을 이어주는 [[56번 지방도]]이다. == 버스 == === 시외버스 === 관내 [[버스 터미널]]로는 [[속초고속버스터미널]], [[속초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두 터미널은 각각 속초 시내 남부와 북부에 위치하여 약 3km 떨어져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걸어서 약 20분좀 넘게 걸린다.''' === 시내버스 === 관내 시내버스는 [[동해상사고속]]과 [[강원여객·강원흥업|강원여객]]이며, [[교통카드]]는 [[티머니]]와 [[캐시비]]가 통용된다. 일부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는 안 되니 주의하자. New BS의 비중이 높은 편이며, 디젤과 전기버스가 있다. 영동 지역 내 시내버스들 중 가스차가 굴러다니는 곳은 [[동해시]]가 유일하다. 네임드급 동네인 [[강릉시]]에도 아직 CNG충전소가 없다. 자세한 건 [[속초시 시내버스]]로. == 자전거 == 수도권 [[자전거 애호가]]들이 껌이나 담배 사러 마실오는 곳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업힐]] 문서 [[미시령]] 문단으로.[* 미시령의 이용자가 미시령터널 개통 이후 수직으로 줄어들면서 [[구 미시령휴게소]]의 적자가 심해져 운영을 중단했고, 현재는 미시령 탐방지원센터로 바뀐 상태이다. 하지만 미시령 고개 자체가 옛부터 태백산맥의 정상을 넘어오는 코스로 안개도 자주 끼는 편이며, 관리자 없이 방치된 건물인지라 폐가체험의 코스로 주목 받았었고, 휴게소의 폐쇄 이후에도 추억회상의 이유로 옛길을 통행하는 차량도 꽤 많다.] 3.7km의 [[미시령터널]]을 넘으면 바로 [[인제군]] 북면이다. 그래서 속초에서 서울 가는 [[고속버스]]가 자연히 [[인제군]] [[북면(인제)|북면]]을 통과하였던 것이다.[* 현재는 동홍천 - 양양 고속도로 구간은 아랫쪽인 [[인제군]] [[상남면(인제)|상남면]]을 통과한다.] == 택시 == ||<-2> [[파일:속초시 CI_White.svg|width=25]]{{{#ffffff '''강원도 속초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3,8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3초/133m) || ||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20%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 항구.어항 == 지방어항, 소규모어항, 연안항이 없음. *무역항 : 속초항 *국가어항 : 대포항 *어촌정주어항 : 설악항, 장사항 총계 : 4개소(강원도내에서 가장 적게 항구.어항을 보유한 지자체다.) == 항공 == 아랫동네인 '''[[양양군]]''' 강현면에 [[속초공항]]이 있었지만 손양면에 새로 지은 [[양양국제공항]]의 개항으로 2002년에 군용으로 전환됐다. 사실 [[속초공항]]이 [[양양군]]에 있었다고 해서 이상한 건 아니다. 원래 속초시가 [[양양군]]에서 갈라져 나온 곳이기도 한데다가 강현면은 속초 코 앞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속초시, version=960,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