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십육국춘추)] [목차] == 개요 == 孫伏都 (? ~ 349) [[후조]]의 인물. 자(字)나 출신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 생애 == 건무 12년(346년) 5월, 천왕 [[석호(후조)|석호]]의 명령을 받고 양주(凉州)자사 마추(麻秋)와 함께 군사 30,000명을 이끌고 [[전량]]의 금성(金城)을 쳤다. 이때 금성태수 장충(張沖)이 항복하면서 전량을 진동시켰으나, 마추가 전량의 명장 사애(謝艾)에게 패하여 어쩔 수 없이 퇴각하였다. 이후 정서장군에 임명되었다. 건무 13년(347년) 7월, 전량을 정벌하던 마추를 돕기 위해 장수 유혼(劉渾)과 군사 20,000명을 거느리고 마추의 군대와 합류하였다. 마추와 손복도는 황하를 건넌 후 장최(長最)에 성을 쌓았으나, 전량의 위장군 사애에게 또 패하여 금성(金城)으로 후퇴하였다. 태녕 원년(349년) 12월, 용양장군을 지내고 있던 손복도는 당시 대장군 [[석민]]과 대사마 [[이농]]이 조정을 장악하고 있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장수 유수(劉銖)와 함께 석민을 주살할 음모를 꾸몄다. 손복도는 [[갈족]] 병사 3,000명으로 호천(胡天)에 매복하여 석민과 이농을 습격할 계획을 세웠는데, 황제 [[석감(후조)|석감]]의 신변을 미리 확보해두면 유리할 것이라 생각해 부하 30여 명을 이끌고 중대(中臺)에 올랐다. 손복도와 그의 부하들이 궁중의 각도(閣道)를 헐면서 석감을 찾아오자, 석감은 그 연유를 물었다. 이에 손복도가 답하였다. > "이농 등이 반란을 일으켜 동액문(東掖門)에 있으니, 신은 위사(衛士)를 엄히 인솔하여 이들을 토벌하기를 삼가 아뢰옵니다." 그러자 석감이 답하길, >"경은 공신이므로 관(官)을 위해 힘을 써주도록 하라. 짐은 대 위에서 보고 있을 것이니, 행여 보답이 없을까 걱정 말라." 라 하였다. 손복도는 석감의 의사를 확인하고, 나아가 석민과 이농을 습격했지만, 이기지 못 하여 봉양문(鳳陽門)으로 물러나 주둔하였다. 손복도의 공격을 막아낸 석민이 금명문(金明門)을 부순 후 군사들을 이끌고 중대로 향하자, 이 과정을 대 위에서 지켜보던 석감은 석민과 이농에게 살해당할 것이 두려워 바로 내려와 말을 타고 석민과 이농을 맞이한 뒤 말했다. > "손복도가 반란하였으니 경들은 의당 이를 토벌하라." 이에 석민과 이농은 다시 군사를 돌려 봉양문에서 손복도의 무리를 무찌르고 손복도를 참수하였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분류:349년 사망]][[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분류:참수된 인물]]